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 기술 언어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 Security Policy Description Language Based on Graphical Object Oriented Notations (그래픽 기반의 객체지향 표기법을 이용한 정형적인 보안정책 기술 언어)

  • 강철범;김상현;김지영;장희진;이우진;김상욱;유동영;김형종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6-360
    • /
    • 2002
  • 인터넷의 급속한 확대로 인해 컴퓨터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보안 문제는 점차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보안 문제를 어떻게 다루느냐는 어떠한 보안정책을 구현하고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기존 보안정책들을 표현할 수 있는, 그래픽 기반의 새로운 보안정책 언어를 제시한다. 이 언어는 객체 지향 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는 그래픽 보안정책 기술 언어이다. 보안정책은 객체 내부 상황 및 객체들 사이 연관성을 표현하여 보안정책이 적용되는 상황을 기술하고 보안정책에서 만족되어야 하는 조건 및 행위 또한 객체 내부와 객체간의 연관성으로 표현된다. 객체지향 보안정책 언어는 그래픽 언어이기 때문에 명확하고 이해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상태도로 대상 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명시된 보안정책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XML 기반 접근제어 기술 동향

  • 김주한;문기영
    • Review of KIISC
    • /
    • v.13 no.4
    • /
    • pp.68-73
    • /
    • 2003
  • XML 기반 접근제어 기술(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 XACML)의 목적은 인터넷 상의 접근제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제품들 및 그 제품들의 서로 다른 환경들 사이에서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권한부여(authorization) 정책을 제공하고, 그 정책을 통하여 기존의 다양한 환경 및 f.#식을 가진 접근제어 제품들에 상호운영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XACML의 구성은 접근제어를 위한 XML 기반의 언어로 접근제어 정책(policy) 언어와 요청/응답(request/response) 언어로 되어 있으며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정책 언어는 누가 언제 무엇을 할 수 있는 지를 기술하는 접근 제어 정책들을 표현하는 데에 사용되며, 요청/응답 언어는 특정 접근이 허용되는 지에 대한 질의를 표현하거나 그 질의에 대한 응답을 기술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XACML의 대한 기술 소개와 표준화 등의 기술 동향을 분석한다.

Policy Description Language for Ubiquitous Environment based on Context-aware Role-based Access Control (상황 인식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환경 정책 기술 언어)

  • Shin, Jae-Ho;Kang, Kyoung-Koo;Ahn, Joon-Seon;Chang, Byeong-Mo;Doh, Kyou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521-5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환경 정책 기술 언어를 제시한다. 역할 기반 접근 제어는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지 않고 역할에 부여함으로써 접근 제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빈번하게 변화하는 사용자들의 일치 정보와 같은 동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을 고안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 기술 언어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언어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의 장점을 활용하며, 동적인 상황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역할을 할당하고 정적인 상황 조건을 이용하여 역할에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상황 인식 유비쿼터스 환경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PDF

Security policy Model and description language for Secure Operating Systems (보안운영체제를 위한 보안정책모델 및 기술언어)

  • Cho Joo-Bong;Kim Jung-Sun;Kim Min-Soo;Noh B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3-227
    • /
    • 2006
  • SELinux와 같은 보안 운영체제들은 정교한 접근통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타입(Type)과 매크로 등과 같은 정책 설정 구성요소가 많아지게 됨으로서, 운영체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정책관리자가 정책을 설정하고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정책기술 및 적용의 복잡성은 SELinux와 같은 훌륭한 보안운영체제의 범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책기술 및 정책 설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관리자들이 사용하기 쉬운 보안 정책모델과 기술언어를 제안하고 SELinux의 정책과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이 개선되었음을 보인다.

  • PDF

Mutilingualism and Language Education Policy (다언어주의와 언어교육정책)

  • Kim, Yangs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321-326
    • /
    • 2020
  •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multilingualism. A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multilingual, language policy should be centered on the multilingual speakers as the norm, and multilingual language policy is the best route which we can follow as a language policy in education. The motivation and legitimacy of the multilingual policies are suggested in terms of 6 different perspectives: identity, sustainability, equity, World Englishes, machine translation, and Universal Grammar (UG). As a model of language policy, the English-Plus (i.e., English+n) policy and similarly the Korean-Plus (i.e., Korean+n) policy are suggest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language polic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America and Korea respectively. These plus policies aim at bilingual fluency in both the native languag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that are constitutive of the multilingualism of the country in which the bilingualism is treated as a variant of multilingualism. In a period of convergence and divers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anguage diversity and multilingual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a right to be protected or as a resource to be conserved rather than as a problem to be solved.

A Study on Education Factors to Solve Digital Divide for Marriage Immigrants (결혼이주여성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Young-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75-678
    • /
    • 2011
  •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통합을 하는데 필요한 교육정책에 관한 논의인데, 그 중에서 한국사회를 구성하는 기존 구성원들과의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들은 대부분 언어격차의 해소를 위한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그들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격차의 해소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활용능력과 정보의 습득이 곧 여러 가지 삶의 질이나 다양한 기회의 획득에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빠른 사회통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의 현황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기초하여 정보교육의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세부항목을 추출하여 정보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정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Knowledge-Grounded Dialogue Generation Using Prompts Combined with Expertise and Dialog Policy Prediction (전문 지식 및 대화 정책 예측이 결합된 프롬프트를 활용한 지식 기반 대화 생성)

  • Eojin Joo;Chae-Gyun Lim;DoKyung Lee;JunYoung Youn;Joo-Won Sung;Ho-Jin Cho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09-414
    • /
    • 2023
  • 최근 지식 기반 대화 생성에 많은 연구자가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특정 도메인에서의 작업 지향형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다양한 도전 과제가 있으며, 이 중 하나는 거대 언어 모델이 입력과 관련된 지식을 활용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데 있다. 하지만 현재 거대 언어 모델은 작업 지향형 대화에서 단순히 정보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응답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 지식과 대화 정책 예측 모델을 결합한 프롬프트를 제시하고 작업 지향형 대화에서 사용자의 최근 입력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일상 대화를 지원하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은 모델 파인튜닝에 비해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향후 대화 생성 분야에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SELinux보안 정책 복잡성 개선을 위한 보안 정책 설정 도구

  • Lee, Jae-Seo;Kim, Min-Soo;Noh, Bong-Nam
    • Review of KIISC
    • /
    • v.19 no.2
    • /
    • pp.43-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가장 대표적 인 보안 운영 체제인 SELinux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정책 템플릿과 도구를 설명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을 위해 먼저 SELinux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된 기존에 도구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SELinux를 심도 깊게 분석하여 SELinux에서 이용하는 주체, 객체의 타입 그리고 권한을 객체 타입과 객체별, 권한별로 축약하였다. 이처럼 축약되어 간소화된 객체 타입과 권한을 바탕으로 리눅스 시스템이 이용하는 임의적인 접근통제 형태를 지원하는 보안 정책 템플릿 기술언어를 정의하여 SELinux보안 정책의 복잡성을 개선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동으로 제안된 보안 정책 템플릿 언어로 작성된 보안 정책을 SELinux의 보안 정책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자동으로 정책을 생성하는 생성기를 개발하여 SELinux 이용의 편리성을 최대화 하였다.

정책 기반(Policy-based) 인지 무선 네트워크 관리 기술

  • Heo, Seong-Man;Choe, Jun-Ho;Yu, Sang-Jo;Jang, Yong-Eop;Jeong, Gil-Su;Lee, Gwang-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58-66
    • /
    • 2012
  • 최근 부족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지 무선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필요한 핵심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인지 무선 단말의 전송을 제어하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정책기반 인지무선 네트워킹 기술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환경에서도 단말의 행동을 규제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기회적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화하는 무선 환경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동적 정책 관리 및 제어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정책 기반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정책 표현의 확장성을 고려한 정책 기술 언어 동향과 동적 정책 구성 및 적용을 지원하는 정책 기반 인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The Design of SELinux Policy Template Description Language (SELinux 정책템플릿 기술언어 설계)

  • Choi, Min-ho;Kim, Jung-Sun;Kim, Min-Soo;Noh, B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965-968
    • /
    • 2007
  • 현재 보안 운영체제로서의 SELinu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정책을 설정함에 있어서도 시스템 콜 레벨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정책 정의를 SELinux의 TE모델보다 간략하게 표현 및 정의하고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언어를 본 연구에서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안 운영체제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