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합 필터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6초

스테레오 정합 특징 요소 선택을 위한 잡음 감소 필터링과 에지 검출 필터링의 성능 평가와 결합 (An Evaluation and Combination of Noise Reduction Filtering and Edge Detection Filtering for the Feature Element Selection in Stereo Matching)

  • 문창기;예철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3-285
    • /
    • 2007
  • 대부분의 스테레오 정합 방법은 두 점간의 대응점을 측정하는데 있어 밝기값을 사용하며 잡음의 영향을 받은 화소가 정합에 사용될 경우 정합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잡음은 정합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정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잡음에 강건한 밝기 필터와 에지 필터를 이용하여 정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ean, Median, Midpoint, Gaussian 필터와 같은 밝기 필터와 Gradient, Roberts, Prewitt, Sobel, Laplacian 필터와 같은 에지 필터를 사용하였다. 에지필터와 밝기 필터의 성능 평가를 위해 균일 잡음 또는 가우시안 잡음이 첨가된 합성 영상과 위성 영상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고 필터들은 성능에 따라 순위를 정하였다. 밝기 필터와 에지 필터들 중에서 Median 필터와 Sobel 필터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반면에 Midpoint 필터와 Laplacian 필터는 가장 저조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Ikonos 스테레오 위성영상을 실험 영상으로 사용하였으며 Median 필터와 Sobel 필터를 이용한 정합 방법이 다른 필터 조합을 이용한 정합 방법보다 향상된 정합 결과를 나타내었다.

디지털 정합 필터를 이용한 버스트 형 직렬 탐색 DS-SS초기 동기 시스템의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Burst-format Serial Search DS-SS Acquisition System Using Digital Matched Filter)

  • 이동욱;홍인기;황금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701-709
    • /
    • 1991
  • 정립필터를 이용한 버스트형 적립 탐색 직접 시퀀스 스펙트럼확산 초기동기 시스템의 성능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합 필터를 이용한 초기동기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정합필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칩을 먼저 복조하므로, 이때 발생하는 오율에 대한 함수로서 오보율과 검출율을 구하고 blocked customers cleared queueing 시스템 모델에서 얻은 시스템 통제율을 구한다. 이 값들을 시간에 따른 정합필터 출력의 상태도에 적함으로써, 임의의 시간에 도달하는 패킷을 잃을 확율을 구한다. 디지탈 정합필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아날로그 정합필터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자기 상관 사이트로보에 의한 오보율이 일정하게 되어 시스템 상태도를 간략화 할 수 있었다.

  • PDF

정합필토배열처리를 이용한 수조내에서의 음원 특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Enhancement of Signal Characteristics using Matched Filter Array Processing in the Water-Tank)

  • 노용주;손근영;윤종락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189-192
    • /
    • 1999
  • 수중소음체의 음원 특징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배경잡음과 해면$\cdot$해저반사파의 영향이 적은 심해에서 측정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공 수조에서 측정하여 수면과 수조벽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들을 제거하여 신호 고유의 특징을 해석한다 이러한 반사파들의 부가효과를 보상하여 수중소음체의 신호특징을 해석하기 위하여 정합필터배열처리(Matched Filter Array Process : MFAP)기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 각 센서에 적용되는 정합필터는 처리시간의 문제로 인해 필터길이를 제한하여 구성되게 된다 정합필터는 수조의 임펄스응답함수의 시역전함수로 정의되는데 필터길이에 따라 수신신호 특징 개선 정도가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수조에서 부가되는 반사파들의 효과를 보상하여 수신신호 특징 개선을 위해 정합필터배열처리기법을 적용할 때 각 센서의 정합필터의 시간길이가 특징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신호대잡음비(SNR)로 정의하여 분석하였고 수조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정합필터 시간길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DMA 고속초기동기획득을 위한 HW 재사용에 의한 정합필터의 설계 (The design of the matched filter for CDMA rapid initial PN cod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using HW reuse scheme)

  • 임명섭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1호
    • /
    • pp.28-36
    • /
    • 1998
  • 기지국간 비동기방식을 사용하는 CDMA 이동통신 방식에서는 handoff시 초기동기 획득시간이 빠른 초기동기 획득방식이 요구되므로 정합필터를 사용하는 초기동기획득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Rayleigh fading 채널에서 non coherent QPSK/DS-SS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model에서 정합필터방식으로 초기동기획득을 위해 소요되는 평균 초기동기 획득시간은 직렬상관방식에 비해 정합필터의 길이에 비례하여 단축됨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정합필터 방식이 초기동기획득시간은 단축되지만 HW복잡도로 인한 구현상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억소자를 이용한 HW 재사용에 의해 상관 연산을 반복해서 할 수 있는 설계방안을 제시하므로써 기존 정합필터의 HW복잡도를 정합필터 분할 길이 만큼 줄일 수 있도록 하였고, Altera MAXPlus Ⅱ FPGA로 simulation하므로써 기능을 입증하였다.

  • PDF

특징점과 필터뱅크에 기반한 적응적 혼합형 지문정합 방법 (Adaptive Hybrid Fingerprint Matching Method Based on Minutiae and Filterbank)

  • 정석재;박상현;문성림;김동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7호
    • /
    • pp.959-967
    • /
    • 2004
  • Jain 등은 한 지문 영상에 특징점 기반 지문 정합 방법과 필터뱅크 기반 지문 정합 방법을 적용해 두 정합 방법의 성능을 혼합하는 혼합형 지문정합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이 두 가지 각 정합 방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l]. 그러나 이 방법은 혼합을 수행할 때 두 정합 방법을 별도로 수행한 후, 각 방법의 정합도(matching score)에 가중치를 부여해 최종 정합도를 결정하므로 두 정합 방법의 특성을 상쇄 시키는 결과를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정합 방법을 특징값 추출 과정에서 혼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필터뱅크 기반 방법보다는 낮은 ERR(Equal eRror Rate)을 보이나 특징점 기반 방법보다 높은 ERR을 보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인 정합도 혼합방법을 제안하여, 두 가지 방법의 특성을 살리도록 적응적으로 정합도를 선택하는 방법을 취했다. 이 방법을 이용해 Jain 등의 혼합형 방법보다 더 낮은 ERR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에 따라 NIST Special Database 14 지문 데이타로 실험한 결과 ERR에서 약 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웨이브릿 정합 필터의 설계와 광상관기 구조에서의 상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velet Matched Filter Design and Correlation Properties in the Optical Correlator)

  • 김주영;김석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01-71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시간-주파수 해석에 매우 효과적인 웨이브릿 변환을 광학적 패턴인식에 적용하기 위하여 웨이브릿 정합 필터를 설계하고 웨이브릿 함수의 팽창계수 변화에 따른 광상관 특성을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공간 정합 필터 및 POF의 상관 특성과 비교하였다. 웨이브릿 정합 필터가 가장 좋은 식별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된 입력 패턴의 형태와 웨이브릿 함수의 팽창계수에 의존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웨이브릿 변환의 특징인 2차원 영상의 가장자리 강조 효과를 보였다. 웨이브릿 정함 필터는 웨이브릿 함수가 대역통과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기존의 정합 필터나 POF보다 유사 패턴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패턴에 대해서는 POF보다 매우 민감함 상관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결합 보간 필터를 이용한 QSPK Clock Recovery 회로 (A QPSK clock recovery circuit based on a combined filter)

  • 신은정;장일순;김응배;조경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B호
    • /
    • pp.840-84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클럭 동기 회로에 사용되는 다차 함수 형태의 결합 필터를 선형 근사화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정합 필터와 보간필터에 의한 클럭 동기회로는 수신기를 전 디지털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선호되지만 계산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합 필터의 임펄스 응답을 갖는 결합 보간 필터를 구현하고, base 함수의 적용을 선형 근사화 하여 필터의 계산량을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근사화된 결합 보간 필터의 동작을 Matlab을 통한 시뮬레이션과 ALTERA Chip으로 테스트하였다.

  • PDF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 정합 고속화 연구 (A study high speed remote sensing image registration using deep learning-based keypoints filtering)

  • 이우주;심동규;오승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9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에 대한 영상 정합 (Image Registration) 고속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특징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의 복잡도는 특징 매칭 (Feature Matching) 단계에서 발생한다. 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징 매칭이 영상의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으로 매칭되는 것을 확인하여 특징점 검출기에서 검출된 특징점 중에서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만 필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은 영상 정합을 위하여 필수적인 특징점을 잃지 않으면서 그 수를 줄이기 위하여 인공구조물의 경계와 인접한 특징점을 보존하고, 축소한 영상을 사용하며,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 방법의 결과에서 생기는 영상 패치 경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 패치를 중복하여 잘라 냄으로써 정합 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영상 정합 고속화 방법을 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리랑 3 호 위성 원격 탐사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특징점 추출 방법과 속도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딥러닝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을 때 특징점의 수를 약 82% 감소시키면서 속도를 약 9.17 배 향상시켰지만 정확도가 0.985 에서 0.855 으로 저하되었다.

  • PDF

국내형 지상파 DTV의 TxID실현을 위한 고효율 정합필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 efficient MF for TxID implementation of ATSC-DTV)

  • 차재상;박구만;김광호;윤승금;이용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101-10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채택한 ATSC-DTV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Digital Television)의 단일주파 수망 (SFN; Single Frequency Network) 구성을 위한 TxID (Transmitter Identification)용 ZCD (Zero Correlation Duration)확산코드 기반의 부분상관 정합필터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정합필터의 구현 알고리즘은 TxID에 있어서 기존의 정합필터 구조를 적용할 경우에 발생되는 소비전력 문제나 하드웨어 구현의 어려움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잇점을 갖는 새롭게 제안한 ZCD용 부분상관 정합필터를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한 디지털 하드웨어로 구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directional Stereo Matching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 이철훈;설성욱;김효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9권4호
    • /
    • pp.389-39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비선형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변이(disparity)를 예측하고 예측된 변이는 좌영상에서 우영상으로의 스테레오 정합에 적용된다. 변이 예측은 몇 번의 반복으로 구해지며 비선형 칼만 필터의 초기 상태 예측치에 큰 오차를 나타내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웃 화소의 영향을 고려하여 선형 내삽법(intepolation)을 좌·우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스테레오 정합에 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기존의 SSD방법과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매우 우수한 정합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