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치/사회 갈등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easant Societies in Colonial East Asia: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식민시대 동아시아의 소농사회: 동남아와 동북아의 보편성과 특수성)

  • Park, Sa-Myung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2 no.2
    • /
    • pp.1-41
    • /
    • 2012
  • The peasant societies of East Asia had been challenged by capitalist plantation since colonization and by socialist collectivization since decolonization. The former was decisively weakened due to the crisis of the capitalist system in the 1930s and the collapse of the colonial order in the 1940s; The latter was thoroughly discredited due to the reform of the socialist system in the 1980s and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1990s. The failure of the two epochal challenges demonstrates the historical sustainability of peasant societies in East Asia. Their survival represents the universality of Northeast and Southeast Asia,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roduction process of wet-rice agriculture for their common staple food. In spite of their diverse differences, indeed, peasant societies in colonial East Asia shared profound similarities in their basic motivations (morality-rationality), central tendencies (involution - polarization), structural outcomes (dualism - pluralism), and future prospects (survival-extinction).

Energy Scenarios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Korea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 Han, Jae-Kak;Lee, Young He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2 no.1
    • /
    • pp.107-144
    • /
    • 2012
  • Recently concerns on the energy future are rising in Korea after nuclear disaster of Fukushima in Japan last year. However, even after Fukushima disaster Korean government keeps on insisting nuclear oriented energy policy. Contrary to it, some of civil society's organizations(CSOs) including environment groups and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are making strong voices for phase-out nuclear. As a way of phase-out nuclear activity researcher groups based on CSOs have presented several alternative energy scenarios against the official government scenario so that contest between the two senarios seems not to be avoided.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politics of expertise around energy scenarios in Korea by highlighting differences between two scenarios of government and CSOs in terms of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base, value orientatio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the socio-political contexts of scenarios. Our research shows that government's energy scenario is based on scientific-positivist epistemology, firm belief in value neutrality and forecasting method, and is built by neo-classical economists at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the 'Business As Usual' approach. In contrast, alternative scenarios of CSOs can be said to be based on epistemological constructivism, value oriented attitudes and backcasting method, and be built by collaboration of researchers and activists with different academic and social backgrounds after Fukushima nuclear disaster.

  • PDF

A Study on the 'Principle-Policy Puzzle' in the Public Opinion of the 'Engagement Policy' (김대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의 이중성: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

  • Rhee, June-Woo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6
    • /
    • pp.291-326
    • /
    • 2004
  •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within which whereas the majority of Korean people agree on the principle of the unification policy, the opinions about the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the principle do not converge. To account for this phenomenon, a.k.a. 'the principle-policy puzzle in public opinion', this study constructs and tests a covariance structural model with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deology, authoritarian personality, social distance, and the evaluation of the preside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interpretive frames regarding the unification policy and political knowledge along with the main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re tested to explain the degree to which people show the gap between the agreements on the unification principle and policy alternatives. A sample of 600 Seoul people are recruite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e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odel receives empirical supports from the data. In particular, political knowledge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play key roles in accounting for the complex process of public opinion in the 'principle-policy puzzle'.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Engagement policy in the mass media and the public perception of them.

  • PDF

Observation of Family as a System within a Chosen Married ]Korean Couple and Their Extended Families (System으로서의 한국인 핵가족 및 확대가족의 관찰)

  • Kim, . Soon Yo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8 no.1
    • /
    • pp.43-84
    • /
    • 1978
  • 미국에 이민 온 한 한국가정을(정씨 가족) 대상으로 세 번의 면담 (interview) 및 art session을 통해서 이 핵가족 및 확대가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가족의 유형(family Pattern)과 관계된 이론적 모델(Theocratical model)을 理이해하고 변화되고 있는 Health Program에 있어 간호원이 "변화인자(change agent)"로써의 역활을 재발견하고자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족 및 간호과학에 새로운 접근법이며 간호의 영역이 얼마만큼 확대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1) Toman의 Family Cnstellation 이론과 일치되는 점 및 일치되지 않는 점 (2) 한국인 핵가족에서 관찰된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및 이것과 Scheflen의 이론과의 관계 (3) family Theory Bowen의 "differentiation of self"와 "family projection Process"이론에 의한 분석 (4) 핵가족에서 관찰된 상호작용 유형(interactional pattern)을 분석 (5) Art Session을 통해서 관찰된 사항 및 Critique 결과적으로 이 핵가족은 사회적 가치관이 변화된데서 오는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확대가족에서 강조된 경치관은 가족을 하나의 전체로써 보는 "우리 (we-ness)"였는데 이것은 일상사용하고 있는 언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어 즉, "내 동생 (my sister)"이라고 하는 대신 "우리 동생 (our sister)"이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언어가 뜻하는 의미와는 거리가 먼 것을 알 수 있다. 정씨 부부는 미국적 정치관을 인식해서 그들의 상호작용 유형을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토의방법으로(positive open-discuses) 접근해야 한다. 이 핵가족의 부부는 둘 다 유교사상이 강조된 가정에서 자라나, 이 부부가 결혼한지 오 년이나 되었으나 언어적 의사소통이 (verbal communication)굉장히 제한된 것을 쓸 수 있다. 인간의 경험들은 인간이 접하고 있는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사회가 배화함에 따라서 가족도 변화할 것이다. "변화는 언제나 사회에서 부터 가족으로 온다. 이 변화는 절대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오는 것이 아니다.…그러나 가족구조는(family structure)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적응해야 한다."라고 Minuchin이 지적한 것 같이 정씨 부부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갈등은 이 핵가족이 그들의 가치관 및 상호 작용유형을 변형(repattering) 시키므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미국사회에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고 있다. 세 번의 면담시간은 각 30분이었으나 Volume 생략한 것을 부기하여 둔다.

  • PDF

Political Finance and Party Discourse: Change of the German State Funding System for Parties (정치자금과 정당담론: 독일 국고보조금제도의 변동)

  • Yu, Jin-Sook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15 no.1
    • /
    • pp.237-260
    • /
    • 2009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 of wether the change of party discourse influences the change of the political finance system and the change of political finance system again effects the political discourse. The political finance and state funding system for parties in Germany is a product of political debate and conflict from the 1960's to th 1990's. The introduction of the state funding system faced critical public opinion at the beginning, and the German parties have initiated a discourse building process as the initiator role and major actor. The state funding system for parties has changed three times and shows, how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became dominant in parliamen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considers a party as a fundamental and essential institution in a democratic system.

'97실무건축계의 자화상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7 s.339
    • /
    • pp.31-56
    • /
    • 1997
  • 오늘날 건축계는 정치ㆍ경제ㆍ사회적 혼돈 상황 못지 않게 지난 몇 해 이래 혼란의 와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설계시장의 대외개방, 행정개혁에 따른 건축관계법령 정비, 연이은 대형사고에 따른 감리업무 강화 및 건축사의 책임증대, 건설업계의 설계영역 진출 시도, 경기불황에 따른 설계사무소의 경영압박 및 부익부 빈익빈 현상 심화, 과열된 수주경쟁과 건축사의 윤리의식에 대한 논쟁, 전문직으로서의 건축사 역할과 사회 대중적 요구간의 갈등. 이렇듯 혼돈과 혼란의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건축계의 현실을 바라다보는 건축 각 실무분야의 시각 또한 연령과 지역, 사무소의 규모, 작업형태, 개인적 철학이나 건축관 등에 따라 다양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지는 오늘날 실무건축계가 처한 현실을 재진단하고 나아가 미래의 모습을 함께 생각해 보고자 '97실무건축계의 자화상'이란 주제로 각 실무분야를 배경으로 실질적 관심사항과 실무건축계의 긍정적ㆍ부정적 모습은 물론 해결되어져야 할 문제점,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다양하고도 진솔한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한다.

  • PDF

Female Development in Nineteenth-Century England and Dynamics of the Bildungsroman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 Oh, Jung-Hwa
    • Women's Studies Review
    • /
    • v.29 no.2
    • /
    • pp.3-35
    • /
    • 2012
  •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complicated relations which the nineteenth-century English novel of female development has with the Bildungsroman genre, and to discuss that the story of female development effectively realizes the potential dynamics of the genre. It looks into the history of discussions on the Bildungsroman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century in Germany and developed among twentieth-century Anglo-American critics, and those on the female development which didn't start until feminist criticism ventured out at the end of 1970s, and have developed into various perspectives ever since in accordance to the progress of feminist criticism. In general, Bildungsroman criticism considers that it portrays the process how the protagonist develops self and achieves an accommodation with society.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Bildungsroman is the narrative form which represents conflicts between self and society caused by idealizing the infinitive possibility of self-determination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the limited goal of social integration. It argues that the subversive dynamics of the genre can give full play to its potential when it reveals contradictions and tensions between individual subjectivity and integration into society and connects them with criticism of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It is the stories of female Bildungshelds depicted by nineteenth-century female writers that exquisitely embody the subversive potential of the Bildungsroman. They acutely experience alienation from society where independency or autonomy is fundamentally impossible because the ideology of separate spheres does not allow them to live a meaningful life economically and sociologically outside the marriage. An example of a female Bildungsheld whose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of self and integration with society are doubled by gender is Jane Eyre. Jane Eyre is a representative Bildungsroman with subversive dynamics, which tells the story of female development but splits itself through various techniques inserting contradictory and opposite meanings, thus resignifying female development and questioning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 간의 상생협력 -갈등이슈와 규제방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 Im, Yeong-Gyun;Lee, J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8a
    • /
    • pp.69-90
    • /
    • 2006
  • 1997년 시장개방 이후 할인점을 중심으로 한 대형유통점은 급성장한 반면, 중소유통점은 계속 쇠퇴하고 있다. 대형유통점이 대도시에 이어 지방중소도시로 확대되면서 중소유통점은 대형유통점이 자신의 생존을 가장 크게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유통점과 대형유통점간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갈등이 확산되면서 일부 지자체의 경우 이미 조례로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일부 의원들에 의해 대형 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주 내용으로 하는 입법발의가 되고 있다. 중소유통점이 정부와 지자체에 요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소유통업을 살리기 위해 중소유통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달라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달라는 것이다. 반면, 대형유통점은 유통산업 전체의 건전한 발전과 선진화, 글로벌화를 위해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오히려 완화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형유통점은 중소유통점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에는 반대하고 있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가 고려할 수 있는 정책대안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 번째 방안은 자유경쟁의 원리에 의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 경쟁력이 약한 중소유통점은 계속 쇠퇴할 것이며 갈등이 심화되고 정부와 지자체에 대한 사회정치적 비난이 커질 우려가 있다. 두 번째 방안은 중소유통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다. 개별 중소유통점의 경영혁신 노력과 중소유통점간의 연대노력을 행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중소유통사업자의 경영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 교육지원, 마케팅능력 제고, 협업화, 조직화, 정보화의 촉진,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현재 정부와 다수의 지자체가 취하고 있는 방안이며 네 가지 대안 중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 번째 방안은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간의 상생협력을 정부와 지자체가 유도하는 것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두 당사자 간의 상생협력을 모색하는 것은 모양새는 아름답지만 실효성이 낮은 것이 문제이다. 전시성, 일회성 사업으로 끝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네 번째 방안은, 정부와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The Politics of Internet Content Regulation in the U.S.: A Case Study on Communications Decency Act Section 230 Reform with New Institutionalist Approach (미국 인터넷 내용규제의 정치: 신제도주의로 본 연방통신품위법 230조 개정 논의)

  • Choi, Jaedo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3
    • /
    • pp.48-60
    • /
    • 2022
  • This research analyzes the potential reform of Section 230 of the Communications Decency Act through the new institutionalist approach. The immunity provision of the Section 230, which has developed the U.S. Internet content regulation regime and protected big tech firms, is facing a significant change today. The chambers of Congress have attempted to limit the immunity shield for platforms with bipartisanship.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 critical change could come from external events including fake news controversies and data privacy scandals, as well as endogenous factors such as conflicts among actors. The discussion deals with the possible direction of Internet content regulation reforms in Korea.

The Main Issues, Election Promises and Distribution of Votes in the 2021 German Federal Election and the Political Perspective after the Election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의 주요 이슈와 공약 및 지지표 분포와 향후 정치 전망)

  • Jung, Byungkee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27 no.3
    • /
    • pp.35-68
    • /
    • 2021
  • In the German federal election in 2021, the Social Democrats returned to power by a narrow margin and the Green Party emerged as the biggest winner. The two political parties took the lead by proposing policies that met the expectations of the people in the policies of climate and environment, pandemic response and health, and labor and social security. The Merkel effec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lectio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lead to government policy after the formation of a coalition. While the class cleavage in voting behavior has weakened, the generational cleavage has grown relatively large. Older people showed more support for the two major parties, while younger people showed higher support for the Green Party and the FDP. If the generational cleavage continues, it can be linked to the growth of the Green Party and the FDP, the continued weakening of the two major parties and the emergence of other new parties. In addition, the regional cleavage between the former East and West Germany still remain, which will affect the direction of the AfD and the Left and combine with other political cleavages. The 2021 German federal election can be said to be an election that heralds the realignment of the political part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