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자농도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2초

세포외 $Ca^{2+}$$Ca^{2+}$-ATPase가 정자의 첨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ellular $Ca^{2+}$ and $Ca^{2+}$-ATPase on the Acrosome Reaction of Spermatozoa)

  • Yung-Keun Oh;Jae-Ho Chang;In-Ho Choi;Noh-Pal Jung;Hyung-Cheul Shin;Byoung-Ju Kw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3
    • /
    • 1998
  • 세포내, 외 $Ca^{2+}$ 농도구배 유지에는 $Ca^{2+}$-ATPase와 $Ca^{2+}$-$Na^{+}$ exachangers가 주요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Ca^{2+}$-ATPase의 기능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Ca^{2+}$-ATPase는 체세포에서 세포막에 위치하고 있으며 $Ca^{2+}$을 세포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세포내부의 $Ca^{2+}$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Ca^{2+}$-ATPase는 포유동물의 정자에도 존재하고 있지만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설명이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정자가 수정을 하기 위한 기능적인 능력이 $Ca^{2+}$ 농도와 관련된 변화와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가를 규명하고, 이러한 $Ca^{2+}$ 농도 조절이 원형질막의 중요인자인 $Ca^{2+}$-ATPase와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기 위해 시도한 결과, $Ca^{2+}$-ATPase는 세포내, 외 $Ca^{2+}$의 농도구배를 조절함으로써 세포내 $Ca^{2+}$의 농도를 증가시켜 정자가 수정능 획득과정으로 빨리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첨체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세포외 $Ca^{2+}$ 농도가 높게 유지될 경우에도 정자의 첨체반응이 유도됨으로써 난자와 용이하게 수정을 할 수 있는 생리적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불연속 Percoll 원심분리에 의한 돼지 X-정자와 자성배아에 관한 연구 (Discontinuous Percoll Gradients Enrich X-Bearing Porcine Sperms and Female Embryos)

  • 심대용;유성진;강한승;유정민;이채관;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47-52
    • /
    • 2001
  • X, Y정자를 분리하여(sexing techlology)필요한 성을 조절한 배아의 연구가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돼지의 X 정자와 Y정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불연속 percoll농도구배를 제조한 후 상층에 정액을 분주하여 120${\times}$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분리된 각 층의 정자를 회수(7${\times}$10$^6$ sperms/ml)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한후, PCR 방법을 이용하여 Y 염색체의 성 결정 유전자(TDF)인 SRY(sex determining region of Y chromosome) 유무를 판단하였다. TCM-199배양액에 성숙시킨 난자와 분리하지 않은 정자를 대조군으로, 분리한 X 정자를 실험군으로 인공수정을 한 후 돼지 체외 수정란을 획득하였다. 체외 생산된 2세포기의 배아의 SRY 유전자를 PCR증폭하여 성 판별에 사용하였다. 불연속 percoll 원심분리 후 정자의 생존율은 95%층에서 94.4% ${\pm}$ 5.1% (P < 0.01)로써 가장 높았다. 체외수정한 결과 분리하지 않은 대조군(47.1%)보다 자성정자가 많다고 판단되는 실험군에서 수정율이 높았다(80%).불연속 percoll 원심분리 후 SRY유전자의 PCR을 실시한 결과 30%, 50%, 65%농도에서 80%, 95% 농도보다 Y 염색체 특이적인 밴드가 많이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여 상층에 Y 염색체를 가지는 웅성 정자가 많이 있으며 하층에 X 염색체를 가치는 자성정자가 많이 있는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95% 농도 층의 정자를 인공수정한 초기배아의 자성은 66.7%로서 대조군 33.3%보다 높았다. 따라서 불연속 percoll 원심분리 후 80%, 95%층에서 X 정자가 많이 회수되고,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자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Superoxide Dismutase에 의한 돼지 동결-융해정자의 Lipid Peroxidation과 체외수정능력 (Lipid Peroxidation and Fertilizing Ability In Vitro by Superoxide Dismutase in Boar Spermatozoa Frozen-Thawed)

  • 사수진;위미순;오진영;정희태;박수봉;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7-337
    • /
    • 2001
  • 본 연구는 superoxide dismutase (SOD)가 동결-응해 돼지정자의 lipid peroxidation과 체외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결-응해 정자는 10 units/$m\ell$의 SOD가 첨가된 배양액에 의해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정자생존율을 나타냈으나 서로 다른 농도에 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SOD농도에 관계없이 정자처리 직후의 생존율은 120분간 배양 후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한 정자처리 후 배양시간이 0, 60 및 120분으로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첨체반응 유기율이 증가하였지만 SOD 첨가 또는 무첨가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체외수정시 1 unit/$m\ell$의 SOD를 첨가한 경우 0, 10 및 100 units/$m\ell$ 첨가시 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으며, 10과 100 units/$m\ell$의 SOD 첨가시 낮은 다정자 침입율을 나타냈다 (P<0.05). 정자의 peroxidation은 malondialdehyde의 생성에 기초를 두고 평가하였는데 SOD 무첨가에 비해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malondialdehyde의 생성이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동결-융해된 정자는 sulfhydrl(-SH) group의 용량을 측정한 결과 SOD무첨가시 보다 첨가시 높은 용량이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동결-융해된 정자가 체외에서 성숙시킨 난자의 투명대에 접착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 SOD 무첨가 보다는 첨가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접착정자수가 증가하였으며 100 units/$m\ell$ 첨가시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접착정자 수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OD는 돼지 동결-융해정자에 있어서 난자의 투명대 접착능력의 증가와 함께 체외수정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에 있어서 난자내 정자 직접 주입에 의한 외래 유전자 도입에 관한 연구 (Exogenous DNA Transfer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n Porcine Oocytes)

  • Ahn, S. Y.;Lee, H. T.;K. S. Chung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9-347
    • /
    • 2001
  • 정자를 매개체로 한 유전자 전이는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을 위한 가능성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 또한 세포질내 정자 주입법에 의한 외래 유전자의 전이에 의한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이 최근에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자를 EGFP유전자와 공배양한 후 이를 난모세포내에 미세 주입한 다음, 수정란의 발달과 EGFP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돼지 난자에 정자, 세포질막이 파괴된 정자 또는 정자를 주입하였다. 주입 후 수정된 난자는 NCSU23 배양액에서 배반포까지 배양하였으며, 배발생율과 EGFP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정자를 미세 주입한 결과 난할율은 67.0%로 정자두부를 미세주입한 난할율인 59.7%보다 높았고, 수정란의 EGFP 유전자 발현율은 각각 42.1와 20.0%로서 전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세포질막을 파괴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로 정자를 처리하여 주입하였을 시 구정란의 배발생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정자, 세포막이 파괴된 정자를 주입하여 배반포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15.0과 14.2%로서 유의차가 없었다. 동결융해하거나 Triton X-100으로 처리한 정자를 주입하여, EGFP 발현율을 조사한 결과, 동결융해 정자를 사용했을 때의 성적이 38.4%로 타군의 성적인 22.4%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미세 주입에 앞서 정자는 EGFP 유전자의 0.01 ng/${\mu}\ell$ 부터 1 ng/${\mu}\ell$까지의 여러 농도로 배양되었다. 그러나 난할율을 조사한 결과 EGFP 유전자의 농도 차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정자 배양액에 첨가된 EGFP 유전자의 농도가 0.1 ng/$m\ell$일 때 EGFP 발현율은 37.4%로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포질막을 제거한 정자에 외래 유전자가 묻게 되며, 이 정자는 외래유전자를 수정란내로 옮겨 매개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자형태 및 정자농도의 검사를 위한 Unopette의 사용 (Use of Unopette for the Observation of Sperm Morphology and Sperm Concentration)

  • 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97-500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determine whether Unopette can be used for the observation of sperm morphology and sperm Concentration. Rabbit sperm and frozen-thawed bovine sperm were observed with phase contrast microscope after dilution with Unopette acooriding to duration of preservation at 3~5$^{\circ}C$. Sperm using Unopette showed high normal sperm(%) than sperm using hematoxylin-eosin until 48 hours. Sperm using Unopette revealed no difference in sperm concentration until 24 hours, as compared with control sperm. As a result, Unopette was assessed as appropriate solution for preservation in terms of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sperm concentration.

  • PDF

불임시술의 전환이 정맥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version of Infertility Treatment on Semen Quality)

  • 김용진;지병철;서창석;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3호
    • /
    • pp.159-166
    • /
    • 2007
  • 목 적: 불임 부부에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연속하여 시행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및 전환하여 시행한 체외수정시술이 정액검사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진단적 목적으로 컴퓨터정액분석기를 이용한 정액검사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를 시행한 후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38예의 환자에서는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고 (Group 1), 15예의 환자에서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였다 (Group 2). 이들에서 두 번째 불임시술을 위해 채취한 정액의 양 (volume), 정자의 농도 (concentration), 운동성 (motility), 총운동성정자수 (total motile sperm count) 등의 컴퓨터정액분석소견을 이전에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 시행한 정액검사소견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불임 부부간의 남편 연령, 첫 번째 시술과 두 번째 시술 사이의 시간 간격, 불임의 원인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1에서 첫 번째 시행 시의 정액검사소견의 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정자의 운동성은 첫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보다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 2에서는 첫 번째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 시보다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 정자의 운동성, 총운동성정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 2의 하위그룹 분석에서는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 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와 총운동성정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 시행 시 비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에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운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자궁강내 정자주입 술 시행 후 임신에 실패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게 된 환자의 정액검사소견은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을 계속 시행 받은 환자군에 비해 더 악영향을 받는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 체외성숙 난자에 ICSI에 의한 수정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Rates Using ICSI with In Vitro Matured Bovine Oocytes)

  • 정진호;김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9-267
    • /
    • 2001
  • 본 연구는 저정자증 또는 불임축의 수태율 증진과 불임해결에 적용할 목적으로, 일차적으로 소 정자의 PVP, HA의 농도, 신선 및 동결정자, 정자의 농도, 활력, 정자의 수정능획득법 및 난자의 투명대 부착과 미부착별로 현미조작에 의해 난자의 세포질내 단일정자의 주입했을 때 수정율 및 체외발생율을 조사하였다. 1. 소 난자의 ICSI시 PVP 농도를 0.01, 0.02, 0.03, 0.05%별로 처리한 정자를 micropipette내에 흡입하여 세포질내 주입하였을 때 수정율과 분할율은 각각 72.7∼90.9% 및 38.5∼54.5%로서 0.02%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수정율과 분할율을 나타냈다. 2. 소 난자의 ICSI시 HA농도를 0.01, 0.02%, 0.02%의 PVP + HA별로 micropipette내에 흡입하여 세포질내 주입하였을 때 수정율과 분할율은 각각 72.7%와 81.8% 및 45.5%와 54.5% 및 83.3%와 37.5%였다. 3. 소 난자에 신선 및 동결정자를 이용하여 ICSI법으로 수정시 수정율은 각각 93.3%, 86.1%였으며, 분할율은 60.0%, 46.7%로서 신선정자를 이용하였을 때가 동결정자를 이용했을 때보다 높은 수정율과 분할율을 나타냈다. 4. Heparin, BFF 및 His법으로 수정능획득 처리한 정자로 IVF 및 ICSI시 수정율은 각각 61.9%, 52.6%, 45.0% 및 85.7%, 78.9%, 65.0%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23.8%, 15.8%, 10.0% 및 61.9%, 52.6%, 50.0%로서, 수정능획득 처리에 있어서 heparin법이 다른 수정능획득 처리법에 높은 수정율과 분할율을 나타났다. 5. 투명대의 부착과 미부착별 난자로 IVF 및 ICSI 법으로 수정시 수정율은 각각 63.2%, 47.8%와 84.2%, 78.3%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15.8%, 8.7%와 57.9%, 34.8%였다. 6. 소 체외성숙 난자에 IVF법과 ICSI법으로 수정시켰을 때 수정율은 각각 63.3%, 64.6%와 88.2∼90.0%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26.7%, 29.2%와 52.9%, 67.5%로서 ICSI법으로 수정시켰을 때 수정율과 분할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 PDF

북방산개구리의 정자형성주기에 관한 연구

  • 고선근;김정우;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80-587
    • /
    • 1993
  • 북방산개구리의 성체 수컷들 년중 채집하여 gonadosomatic index(GSI)와 정자형성과 정 및 정소내 testosterone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자형성은 8월에 시작되어 9월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때 GSI도 가장 높았고 세정관의 단면적도 가장 넓었다 번식기(2월) 이후 일정기간 동안에는(3월-7월) 정자형성이 정지되었으며, GSI나 세정관의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정소내 testosterone양은 11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월에 가장 높았으며 3월부터 급격히 감소되어 10월 까지 매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Interstitial cell의 수도 동면기간이 찰동기 보다 훨씬 많았으며 핵의 크기도 동면기간이 훨씬 컷다. 따라서 testosterone의 생성 증가와 interstitial cell의 활성화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들은 북방산개구리의 정 소에서는 정자형성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일어난다는 것과 2월 이후에는 testosterone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이 개구리의 번식기가 2월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 PDF

Hamster 정소상체 정자의 운동성 유도와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Methylxanthine Derivatives 의 효과 (Effects of MethyIxanthine Derivatives on Induction and Enhancement of Hamster Epididymal Sperm Motility)

  • 박용석;송상진;이호준;이상진;김남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9-36
    • /
    • 1999
  • 본 연구는 Hamster 정소상체 정자의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methylxanthine derivatives 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Pentoxifylline 을 첨가하였을 때 운동 형태에 대한 첨가효과는 정소상체 체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농도에 대한 변화는 1 mM 농도군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2-Deoxya-denosine 첨가군에서도 pentoxifylline 첨가군과 같이 특히 VCL 이 정소상체 체부 정자부터 증가하였으며 다른 농도군에 비해 1 mM 과 2 mM 에서 차이가 났다. Hypoxanthine 첨가군은 1 mM 농도에서 다른 첨가군에 비해 운동 형태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pentoxifylline 과 adenosine 첨가군과는 달리 농도를 달리하여도 뚜렷한 운동형태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VCL 과 VAP 는 pentoxifylline 1 mM 과 2-Deoxyadenosine 1 mM 첨가군에서 정소상체 체부 정자의 운동성이 증가하고 hypoxanthine 1 mM 첨가군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hamster 정소상체 정자의 운동성은 적정한 농도의 methylxanthine derivatives 의 첨가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