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압분포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저속용 피스톤에 가해지는 오일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특성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of Oil on a Low-velocity Piston)

  • 박희재;최재욱;김상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4호
    • /
    • pp.450-456
    • /
    • 2010
  • Shock absorber의 부품인 피스톤을 설계하기 위하여 저속용 피스톤에 가해지는 오일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압축속도는 0.0156~0.0642 m/s를 나타났으며, 0.9 mm인 orifice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속도벡터는 속도가 클수록 회전하려는 경향이 커졌다. 0.8 mm인 orifice의 속도분포와 정압분포 속도벡터는 2차적으로 속도가 변하였고 두 번째 압력강하가 발생하였으며, orifice 근처 유선의 분포는 orifice 중심을 기준으로 와류가 발생하였다. 압축실에서 인장실로 통과하는 속도분포는 직경이 작은 orifice에서 속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압축실과 인장실의 압력차가 크면 클수록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이 크게 나타났다.

터보 압축기 성능시험을 위한 계측기기 선정 (Instrumentation for Performance Test of Turbo Compressor)

  • 박태춘;강영석;양수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2호
    • /
    • pp.46-52
    • /
    • 2008
  • 5MW급 발전용 가스터빈의 주요 구성품 중 압축기에서의 성능시험 및 해석을 위해 측정 파라미터와 그 파라미터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류를 선정하고자 한다. 축류압축기의 경우 각 단의 케이싱에서 정압 분포를 평균하여 계측하고, 내부 유동장에서 Kiel 온도관을 이용하여 전압 및 전온도 분포를 계측한다. 원심압축기의 경우 임펠러 출구의 허브면과 팁면에서의 정압 분포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므로 각 면에서 정압을 측정하여 평균하고, 디퓨저 내부와 디스월러 내부에서의 정압 분포를 계측하기 위해 한 피치에서 5개의 유선을 따라 10 곳에서 정압을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압축기 내 유동특성과 동익-정익간의 상호작용을 고찰하기 위해 5공 피토관을 이용하여 내부 상세유동을 계측한다.

  • PDF

다수의 출구를 가지는 크린룸 내부의 기류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ow Distribution in a Clean Room with Multiple Exits)

  • 이재헌;이시운;김석현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7권4호
    • /
    • pp.418-425
    • /
    • 1988
  • 종래의 전통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속도 경계조건만을 처리할 수 있으며, 크린룸에서와 같이 넓은 출입구가 존재하는 실제적인 유동통로에서 이 속도 경계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실제 속도의 측정은 간단하지 않다. 그렇다고 경계에서의 속도 분포를 가정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측정이 쉬운 압력이 경계조건으로 알려졌을 때 공간 내부의 유동을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문제를 해석하였다. 여기에서의 속도 경계조건은 다만 점착조건과 문제를 확정시키기 위하여 입구에서의 단면 방향 속도를 영으로 둔 것 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간단한 Bernoulli 방정식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되었으며 5% 이내의 차이로 정량적인 일치를 보았으며 이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구와 2개의 유출구에 압력경계조건이 부여된 크린룸 내부의 공기유동을 수치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유입구의 정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는 왼쪽 유출구의 정압보다 150[Pa] 높은 경우에 왼쪽 유출구의 정압은 고정시키고 오른쪽 유출구의 정압을 0~150[Pa] 범위에서 25[Pa] 간격으로 변화시켜가면서 각 경우에 대한 크린룸내부의 유동특성과 유입구의 속도분포 그리고 2개 유출구에서의 유량분배와 크린룸 내부의 유동특성을 예측하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압이 부여된 오른쪽 유출구로의 유량배분은 이 유출구에 부여되는 정압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유입구에서 역류가 형성될 수 있을 만큼 정압이 증가된 후에는 유량배분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 PDF

터보펌프 인듀서의 유동해석

  • 최창호;홍순삼;김진한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2호
    • /
    • pp.25-32
    • /
    • 2003
  • 액체로켓용 터보펌프 인듀서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에 이루어졌다. 다수의 유동조건에서의 쉬라우드 표면 정압분포, 수두 및 효율에 대한 계산이 수행되었으며,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쉬라우드 정압의 분포는 실험과 비교하여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입구의 역류가 심한 지역에서는 실험값과 차이를 보였다. 전체 성능, 즉, 수두 및 효율은 대체로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지만, 고유량에서 계산값이 실험치에 비하여 낮게 예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채택된 인듀서의 경우, 유량계수가 0.074일 경우에 수력성능이 최고가 되었으며, 유량계수가 0.085이상에서 입사각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 PDF

등연속체매질로서의 화강암지역의 유효수리전도도 산출 (Estimation of the Effective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Granite Area as an Equivalent Continuum Medium)

  • 김경수;김천수;배대석
    • 지질공학
    • /
    • 제12권3호
    • /
    • pp.319-332
    • /
    • 2002
  • 본 연구는 화강암이 분포하는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수리지질 단위층을 등연속체매질로서 설정하고, 각 단위층의 유효수리전도도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3"직경의 4개 시추공과 다중패커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단열분포특성조사, 정압주입/수위강하시험, 전공 순간충격시험, 그리고 격리구간 내 펄스시험이 수행되었다. 수리지질 단위층을 정의하기 위하여 단열분포특성을 기초로 하여 일차적으로 상하부 단위층의 경계설정을 시도하였고, 수리전도도 변화특성을 이차적인 요소로 대비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수리시험 결과의 차이와 효과적인 암반 투수성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상부 수리지질 단위층의 유효수리전도도는 정압주입/수위강하시험의 경우 5.27E-10 m/s~7.57E-10 m/s의 범위를 가지며, 하부 영역에서는 2.45E-10 m/s~6.81E-10 m/s의 범위를 갖는다.

삼차원(三次元) 수분류(水噴流)의 충돌(衝突) 압력(壓力) 분포(分布)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mpinging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Three Dimensional Impinging Water Jet)

  • 이종수;최국광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217-228
    • /
    • 1998
  • 축류비가 5이고 형상비가 7인 장방형(長方形) 노즐을 사용하여 연직 상향의 3차원 자유 충돌 수분류계를 구성하였다. 수평 충돌판에 상향의 장방형 충돌수분류가 충돌할 때, 보조수를 동반하지 않은 단일수분류 및 보조수를 동반하는 수분류에 대하여 노즐-충돌판 사이의 거리, 노즐출구 속도를 변수로하여 노즐의 긴변 방향과 짧은 변 방향에 대하여 전압 및 정압 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때 충돌판상에서 정압이 영이 되는 국소 위치까지의 거리인 충돌 반폭을 구하고, 최고 압력을 나타내는 정체점을 기준으로 무차원 정압 분포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실험조건에서 정체점상에서의 충돌속도를 구하였으며, 충돌속도는 노즐-전열면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그 감쇄율은 삼차원 자유 분류의 특성감쇄 영역의 유동 특성을 갖는다.

  • PDF

인듀서 성능예측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Hydrodynamic Performance Prediction of a Turbopump Inducer)

  • 최창호;홍순삼;김진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2-78
    • /
    • 2003
  • 액체로켓용 터보펌프 인듀서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5,000RPM 및 6,000RPM의 회전속도 조건에서 여러 가지 유량조건에 대하여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이에 대한 입구유동각, 쉬라우드 표면 정압분포, 수두 및 효율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쉬라우드 정압의 분포는 실험과 비교하여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입구의 역류가 심한 지역에서는 실험값과 차이를 보였다. 전체성능, 즉, 수두 및 효율은 대체로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지만, 유량계수 0.08이상의 고유량에서 계산값이 실험치에 비하여 낮게 예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채택된 인듀서의 경우, 유량계수가 0.074일 경우에 수력성능이 최고가 되었으나, 유량계수가 0.085이상에서 입사각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되었다. 흡입성능의 측면에서는 입사각이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이 권장되므로 설계자는 성능과 흡입성능에서 적절한 유량계수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고압 스월분무 내부의 압력분포 및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and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High-Pressure Swirl Spray)

  • 문석수;;최재준;배충식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8-175
    • /
    • 2006
  •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and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high-pressure swirl spray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spray and apply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e static pressure differenc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 of spray was measured at different axial locations and operating conditions using a piezo-resislive pressure transducer. To obtain the qualitative value of swirl motion at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the spray impact-pressure at the nozzle exit was measured using a piezo-electric pressure transducer, and the flow angle was measured using a microscopic imaging system. The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high pressure swirl spray was simulated by the 1-phase 3-dimensional CFD model. The effect of pressure alternations on spray development was discussed with macroscopic spray images and a mathematical liquid film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c pressure drop is observed inside the swirl spray as a result of the dragged air motion and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air. The recirculation vortex inside the spray was also observed inside the swirl spray as a result of the adverse pressure gradient along the axial locations. The results of analytical liquid film model and macroscopic spray images showed that the static pressure structure is one of the main parameters affecting the swirl spray development.

  • PDF

하부 플레넘 구조물 조건을 고려한 클린룸의 편류 개선 방법 (Improving Vertical Airflow Uniformity Considering the Structures of the Lower Plenum in a Cleanroom)

  • 김영섭;하만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7-25
    • /
    • 2008
  • To achieve the unidirectional airflow in a cleanroom, we need to predict accurately the static pressure losses at the lower plenum and to control properly the opening pressure ratio of access floor panels based on these pressure losses. At first,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correlation to predict the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lower plenum, because the accuracy to predict pressure losses at the lower plenum depends on how to calculate the velocity correctly against the inner structures at the lower plenum.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proposed correlations which considered the effect of inner structures such as columns, ducts and equipments at the lower plenum on pressure losses. In order to test the accuracy of these correlations, we compared air flow patterns before regulating the opening ratio of access floor with those after regulating. Results after regulating the opening ratio of access floor show good unidirectional uniform airflow pattern. So the present method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to control the air flow in a cleanroom.

단일공에서 정압주입시험을 이용한 단열투수량계수 산출

  • 박준형;박경우;배대석;김교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88-291
    • /
    • 2005
  • 방사성폐기물 처분연구의 일환으로 단열 암반지역의 지하수 유동에 있어서 각 단열조의 투수량계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지역에 설치된 3기의 시추공에서 초음파 검층, 정압주입시험 및 유동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열은 방향성, 틈의 크기 등의 그 분포 특성으로 인해 각 시험구간내의 지하수 유동에 있어서, 유동형태 및 단열투수량계수를 좌우하므로 일반적으로 수리특성에 널리 이용되는 다공성매질의 연속체 개념을 통한 해석의 적용에 신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