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연한 논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Sijo Poetry (시조의 텍스트성(textuality) 연구)

  • Im Jong-Chan
    • Sijohaknonchong
    • /
    • v.21
    • /
    • pp.5-22
    • /
    • 2004
  • If Sijo poetry is referred to a text which is composed of sentences. its textuality can be explored in terms of 1) the figurative words used in each line. 2) the logical sequence between lines. 3) the syntactic composition of each line. With the ancient Sijo poem. 1) it is composed of logical sentences as a result of extremely restraining from using figurative words that could prevent the reader from grasping the logical sequence within the work; 2) there is a clear cohesion between lines that can make each work perfectly coherent; 3) each line has a balanced syntactic structure, so the entire structure of a Sijo poem is '6 phrases in lines'. With the modem Sijo peom. 1) it abounds in figurative words, which prevent the work from having a logical sequence, and sometimes even from having three lines; 2) there is a loose cohesion between lines which can't make each work coherent; 3) it sometimes destroys the syntactic structure, '6 phrases in 3 lines', unique to traditional Sijo poetry. I think that this trend of modern Sijo poetry can cause haphazard the existence of modern Sijo poetry.

  • PDF

전략적 제휴의 성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Kim, Lee-Tae;Song, U-Y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93-115
    • /
    • 1998
  • 기존 연구가 전략적 제휴의 관리론적 의의에 등한시 한 반면, 본 논문은 제휴의 관리과정에 기초한 과정적 접근법과 구조적 행위적 특성에 기초한 내용적 접근법을 단일모형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전략연구에서 제시된 성공결정요인이 제휴의 관리과정상 각 단계에서 갖는 의미를 체계화하였다. 물론 정연한 논리체계를 갖는 정교한 모형이라기 보다는 아직까지 전략적 제휴에 관한 이론적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향후의 정교한 이론구축을 위한 하나의 방향제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logic of unconscious (무의식의 논리)

  • 이귀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201-201
    • /
    • 1999
  • 감성(sensitibility)은 반사적이며 직관적으로 발생하고, 인위적인 조정이 불가능하며 명확한 표현이 어렵고 모호하다고 한다. 또 감정(emotion)이 주어진 대상에 따라 동일한 반응을 보이는 공통성을 갖지만, 감성은 동일한 대상에도 개인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변한다고 본다. 이는 반응 형성의 두 가지 요소인 외부의 자극이나 대상과 반응하는 주체의 양자에서, 감정이 감성에 비해 외부의 자극이나 대상의 영향을 더 받고, 감성은 상대적으로 외부 상황보다는 반응 주체의 다양한 내부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감성의 특징들은 Freud가 말한 무의식의 특징과 비슷한 점이 많다. 따라서 무의식의 작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감성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무의식이란 우리의 마음에 항상 작용하고 있지만,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분명하게 알아 볼수가 없고 확실하게 드러나지도 않는 어떤 힘을 말한다. 이는 개인의 다양한 과거 경험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우리가 항상 경험하고 있는 의식은 확실하게 서로 구분되는 대상과 확인율(the principle of identity), 구분논리(bivalent logic), 모순율(the principle of formal contradiction), 상반율(the principle of incompatibility), 가감율(the operation of substraction)을 수용하여 작용한다. 무의식은 의식활동의 이러한 명료함과 정연함을 벗어나 활동한다. 대상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정연한 논리가 흐트러진다. 일상에서는 꿈의 내용과 어린이의 생각, 감정에 치우칠 때 무의식의 특징이 나타난다. Freud는 꿈을 관찰하여 무의식의 작용양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부딛힘이 없이 공존하고 일상의 논리가 무시된다. 부정, 의심이 없고 확실한 것이 없다. 한 대상에 가졌던 생각이 다른 대상에 옮겨간다(displacement). 한 대상이 여러 대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condensation). 시각적인 순서가 무시된다. 마음속의 생각과 외부의 실제적인 일을 구분하지 못한다. 시간 상의 순서가 있다가 없다가 한다. 차례로 일어나야 할 일이 동시에 한꺼번에 일어난다. 대상들이 서로 비슷해지고 동시에 있을 수 없는 대상들이 함께 나타난다. 사고의 정상적인 구조가 와해된다. Matte-Blance는 무의식에서는 여러 독립된 대상들간의 구분을 없애며, 주체와 객체를 하나로 보려는 대칭화(symmetrization)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생긴다고 하였다. 또 대칭화가 진행되면 무한대의 느낌을 갖게 되어, 전지(moniscience), 전능(omnipotence), 무력감(impotence), 이상화(idealization)가 나타난다. 그러나 무의식에 대칭화만 있는 것은 아니며, 의식의 사고양식인 비대칭도 어느 정도 나타나며, 대칭화의 정도에 따라, 대상들이 잘 구분되어 있는 단계, 의식수준의 감정단계, 집단 내에서의 대칭화 단계, 집단간에서의 대칭화 단계, 구분이 없어지는 단계로 구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orm of Sijo seen from Various Aspects (다각적 관점에서 본 시조 형식 연구)

  • Im, Jong-Chan
    • Sijohaknonchong
    • /
    • v.30
    • /
    • pp.147-164
    • /
    • 2009
  •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authentic syllable count of sijo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 Second, the structure of the statement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 1) Each statement extremely excludes the use of modifiers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the logic. 2) The meaning of each of the three statement, chojang (the 1st statement), jungjang (the middle statement) and jongjang (the last statement), is connected to the previous one closely, so the text as a whole is perfect. 3) The last statement identifies itself as the conversion or conclusion of the whole text. Therefore, the last statement should begin with a connective adverb like 'Therefore' or 'Then'. But in ancient sijo works, this sort of connected adverb is normally omitted. 4) Each statement of sijo is composed of one of the 4 structures suggested below: a) subjective phrase + predicative phrase b) the formal clause + the latter clause c) location-indicating phrase + sentence d) objective phrase + predicative phrase Since the text of a sijo work is formed like this, sijo is said to be composed of three jang (statement) & six gu (phrase), which is the very feature that proves that sijo is a fixed form of ve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