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합요소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djustment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Geometric Registration of Aerial Images and LIDAR Data (항공영상과 라이다데이터의 기하학적 정합을 위한 외부표정요소의 조정)

  • Hong, Ju-Seok;Lee, Im-P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5
    • /
    • pp.585-597
    • /
    • 2009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registration method to remove the geometric inconsistency between aerial images and LIDAR data acquired from an airborne multi-sensor system. The proposed method mainly includes registration primitives extraction, correspondence establishment, and EOP(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djustment. As the registration primitives, we extracts planar patches and intersection edges from the LIDAR data and object points and linking edges from the aerial images. The extracted primitives are then categoriz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ones; and their correspondences are established. These correspondent pairs are incorporated as stochastic constraints into the bundle block adjustment, which finally precisely adjusts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the imag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real data, we found that the attitude parameters of EOPs were meaningfully adjusted and the geometric inconsistency of the primitives used for the adjustment is reduced from 2 m to 2 cm before and after the registration. H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data fusion for the high quality 3D spatial information.

Automatic Co-registration of Existing Building Models and Digital Image (건물 모델과 디지털 영상간의 자동정합 방법)

  • Jung, Jae-Wook;Sohn, Gun-Ho;Armenakis, Costa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1
    • /
    • pp.125-132
    • /
    • 2010
  • With recent advancement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a variety of data acquisition over the same area is achievable. An automated co-registration of heterogeneous airborne images is a critical step for change detection.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method for co-registration between digital image and existing building model. Optimal building models for co-registration purpose are extracted as primitives from existing building model database. A set of homologous features between straight lines extracted from aerial digital image and model primitive are computed based on geometric similarity function. With obtained homologous features, EO parameter is recomputed using least square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die suggested method automatically co-register two data set in a reliable manner.

A study on Efficient Matching Window Implementation for Multidimensional Feature Vector Matching (다차원특징벡터 정합을 위한 효율적인 정합 창틀 구현에 관한 연구)

  • Ye, Chul-Soo;Moon, Chang-Gi;Jeon,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182-185
    • /
    • 2005
  • 스테레오 영상에서 동일점을 찾는 과정은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특히 동일점을 찾기 위해 두 화소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많은 방법들이 있으나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주로 화소의 밝기값이나 화소의 그레디어트 크기 등과 같이 한 두 가지의 특징값에 기초하여 유사도를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특징 요소를 이용하여 정합하는 다차원특징벡터 정합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정합 창틀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깊이 불연속이 존재하는 항공영상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깊이 불연속에 강건한 정합 성능을 보임을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ort Wave Propagation by the Combination of Parabolic Model and Hybrid Element Model (PARA-FEM) (포물형 광역모형과 혼합요소모형의 결합을 통한 단주기 파랑전파 수치모의)

  • 이우영;성상봉;전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58-62
    • /
    • 2003
  • 기존의 혼합요소모형(박 등, 1994; Demirbilek and Panchang, 1998)은 반원형태의 정합경계에 파고와 파향을 일정하게 입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계산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합경계가 되도록이면 심해파 해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국내의 남ㆍ서해안과 같은 지역은 심해역이 육지로부터 상당거리 떨어져 있으므로, 정합경계가 심해파 해역조건에 위치하게 되면 계산 Mesh의 수가 막대하게 되어 계산기 용량초과 및 계산속도 저하가 초래된다. (중략)

  • PDF

An Improved Registration Evaluation Method for Automating Point Cloud Registration System (포인트 클라우드 정합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개선된 정합 평가 방법)

  • Kim, Jongwook;Kim, Hyungmi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308-31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정합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재정합 프로세스에서 정합의 실패 유무를 판단하는 기존의 정합 평가 방법을 개선한 방법을 제안한다. 포인트 클라우드 정합 자동화를 위해 정합의 실패를 판단하여 다시 정합하는 재정합 프로세스는 자동화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의 정합 평가 방법은 정합하고자하는 두 포인트 클라우드의 점의 간격이나 데이터의 양이 다를 경우 계산된 정합 오차가 정성적인 결과와는 다르게 측정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재정합 프로세스에서 치명적인 오류를 초래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참조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가장 인접한 목표 포인트 클라우드의 세 점이 이루는 평면과의 수직 거리를 계산하고, 일정 거리 임계치를 만족하는 점들의 개수를 측정해 계산된 오차를 검증하여 정합 오판단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 PDF

Comparison of Representative Point Sampling Methods in Surface Based Image Registration (표면정보 기반 영상정합에서의 대표점 추출기법 비교 연구)

  • Park, Ji-Young;Choi, Yoo-Joo;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7-350
    • /
    • 2003
  • 표면정보 기반 영상정합기법은 대상기관에서 추출된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변환을 추정하여 서로 다른 영상의 전체적 형태의 유사성 정도를 최대화함으로써 정합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정합 수행에 있어 전체 객체를 가장 잘 대표하는 특정 개수의 표면점을 추출하고, 이 대표점으로부터 변환 값을 계산하는 것이 영상정합의 합리적인 최적화 단계를 위해 필수적이다. 대표점 추출결과에 따라 전체 정합의 결과가 달라지게 되므로 정합의 변환요소 값을 정확하게 구해낼 수 있는 대표점을 추출하기 위해 적절한 샘플링 기법의 선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표면정보 기반 다중 모달리티 영상정합을 위해 계통추출법 기반 샘플링 기법과 특징점 탐지 기법 기반 샘플링 기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High-Speed Image Matching Method Using Geometry - Phase Information (기하 위상 정보를 이용한 고속 영상 정합 기법)

  • Chong Min-Yeong;Oh Jae-Yong;Lee Chil-Woo;Bae Ki-Ta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9
    • /
    • pp.1195-1207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image matching techniques which is automatically retrieving the exact matching area using geometry-phase information. We proposed a Matching Method which is rapidly estimating the correspondent points between adjacent images that included big-rotation and top-bottom movement element. It is a method that reduce computation quantity to be required to find an exact correspondent position using geometry-phase information of extracted points in images and DT map which set the distance value among feature points and other points on the basis of each feature point of a image. The proposed method shows good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part to search a exact correspondent position between adjacent images that included big-rotation and top-bottom movement element.

  • PDF

An Analysis of Similarity Measures for Area-based Multi-Image Matching (다중영상 영역기반 영상정합을 위한 유사성 측정방법 분석)

  • Noh, Myoung-Jong;Kim, Jung-Sub;Cho, Woo-Su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2
    • /
    • pp.143-152
    • /
    • 2012
  • It is well-known that image matching is necessary for automatic generation of 3D data such as digital surface data from aerial images. Recently developed aerial digital cameras allow to capture multi-strip images with higher overlaps and less occluded areas than conventional analogue cameras and that much of researches on multi-image matching have been performed, particularly effective methods of measuring a similarity among multi-images using point features as well as linear feature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similarity measuring methods such as SSD and SNCC incorporated into a area based multi-image matching method based on vertical line locus. In doing this, different similarity measuring entities such as grey value, grey value gradient, and average of grey value and its gradient are implemented and analyzed. Further, both dynamic and pre-fixed adaptive-window size are tested and analyzed in their behaviors in measuring similarity among multi-images. The aerial images used in the experiments were taken by a DMC aerial frame camera in three strips. The over-lap and side-lap are about 80% and 60%,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SNCC as similarity measuring method, the average of grey value and its gradient as similarity measuring entity, and dynamic adaptive-window size can be best fit to measuring area-based similarity in area based multi-image matching method based on vertical line locus.

Updating GIS Data using Linear Features of Imagery (영상의 선형 정보를 이용한 GIS 자료의 갱신에 대한 연구)

  • 손홍규;최종현;피문희;이진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8-393
    • /
    • 2003
  • 도시화 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3차원 자료 획득의 출처가 다양해지연서, 도로 및 건물경계선과 같은 선형 GIS 정보에 대한 신속한 갱신 또한 요구되고 있다. 임의의 출처 자료로부터 대상 자료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두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여야 하며, 특히 영상정보와 같은 출처 자료와 GIS 자료와 같은 대상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시되어온 대부분의 방법들은 두 개 자료간의 관계를 정의 할 수 있는 기준정과 같은 정확한 점 정합 요소(point matching entities)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정합 요소들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영상과 GIS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없을뿐더러 위치 관계 정립의 결과는 정합 요소들의 분포 및 정확도에 매우 의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점 정합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 및 GIS 자료의 선형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점 정합 요소들을 모르더라도 영상과 GIS 자료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된 알고리즘은 개선된 Hough 변환(Modified Hough Transform)을 기반으로 다수의 선형 정보 중에 정합되는 요소들을 자동으로 찾아내고 이들을 최소제곱법으로 풀이함으로써 두 데이터간의 기하학적 변환 관계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데이터간의 기하학적 변환 관계를 결정한 후, 영상 상에는 존재하지만 GIS 자료에는 존재하지 않는 선형 정보에 대한 갱신 여부를 확인하고 갱신함으로써 3차원 위치 자료의 자동 생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로 갈수록 퇴적이 우세한 것으로 관측되었다.보체계의 구축사업의 시각이 행정정보화, 생활정보화, 산업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보다 큰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

  • PDF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based on Variable Windows using Frequency Information in DWT Domain (DWT 영역에서의 주파수 정보를 활용한 가변 윈도우 기반의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

  • Seo, Young-Ho;Koo, Ja-Myung;Kim, D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7
    • /
    • pp.1437-144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which i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obtain depth information with high-speed in stereoscopic camera environment. For satisfying these condition we propose a new adaptive stereo matching technique using frequency information in discrete wavelet (DWT) domain and variable matching window. The size of the matching window is selected by analysis of the local property of the image in spatial domain and the feature and scaling factor of the matching window is selected by the frequency property in the frequency domain. For using frequency information we use local DWT and global DWT. We identifi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has better peak noise to signal ratio (PSNR) than the fixed matching techniques with similar complex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