• 제목/요약/키워드: 정형외과 수술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9초

Ponseti 방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선천성 만곡족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사선적 지표 (Reliable Radiologic Parameters to Predict Surgical Management for Clubfoot Treated with the Ponseti Method)

  • 송광순;연창진;이시욱;이용호;엄상현;권혁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9-66
    • /
    • 2019
  • 목적: 선천성 만곡족 환자에서 Ponseti 방법으로 치료한 환자들에서 잔여 혹은 재발 변형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을 예측하고 치료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어떤 방사선적 기준선이 유용할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3년까지 Ponseti 방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환자 102족(65명, 양측성 37명)을 연구대상으로 했다. 환자는 수술 여부에 따라 두 군(A군: Ponseti 방법의 결과가 성공적이어서 추가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B군: Ponseti 방법의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 수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었고, 두 군의 방사선적 족부 변형 상태 비교를 위해 전후면 및 측면 거종간 각, 전후면 거골-제1중족골간 각, 발목 완전 배굴 상태에서의 측면 경종간 각을 측정하였다. 각 방사선 사진은 관찰자 내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한 정형외과 의사가 두 번씩 검토한 후 평균을 분석하였으며 관찰자 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난수표를 통해 20족을 선정하여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A군은 73족(71.6 %)이었고, B군은 29족(28.4%)이었다. 초기 방사선 소견상 측면 거종간 각 및 측면 경종간 각에서 두 군 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관찰자 간 및 관찰자 내 신뢰도의 편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후면 거골-제1중족골간 각 및 측면 경종간 각은 양군에서 모두 치료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선천성 만곡족의 치료에서 Ponseti 방법으로 치료한 후 70% 이상의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적으로 초기 측면 거종간 각 및 측면 경종간 각을 통해 수술적 치료 여부를 예측할 수 있었고, 전후면 거골-제1중족골간 각 및 측면 경종간 각을 통해 치료 후 선천성 만곡족의 변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회전근 개 파열: 언제 수술하나? 안 하면 어떻게 하나? (Rotator cuff tears: Operate when? What happens if not?)

  • 박형빈;성창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2
    • /
    • 2011
  • 회전근 개 질환은 임상에서 접하는 가장 흔한 견관절 질환이다. 증상을 호소하는 회전근 개 파열 환자를 접하게 되면 수술을 시행할 것인지, 아니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인지의 결정은 진료실에서 당면하는 가장 흔한 과제이다. 그리고 수술적 치료를 선택한다면, 언제 할 것인지, 어떤 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지의 결정도 중요하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치료를 해야 할 것인지 또한 흔히 겪는 문제이다. 본 종설에서는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 언제 수술하나에 해당하는 수술의 적응증과, 수술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라고 하는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관절 수술을 받은 정형외과 환자에서 섬망의 장기간의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longed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patients who underwent orthopedic joint surgery)

  • 황병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26-3933
    • /
    • 2015
  • 본 연구는 관절 수술을 받은 정형외과 환자에서 섬망의 이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2012년 1월 에서 2014년 2월 사이에 일개 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 후 섬망 증상을 보인 환자 266명으로 하였으며, 섬망의 이환 기간에 따라 2일 이내의 짧은 기간 섬망을 가진 군(129명, 48%)과 3일 이상 장기간 섬망을 가진 군(137명, 52%)으로 나누었다. 뇌졸중과 치매는 짧은 기간 섬망을 가진 군에 비해 장기간 섬망을 가진 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도 뇌졸중과 치매는 섬망의 장기간의 이환과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과 치매를 가진 환자들에서 관절 수술이 시행되는 경우에는 섬망의 예방과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병적 척추체 압박 골절 환자에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시행 후 발생한 마미 증후군 (Cauda Equina Syndrome after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for Pathologic Compression Fracture)

  • 박성준;박명훈;박재우;조규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0-94
    • /
    • 2020
  •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은 병적 척추체 압박 골절에서 통증 호전을 위한 시술로 사용되고 있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시멘트가 피질 결손 부위를 통해 누출되면서 발생한 신경 압박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시멘트 누출이 아닌 종양성 병변이 후방 전위되면서 발생한 신경 압박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병적 척추체 압박 골절로 수술 전에 신경 압박이 없던 65세 여자 환자에서 경피적 풍선 척추 성형술 시행 후 종양성 병변이 후방 전위되면서 발생한 마미 증후군으로 추가 수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한다. 시술 후 촬영한 자기공명영상에서 피질골을 뚫고 척수강 내로 후방 전위된 종양성 병변이 확인되었다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술 (Ultrasound-Guided Femorosciatic Nerve Block)

  • 강찬;김영모;황득수;김정훈;박준영;이우용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78
    • /
    • 2010
  • 정형외과 영역에서 근골격계 초음파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슬와부 신경 차단(좌골 신경 차단)이나 대퇴 신경 차단(또는 복재 신경 차단)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신경 손상이나 불완전 마취에 대한 걱정없이 쉽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족부 수술 뿐만 아니라 족관절 및 하퇴부의 정형외과적 수술이 전신 마취나 척추 마취의 부담없이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에 대한 자세한 술기를 120예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견관절 후방 불안정성 (Pos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정진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
    • /
    • 2011
  • 회전근 개 질환은 임상에서 대하는 가장 흔한 견관절 질환이다. 증상을 호소하는 회전근 개 파열 환자를 대하게 되면 수술을 시행할 것인지, 아니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인지의 결정은 진료실에서 당면하는 가장 흔한 과제이다. 그리고 수술적 치료를 선택한다면, 언제 할 것인지, 어떤 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지의 결정도 중요하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치료를 해야 할 것인지 또한 흔히 겪는 문제이다. 본 종설에서는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 언제 수술하나에 해당하는 수술의 적응증과, 수술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라고 하는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소지외전근 부근육에 의해 발생한 기욘씨관 증후군 (Guyon's Canal Syndrome Caused by an 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 박성준;권용탁;이동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98-101
    • /
    • 2021
  • 비정상 근육에 의한 척골관 증후군의 발생은 소지외전근의 부근육, 장장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척골관 증후군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소지외전근 부근육을 발견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사례를 경험하였다. 척골관 증후군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비정상 근육이 척골관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염두해 두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슬관절의 과굴곡 상태에서 좌상 후 발생한 급성 슬개골하 지방괴의 분리 손상 (Acute Infrapatellar Fat Pad Separation after Contusion in the Kneeling Position)

  • 이승림;임세혁;조의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41-345
    • /
    • 2021
  • 슬개골하 지방괴는 슬관절 전방 부위에 위치한 세 가지의 지방괴 중 하나로 슬개골하 지방괴의 손상이 비교적 흔하며, 원인은 주로 수술에 인한 의인성 손상 및 충돌 등에 의한 반복적인 미세 외상 등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국내 및 국외에 보고된 적이 없는 슬관절의 과굴곡 상태로 전면부에 좌상을 입은 후 발생한 슬개골하 지방괴의 급성 분리 손상을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완치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3세 남아의 외상성 흉골 분절 탈구 후 재형성 (Remodeling of Traumatic Sternal Segment Dislocation in a 13-Year-Old Boy)

  • 김경일;조윤주;이한용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2-86
    • /
    • 2021
  • 소아청소년기의 외상성 흉골 분절 탈구는 발생 빈도가 매우 낮아서 문헌 고찰상 일부 증례보고만 있었다. 일부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가 좋다고 하였으나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어 아직 적절한 치료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증례는 13세 남아에서 외상으로 발생되었던 흉골 분절 탈구 후 운동 제한 및 추시관찰만으로 완전한 재형성이 일어나 우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다운증후군 청소년의 중증 고관절 골관절염에서 고관절 유합술 (Hip Arthrodesis to Treat Severe Hip Osteoarthritis in an Adolescent with Down Syndrome)

  • 정유훈;신근영;이주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64-167
    • /
    • 2021
  • 다운증후군은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염색체 이상 질환으로 일생 동안 약 28%에서 고관절의 골관절염을 동반하게 된다. 다운증후군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될 경우에 의학적 관점에 더불어 환자의 정신적, 경제적인 요건 및 사회적 환경까지 고려하는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다운증후군에서 발생한 중증 고관절 골관절염에 대해 고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