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전 분무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배가스 내 PM1.0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정전분무 습식 전기집진기에 대한 연구 (Study on Wet Electric Precipitation with Electrospray for Removal of PM1.0 in Exhaust Gas)

  • 조연주;임현정;김소연;최상미;정민규;김민성
    • 플랜트 저널
    • /
    • 제16권1호
    • /
    • pp.34-37
    • /
    • 2020
  • 최근 한국의 미세 먼지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배가스 내 미세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전기집진기와 사이클론 집진기에 정전분무 기술을 결합하여 집진 성능의 증대를 목표로 한다. 정전분무는 일반적으로 질량분석, 혹은 반도체 코팅에 이용되므로 그 유량이 매우 적다. 분무 액적과 미세먼지의 이온결합을 통하여 집진을 해야하는 본 연구의 특성상 기존 정전분무의 유량에 대비하여 매우 큰 유량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정전분무 시작 전압, 혹은 분무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전분무와는 다른 유량 및 전압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예상되는 다양한 형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전효과를 이용한 분무노즐의 분무성능 평가 (Spray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Spraying Nozzle Using Electrostatic Effect)

  • 조성인;이동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456-466
    • /
    • 1996
  • Electrostatic spraying is needed for today's sustainable farming. An electrostatic spraying nozzle was developed and its spray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High voltages of 15㎸, 20㎸, and 25㎸ were supplied for the electrostatic electrode. Artificial and real apple targets were used for the spraying experiments. Insulated material was used around the electrode to protect the loss of electrostatic effect. Three angles (0, 45, 90 degree) of spraying direction were used for the spraying test. The performance of electrostatic spraying was improved from 204.5% upto 429.2% on the apple targets.

  • PDF

정전분무의 유체 물성치와 정전 매개변수 따른 분무특성 (Spra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luid Properties and Electric Parameters of Electrospray)

  • 김지엽;홍정구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88
    • /
    • 2020
  • Electrospray is used in various industries because it can produce continuous and uniform drople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ptimal spraying condition due to lack of data in various conditions. In this study, various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electric parameters and fluid property. The electric parameters set Nozzle to Substrate(NTS), nozzle diameters and the fluid property set viscosity and conductivity as conditions. In this study, it observes spray patterns, Sauter Mean Diameter(SMD) according to conditions. As a result, fluid propertie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cone-Jet mode than on the nozzle diameter, NTS, and flowrate. All of solutions have Stable cone-jet mode at voltage of 8.5 kV, NTS of 20 mm and nozzle diameter of 0.2 mm. SMD has 27% different depending on viscosity and conductivity. The increased flowrate and viscosity are rising break-up length and thickening jet also jet is thinned by increased conductivity. Experiments have confirmed that the jet is thickened by increased flowrate and viscosity, and that the jet is thinned by conductivity.

정전분무법을 이용한 YSZ 박막 제조 (Preparation of Thin YSZ Film by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 권병완;김진수;박정훈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17-1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정전분무법을 이용하여 YSZ 박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박막은 제조시 전구체 용액, 지지체 온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지지체 온도가 $400^{\circ}C$일 때 치밀한 YSZ 박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최적조건 하에서 정전분무법을 활용하면 약 $12{\mu}m/h $의 속도로 치밀한 YSZ 박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제조된 박막은 XRD, FE-SEM, EDX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전분무모드에 관한 액적특성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Droplet Characteristics Related to Electrospray Mode)

  • 김지엽;이도현;조주형;홍정구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6-35
    • /
    • 2022
  • Electrospray is a method of atomizing fluid using high voltage supply and capable of generating continuous flow and coherent size of droplets. Electrical system and properties of fluids has enabled electrospray to have various spray modes. However, its studies have been confined only in Cone jet, which is more stable and easier to manipulate droplets' size than other spraying mo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compare other spraying modes based on experimental parameters and physical properties of fluids. This research paper identified nine different spray modes. It was found out that Sauter Mean Diameter (SMD) is proportional to flow rate of fluids and maximum difference among spray modes was 1.7 times. On the other hand, SMD standard deviation had low variations on specific flow rates of fluids. Pulsed jet mode recorded the largest SMD standard deviation, while Spindle recorded the lowest.

배가스 내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고성능 집진 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igh performance Electrical Precipitation Technology for PM Removal in Exhaust Gas)

  • 김소연;김민성;최상미;정민규;이진욱
    • 플랜트 저널
    • /
    • 제18권1호
    • /
    • pp.50-54
    • /
    • 2022
  • 미세먼지 배출 허용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화력발전소, 제철소, 산업용 열병합 발전소 등 배가스 배출 시설의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 고효율 집진장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기집진기에 정전분무 기술을 도입하여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정전분무는 매우 미세한 액적을 생성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어왔지만, 집진을 목적으로 할 때는 그 유량이 10mL/min으로 65 ~ 200배에 달하는 고유량 조건이 필요하다. 고유량의 정전분무는 저유량과는 완전하게 다른 분무 형상이 나타나며 코로나 방전 사진 촬영, 그림자 촬영법 등 다양한 촬영을 통하여 이를 가시화하였다.

  • PDF

구연산법에 의한 Yttria Doped Ceria (YDC) 분말 합성 및 정전분무법에 의한 YDC 박막 제조 (Synthesis of Yttria Doped Ceria Powders by a Citrate Method and Their Thin Film Preparation by Electrospray Method)

  • 권혁택;백승민;김진수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76-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조성과 입자 크기를 가지는 YDC 분말을 구연산법을 이용하여 합성하고, 이를 정전분무법을 이용하여 박막으로 제조하였다. 금속염에 구연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합성한 고분자 전구체는 $750^{\circ}C$에서 3 h 동안 열처리하여 형석구조의 단일 결정상 YDC 분말로 제조되었다. 최적의 정전분무 조건에서 코팅된 박막은 $1400^{\circ}C$에서 3 h 동안 열처리된 후 기공이 없는 치밀한 구조를 나타냈으며, 코팅 두께는 분무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유체 정전분무의 액체 미립화 및 분무 특성 (Liquid Atomization and Spray Characteristics in Electrostatic Spray of Twin Fluids)

  • 김정헌;배충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11호
    • /
    • pp.1552-1560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 study undertaken to develop an electrostatic spray system for a combustion appl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atomization and the droplet dispersion in the electrostatic spray of twin fluids were investigated by the optical measurement techniques. Th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break-up of charged jets were also observed using the laser sheet visualization. The diameter and velocity of droplet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using the phase Doppler measurement technique. The electrostatic atomization of the liquid fuel depended primarily on the charging voltage and the flow rate, but the dispersion of droplets depended significantly on the aerodynamic flow. Aerodynamic influences on the liquid atomiza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charging voltage. Consequently, the liquid atomization and the droplet dispersion could be independently controlled using the electrostatic and aerodynamic mechanisms.

Shadowgraph 가시화 기법을 활용한 정전분무액적의 크기 측정 (Size measurement of electrosprayed droplets using shadowgraph visualization method)

  • 오민정;김성현;이명화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1-158
    • /
    • 2017
  • 실내 환경 및 산업체 배기가스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압력손실이 낮으면서도 집진효율이 높은 전기집진기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집진기는 서브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먼지에 대한 제거효율이 낮기 때문에, 정전분무법으로 하전액적을 공급하여 먼지와의 충돌을 촉진시켜 하전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먼지의 하전효율은 정전분무된 액적의 크기 및 개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액적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돗물로 정전분무를 한 후, 분무된 액적을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화하여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Image J 프로그램으로 액적의 크기분포를 측정하여 가시화방법에 따른 액적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레이저로 가시화하여 고속카메라로 촬영하면 미세액적의 이미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액적의 크기는 Xenon광으로 가시화하여 측정한 것보다 약 50 %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레이저로 가시화하여 측정한 액적의 크기가 $Fern{\acute{a}}ndez$ de la Mora and Loscertales (1994)의 예측치와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분무량과 분무입경의 독립적 제어를 위한 이류체노즐 제어시스템 개발 (Spray Control System Development of Two-Flow Nozzle to Control Spraying Rate and Droplet Size Independently)

  • 안형철;이중용;정창주;이종인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7
    • /
    • 1999
  • 최근 정밀농업기술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점살포, 직접살포, 또는 방제목표물의 크기에 따른 분무량 조절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든 기술이 분무량 조절에만 치중되어 있다. 일반적인 수압식 노즐의 경우에 분무압을 이용하여 분무량을 제어하면 분무입자의 크기가 적정 이외의 크기로 살포되어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하나의 제어인자 즉 분무압만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특성 즉 분무량과 분무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정밀방제에 있어 분무입경과 분무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려면 두 가지 제어인자를 가진 노즐을 이용해야만 가능하며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노즐로는 원심노즐과 이류체노즐, 정전화노즐 등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