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 인지도

Search Result 1,30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effect of Privacy Factors on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SNS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 Min, Hyeon-Hong;Hwang, Gee-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2
    • /
    • pp.1-12
    • /
    • 2016
  • Today,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and the proliferation of SNS, anyone is exposed to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Unlike the prior studies of privac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ivacy factors affecting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This study also analyses how the perceived privacy risks and corporate trust affect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empirical data show that despite experiencing the privacy leakage such as direct hacking and being aware of the risk, people are providing firms with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o perceived privacy risk are information privacy policy, information privacy concern, previous privacy experience and information privacy awareness in the decreasing order of importance. Those to the corporate trust are information privacy policy, information privacy awareness, previous privacy concern and information privacy experience. Besides, the corporate trust and the perceived privacy risk also affect the provision int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implications for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Analysis of social aspects effect of overseas water busines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influence (영향력 평가를 통한 해외 수자원사업의 사회적 측면 효과성 분석)

  • Kang, Min Suk;Park, Sung J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6-266
    • /
    • 2015
  •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는 전 세계적인 사항이며, 그 중 물과 관련한 사항은 가장 큰 문제로 주시되고 있다. 물 관련 인프라와 산업이 미비한 국가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국의 물 공급 등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 물 산업의 해외진출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수자원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실제적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스리랑카 Galle 광역시 상수도 사업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효과적 측면 중 사회적 측면인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경제 활성 기여, 성 인지도 제고, 지속가능성 제고에 대해 평가하였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은 현지의 통계자료 분석, 관계자 면담 등을 통해 취수시간 감소 및 깨끗한 물 공급 달성과 수인성 질병 감소를 조사하였으며, 경제 활성화 기여는 관련 문헌조사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여부를 파악하였다. 성 인지도 제고는 관계자 면담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여성가사노동 감소 및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정도 및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지속가능성 제고는 관련 정책 개선여부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깨끗한 물 공급이 사업 착수 전보다 원활해 졌으며, 수인성 질병 중 하나인 이질 환자가 감소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사료된다. 또한 상수도 사업을 통한 기간시설의 용수공급이 원활해지고 용수부족 해소 및 관광산업 등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서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성인지도 제고에 대한 분석은 원활한 물 공급으로 인하여 여성의 물 관련 가사노동 감소에 기여하였으나 여성의 사회참여 기여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상수도시설 확충으로 인하여 용수보급률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관련제도를 개선하여 담당 기관의 재무건전성을 제고시킴으로서 지속가능성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스리랑카 Galle 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이러한 성공적인 결과는 해당 국가의 개발정책과 높은 의지와 인구가 밀집되어있고 인구에 비해 급수보급률이 낮은 지역, 관광서비스 산업 밀집지역이 사업대상지로 선정된 요소가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해외 수자원 사업 진출 시 해당국가의 개발정책의지와 대상지역의 현황, 사업으로 인한 다양한 영향력을 고려한다면 성공적인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Service and Cognitive function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 연구: 건강정보이해능력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Shin, Hye-Ri;Kim, Young-Sun;Lee, Sang-Hwa;Choi, Eun Young;Maeng, Su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1
    • /
    • pp.395-407
    • /
    • 2020
  •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nd whether health liter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and cognitive function.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Dementia Literacy Survey collected by K University. The final analytic sample included 522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aged 60 to 79. Results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dementia service use and higher levels of health literacy were related to better cognitive function and that health literac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hen older adults used dementia service, those with higher levels of health literacy reported high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health literacy. Our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gnitive health benefits arising from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A study on the nation images of the big three exporting countries in East Asia shown in Wikipedia English-Edition (영어 위키피디아 페이지뷰를 통한 한중일 국가 인지도 비교)

  • Lee, Youngwhan;Chun, Heuiju;Sawng, Youngwh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5
    • /
    • pp.1071-1085
    • /
    • 2015
  •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develop a way to extract a near real-time online nation image using social media.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nation images and the categories defined in Wikipedia, an ont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 image was constructed. Separately, data sets from various social media were compared and the click view of Wikipedia English-edition was selected. The ontology was applied to the recent six years of the data extracted of the three big exporting countries of the east Asia, China, Japan, and Korea. To compare the nation images, correspondence analysis was employed to show images in the area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The nation images extracted are indeed the reasonable representation of them. The researchers verified them to a few known government policies and confirmed that it could be used to help government officers to make foreign policies to boost nation's export and to employ as a key performance index for them.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Jeong, Chu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ception Survey for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개발을 위한 인식도 조사)

  • Kwak, Seung-Jin;Noh, Dong-Jo;Chang, Yun-Keum;Hwang,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59-70
    • /
    • 2010
  • To develop a policy for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udies that reflect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various groups.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formation service policies of other national digital libraries, focus group interviews of professionals from related fields, and a survey of library users and librarians are needed.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that asks library users and librarians for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NDL as a part of research projects to develop the NDL information service policy.

Why Security Awareness Education is not Effective? (정보보안 인식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

  • Yim, Myung-S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27-37
    • /
    • 2014
  • While organizations are making a considerable effort to leverage formal and informal control mechanisms (e.g., policies, procedures, organizational culture) to improve security, their impact and effectiveness is under scrutiny as employees seldom comply with information security procedures. The best way to ensure the viability of a security policy is to make sure users understand it and accept necessary precautions. From an organization's perspective, a lack of security knowledge and awareness on the part of employees is a major problem. However,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effect of security awareness education is inconsistent. Thus, this study is to find the answer why security awareness education is not effectiv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