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압분포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가스터빈 베인 끝벽의 열전달 특성 및 정압분포 측정 (Measurement of Heat Transfer and Pressure Distributions on a Gas Turbine Vane Endwall)

  • 이용진;신소민;곽재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38
    • /
    • 2006
  •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static pressure distributions on a gas turbine vane endwall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a 5 bladed linear cascade.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an axial chord length and the cascade exit velocity was 500,000. Both heat transfer and pressure measurements on the vane endwall were made at the two different turbulence intensity levels of 6.8% and 10.8%. Detailed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on the vane endwall region were measured using a hue detection based transient liquid crystals technique. Results show various regions of high and low heat transfer coefficients on the vane endwall surface due to several types of secondary flows and vortices.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endwall static pressure distributions showed similar trends for both turbulence intensity, however, the averaged heat transfer coefficients for higher turbulence intensity case was higher than the lower turbulence intensity case by 15%.

  • PDF

자유제트형 지상추진 시험설비를 사용한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마하 5 성능시험 (Mach 5 Performance Tests of Scramjet Engine Intake Using Free-jet Type Ground Propulsion Test Facility)

  • 이양지;양인영;이경재;오중환;최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20
    • /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자유제트형 지상추진시험설비인 스크램제트 엔진 시험설비의 마하 5 조건에서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성능분석 시험을 진행하였다.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대표적인 성능 인자인 전압력 회복률, 공기 포획율 측정을 위하여 격리부 후방에 설치되는 피토/정압 레이크가 설계 제작되었다. 격리부 후방에 장착된 레이크가 전방의 흡입구 램프와 격리부에 미치는 영향과 레이크로 측정된 흡입구의 성능 인자 분석 그리고 흡입구의 받음각 변화에 따른 벽면 정압력 분포 변화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끝으로 연소기에서의 압력 상승을 모사하는 장치인 흡입구 후방 배압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흡입구 불시동이 발생하는 시점을 확인하였으며, 본 논문에는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다중패커시스템을 활용한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연구 (Study on the hydraulic properties of crystalline rock using Multi-Packer system)

  • 이진용;김경수;박경우;유시원;한운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24-1928
    • /
    • 2009
  • 다중패커시스템은 격리된 어느 특정 구간의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으며 그 구간의 온도, 압력 등의 자료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각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구할 수 있다. 심도별 수직적 지하수두는 지상에서 연결 롯드를 통해 압력 측정 센서를 해당 심도까지 내려 롯드에서 설치된 압력 측정용 장비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으로는 양수시험, 순간충격시험, 간섭시험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순간충격시험을 이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출된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다중패커시스템을 설치하기 전 나공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다중패커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심도별 지하수두는 정수두 (hydro-static)상태의 일정한 경향성이 없이, 각 심도에 존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수의 관측공을 통해 수평 방향의 수리경사를 산출함에 있어 관측공의 심도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 결과를 나공 상태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 결과에 대해 심도별 도출되는 수리전도도가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으로 인해 투수량계수 (transmissivity)로 환산한 유효 투수계수로 비교하여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으로 제안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Bent Duct 내부 유동의 손실 측정 (Investigation of Pressure Loss in Bent Duct)

  • 노우진;임주현;송성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8
    • /
    • 2009
  • Bent duct 는 손실을 가중시키고, 효율을 저하시킨다. 지금까지 bent duct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입구와 출구가 같은 형상에 대해서 연구가 되어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구는 환형이지만, 출구는 원형을 가진 bent duct에 대해서 진행되었다. 입구 속도 54 m/s, 레이놀즈수 238,000에서 수행된 이번 연구에서는 bent duct 바깥에 태핑홀을 배치하여 정압분포를 확인하고, 입구와 출구에서 5공 프로브로 유동을 측정하여 스트림 방향 속도 프로파일과 전압 손실 계수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압 손실 계수, 0.243를 얻었다.

  • PDF

디스크 회전각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 하류에서의 유동특성 (Flow Characteristics in the Downstream Region of a Butterfly Valve with Various Disk Opening Angle)

  • 조대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7-272
    • /
    • 2006
  • 버터플라이 밸브는 선박에서 냉각수와 유류 계통 등에 범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량조정에 따른 배관계통의 버터플라이밸브 후류 유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입자영상 유속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밸브개도에 따른 유선과 속도벡터 분포에 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또한 밸브 주위 유동장의 압력성분을 고찰하기 위하여 개폐각도를 6가지 경우로 변화시켜 정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관 벽면에서 측정된 압력의 분포는 디스크가 전개 상태인 $0^{\circ}$에서 $45^{\circ}$까지는 입구 압력은 일정한 상태로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약 $60^{\circ}$ 이상에서부터 압력 상승과 점차 급격한 변동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75^{\circ}$ 부근에서는 상류에서 급격한 압력 상승 경향을 보인 반면 하류 측은 압력변동이 적게 나타났다.

  • PDF

결정질 암반내 지하연구시설에서 수행한 현장수리시험법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Hydraulic Test Method Performed at an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 in Crystalline Rock)

  • 박경우;고낙열;지성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2호
    • /
    • pp.121-13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하연구시설에서 결정질 암반의 수리지질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수리시험법의 적용 가능성 및 신뢰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펄스시험, 슬러그시험과 정압시험을 이용하여 각 시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투수량계수를 서로 비교해 보았다. 펄스시험과 슬러그시험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매질의 투수성이 낮은 시험 구간에서는 투수량계수가 매우 유사하게 도출되었지만, 투수성이 비교적 큰 구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투수성이 큰 구간에서 정압시험 결과에 비해 순간수위변화시험의 결과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투수성의 차이는 각 수리시험에서 적용되는 수리 영향 반경의 상이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각각의 현장수리시험에서 도출되는 결과가 매질의 투수성을 동일하게 반영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단열의 불균질한 분포가 투수성에 영향을 주는 결정질 암반에서의 수리지질특성을 도출할 때 수리영향반경이 큰 정압시험이나 정률시험뿐만 아니라 비교적 빠른 시간에 수리지질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슬러그시험과 펄스시험을 통해서도 매질의 수리지질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수 북부지역 화산암의 단열특성과 수리전도도와의 관계 (The Relation of Fracture Properties to Hydraulic Conductivity in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Yosu Area)

  • 조성일;송무영;김경수;이은용
    • 지질공학
    • /
    • 제9권3호
    • /
    • pp.227-241
    • /
    • 1999
  • 단열암반 내의 지하수 흐름은 단열의 분포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수리전도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인자로서 단열 틈의 크기와 단열 교차빈도가 고려된다. 본 연구는 여수반도 북부지역의 화산암에 분포하는 단열의 간격과 틈의 크기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의 유형과 단열의 분포특성이 수리전도도 값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열의 분포특성은 core logging과 초음파주사 검층을 통하여 조사되었으며, 일정구간별 수리전도도는 이중패커를 이용한 정압/압력강하 시험으로서 산출되었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단열간격과 단열조별 틈의 크기는 대수정규분포를 나타내지만, 개구성 단열 틈의 크기는 정규분포에 가깝다. Core logging에 의한 투수성 단열, 텔레뷰어 검층에 의한 개구성 단열군, 그리고 Set 1에 속하는 단열들이 교차되는 수리시험 구간에서는 수리전도도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열암반의 수리전도도는 투수성 단열 틈의 크기에 1차적인 영향을 받으며 단열의 교차정도 및 크기에 2차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유체정압을 고려한 $9\%$ 니켈강재 내부탱크 바닥판의 설계 안정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Design Safety of $9\%$ Nickel Based Inner Tank Bottom Plate in Terms of Hydrostatic Pressure)

  • 김청균;김한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5-41
    • /
    • 2004
  • 본 논문은 완전 밀폐방식의 LNG 저장탱크에서 $9\%$ 니켈강재로 제작된 내부탱크 바닥판의 응력과 변위량에 대한 거동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내부탱크에 LNG가 유입되면서 바닥판이 최대 유체정압을 받는 경우, 내부탱크의 바닥판에 걸리는 응력과 변위량 분포를 내부탱크 바닥판의 기울기, 환상판 두께와 길이의 설계함수로 고찰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140,000m^3$ 저장용량의 내부탱크에서 바닥판의 기울기는 100${\~}$200 : 1 정도로 최적화 설계를 하는 것이 응력특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내부탱크 환상판의 두께는 20mm 정도, 환상판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저장탱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 PDF

정압주입시험을 이용한 지하수유동차원 해석 (Flow Dimensional Analysis for Constant Pressure Injection Test)

  • 이은용
    • 지질공학
    • /
    • 제3권2호
    • /
    • pp.149-165
    • /
    • 1993
  • 지하매질의 유동특성을 알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은 아직도 현장수리시험에 의존하고 있다. 열극암반에서 유동모델의 개념정립을 위하여는 열극체계분포와 특히, 수리시험해석결과가 중요시되고 있다.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리시험은 조사공구간별에 따른 수리전도도를 방사상의 정상류로 가정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있다. 또한 시험대상 매질을 균질한 대수층 또는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매질로 간주하며 구간별 투수량계수는 시험구간을 가로지르는 각 열극의 투수량계수의 합과 같다고 가정한다. 국내 기존의 수리시험 및 해석방법으로는 수리학적 경계면의 영향(boundary effects)이나 유동로의 기하학적 형태(flow geometry)에 대한 자료를 얻기가 힘들며, 일정한 조사공 주변을 벗어나면 투수성열극의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없다. 열극특성을 고려한 지하수유동 해석을 위하여 단일공 정압주입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비정상류해석방법을 통하여 유동차원(flow dimension)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추시에는 단일패커시험을 일정구간별로 시행하였으며, 조사공의 시추후에는 이중패커에 의한 구간별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정상류해석으로 구한 수리전도도값은 정상류해석의 결과와 큰 차이(10배 이내)는 없었으나, 정압하에서 도출된 유동량변화곡선에서 유동차원분석이 가능하였다. 상부구간(<10m 깊이)의 단일 및 이중패커시험결과는 모두 정상류의 유동차원이 나타났으며, 이는 영향반경의 경계면이 open system임을 알 수 있다. 15m 깊이에서 도출된 유동량변화곡선은 1차원 유동상태에서 3차원(구상유동)으로 변화하였다. 하부구간(25m 깊이)의 시험결과는 closed system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조사구간에서 연결된 열극이 수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장수리시험으로부터 보다 많은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수리시험장비의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구간을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패커장비와 미세한 유동량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유량계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조사구간의 압력변화를 자동기록할 수 있는 계측기기가 필요하였다.

  • PDF

경사노즐 선회분사기의 가솔린 미립화 및 분무 내부 압력 분포 (The Gasoline Ato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of Tapered Nozzle Swirl Spray)

  • 문석수;최재준;배충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3호
    • /
    • pp.283-291
    • /
    • 2007
  •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atomization characteristics and velocity distribution of tapered nozzle swirl spray is analyzed and then compared with original swirl spray.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inside the swirl spray is measured using a piezoresistive pressure transducer. Phase Doppler anemometry (PDA) is appli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droplet size and velocity distribution of tapered nozzle and original swirl spray.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spray shows the lower value compar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is pressure drop is getting attenuated as the taper angle is increased. The droplet size of tapered nozzle spray shows similar value compared to the original swirl spray at the horizontal mainstream while it shows increased value at vertical mainstream. The deteriorated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tapered nozzle spray is improved by applying high fuel temperature injection without causing the spray collapse. The velocity results show that the larger portion of fuel is positioned with higher injection velocity, and the smaller portion of fuel is positioned with lower injection velocity with causing spatially non-uniform mixture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