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 관리

Search Result 7,5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Green Port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in the Green Growth Era - The Case of Gwangyang Port in Republic of Korea - (녹색성장시대에 환경친화적 항만관리정책의 발전방향 - 광양항을 중심으로 -)

  • Jeong, Bong-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3
    • /
    • pp.361-384
    • /
    • 2009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urrent conditions of transport demand and its environmental problems in Gwangyang Port(GP), and to suggest crucial directions for Gwangyang Green Port(GGP)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concept of green growth and green port; the analysis of transport demand and environment situations in GP; policy directions for GGP. This study is mainly conducted by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 papers, and interviews with port experts. This study presents important policy directions for successfully managing GGP in Korea as follows: modal shifts plan for green transport and logistics system in GP; energy-saving techniques in GP's berth operatio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ort operation methods in GP; construction of GP waterfront facili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disposal of maritime waste matter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ort environment master plan. This study will make a big contribution to the building of green port policy and the providing of professional informations to government officials.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EN Graphic User Interface Module for Access Control Policy Management (SEEN 접근통제 정책관리 GUI 모듈 설계 및 구현)

  • Shin, Sam-Shin;Lee, Jae-Seo;Kim, Jung-Sun;Kim, Min-Soo;Kim,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13-10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EEN 보안운영체제 시스템에서 접근통제 정책관리 도구의 설계 및 구현한 내용을 설명한다. 보안운영체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보안 관리자가 정책을 설정하고 적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책 적용 및 정책 설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근통제 정책관리 처리에 대한 것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 할 수 있고 친숙한 그래픽 기반의 형태로 특별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와 보안 관리자들에게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Policy-Based Secure Policy Information Modeling for Secure System (정책 기반의 보안 시스템을 위한 보안정책 정보모델링)

  • Kim, Do-Soo;Shon, Sun-Kyoung;Kim, Jin-O;Shin,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815-1818
    • /
    • 2003
  • 인터넷 사용의 급증으로 통신망 관리와 정보보호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보보호를 위한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구축된 정보보호 시스템은 사설망과 WAN에서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운영관리 되고 있는바, 사설망과 공중망 간의 통합적인 정보보호 관련 정보공유의 부재 및 상호 호환성이 없는 실정으로 사이버 테러와 효율적인 정보보호 관리에 능동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 기반의 방화벽, IDS, 라우터 등의 정보보호 시스템에서 보안정책 정보를 공유하여, 보안 시스템을 손쉽게 제어관리 가능한 보안정책 정보모델을 제시하였으며, UML를 사용하여 보안정책 객체들 간의 접속과 정보공유 모델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ative Evaluations of Flood Management Indices (치수관리지수의 비교 평가)

  • Lee, Dong-Ryul;Lim, Kwang-Suop;Choi, Si-Jung;Cho, Hy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00-1504
    • /
    • 2008
  • 급변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하여 집중 호우 빈발과 도시화와 지역개발로 인한 홍수피해 급증 등을 유발하여 많은 지역들이 홍수에 노출되는 위험도가 증가되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물 관리에 대한 대중의 참여증대와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 등으로 대중에게 치수관련 정책의 정당성에 대한 설득력을 주어야 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치수정책 시행시 일반대중들에게 치수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필요한 정책 수단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지역과 유역의 홍수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치수관리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에서 개발되었던 대표적인 치수관리지수들의 개발목적, 필요자료 등을 소개하고, 비교 및 평가를 통해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유역의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치수관리지수 산정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Open Research Data Policy Trends and Domestic Status (오픈 연구데이터 정책 동향 및 국내 현황)

  • Choi, M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97-97
    • /
    • 2017
  • 최근 연구 환경과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공공 연구성과의 개방과 공유에 기반한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가 과학 연구의 글로벌 어젠더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OECD는 오픈 사이언스를 정책의제로 채택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호주 등 세계 선진국에서는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과제로부터 생산된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쉬운 접근, 재사용을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해 데이터 관리 계획(Data Management Plan)을 비롯한 오픈 연구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연구데이터를 공유 활용하기 위한 법제도적 기반과 관련 인프라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 연구데이터를 위한 세계 각국의 정책 동향을 소개한다. 그리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2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국내 20개 대학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데이터 생산, 관리, 활용 현황과 데이터 공유 활용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본다.

  • PDF

수요관리를 통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

  • 김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401-412
    • /
    • 1995
  • 1994년 봄부터 남부지역으로 심화되기 시작함 가뭄은 우리에게 물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 수자원의 수요와 공급사이의 불균형을 해소시키고 물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수요관리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ASCE의 국가 물 정책위원회에서 제시한 "물 보존을 위한 정책선언(Water Conservation Policy Statement)"의 9가지의 정책분야를 중심으로 가능한 절수 관리 방안들을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재조명해 보고 절수를 새로운 공급원으로 하여 시스템분석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과 우리가 하여야 할 과업을 정리해 본다.업을 정리해 본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in Foreign Electronic Records: NARA, LAC, TNA, NAA, and SFA (국외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 정책 비교 분석 -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스위스를 중심으로 -)

  • So, Jeong-Eui;Han, Hui-Jeong;Yang, D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8 no.4
    • /
    • pp.125-148
    • /
    • 2018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y of electronic records published abroad to derive and compare the policy elements necessary for policy establishment. The U.S., Canad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Switzerland archives were selected, which officially announced the e-Record Preservation Policy.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f the five selected countries resulted in six main policy elements. These six policy elements are preservation scope,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risk management, integrity assurance methods, preservation infrastructure, and reference models. We compared and analyzed fiv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through policy elements and found six implications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were focused on establishing a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in line with the actual state of the institution and using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utside of the country as advanced cases f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records.

Analysis of the Water Usage of Industrial and Reuse by Each Watershed (유역별 공업용수 사용량 및 재이용량 분석)

  • Park, Young-Jin;Lee, Kyu-Won;Kim, Ji-Ho;Choi, 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5-809
    • /
    • 2012
  • 최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물과 주변 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고, 인구증가 등으로 물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가시화되는 물 부족문제로 인해 인간은 물론 주변 환경까지도 위협받고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 수자원정책은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기존의 물 공급측면 정책과 더불어 물 수요측면의 정책이 부각되고 있으나 수요관리측면에서 수자원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수요관리에 대한 연구 부족, 수요관리를 중심으로 한 효과 검증이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 수요측면의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물 수요측면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거 용수이용 추이 및 현재의 이용량이 정확히 파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전국의 공업용수의 실제 사용량 조사를 통해 전국의 지역별 물이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계획을 수립하고, 물을 어떻게 적절히 공급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실 이용량을 조사 및 분석하여 용수의 합리적인 개발, 이용과 배분 등 국가 물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향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용수공급계획과 균형적 안정적 용수배분을 목표로 하는 종합적 수자원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International Ocean Issues and Policy Regime (국제 해양환경안전 이슈와 정책레짐 변화)

  • Choi S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2 no.2 s.25
    • /
    • pp.115-123
    • /
    • 2006
  • The policy regime of ocean is changed from ocean liberty paradigm to ocean management paradigm. Ocean resour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eak excludability and strong rivalry. Therefore, they need rational ocean management so as to curb the tragedy of commons. The important ocean issues and policy regimes today is ocean pollution, coastal management, sea-level rise, fishery, whaling, ocean jurisdictions, deep seabed resources, military security, piracy, ecological environmental security and so on.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se major international ocean issues, the policy regimes for them, and the desirable tasks of ocean policy regimes in the future from the macro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cean politics or policy-making.

  • PD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n Frequently Flooded Areas (상습침수지구 통합관리 시스템)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3-227
    • /
    • 2011
  • 유역 특히 상습침수지구의 통합관리는 유역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물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모든 인간 활동과 자연현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관리는 유역 차원에서 물을 경제적이고 공평하게 관리하고 분배하여 수자원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 시민사회 및 기업 행위자가 사회경제적 개발목표와 정책형성, 집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들은 행위자들과의 영향으로 수정되며, 이런 과정에서 토지와 수자원에서 분쟁이 발생하며, 수자원 관리자는 자연현상, 물 사용, 재정적, 인적자원 및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목적을 달성하는데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제약조건하에서 수자원 관리자가 의사결정에 정보를 주고 주요 행위자들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고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본 모형은 관측자료를 통해 상향식 접근법으로 가능한 많은 세부사항을 모의할 수 있다. 분석과정은 자료의 수집, 모델 확립, 모델의 개발, 통계자료 수집 및 모델의 결과와 실제 시스템의 보충된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검증 순으로 진행되며, 본 모델에서의 행위자는 과거의 행동으로부터 주위 환경의 반응하는 패턴을 확인하고 개발하며, 이러한 패턴은 정책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강화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행위자의 익숙한 방식의 합리적인 행동과 정책들의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강화학습을 통해 실제적인 통계적인 모델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