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신의료시설 유형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Regulation for Mental Healthcare Facility and Delivery System in China (중국의 정신의료시설 및 지원체계에 관한 법제도 연구)

  • Gao, Wen Mei;Yun, Woo Yong;Chai, Choul G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4 no.1
    • /
    • pp.7-1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mental healthcare delivery services and types of facilities, the status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planning standar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basic data for the performance of related research and work task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mental healthcare facility type and support system. Furthermore, it will show a lack of current function management as the changes of mental health concept and demand for services increases,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mental health facil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research on law and regulation of China's mental healthcare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ntal healthcare facility. The analyzed data are the national standard GB, the optional national standard GB/T, the building construction standard JGJ, and the report issued by the Health Planning and Development Committee. Results: At present mental healthcare facility construction in China is in the period of rapid development and it exposes the layout of medical facilities, which is not currently reasonable and the service does not reach the designated position and so on. Overall, it requires more detailed guidelines to enhance the quality of mental healthcare service.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f this paper will provide effective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Chinese Mental healthcare system and facilities, and can promote construction of Chinese mental healthcare facility theory in perfect condition.

A Study on the Regulation for Type and Design Guideline of Mental Health Service (정신보건서비스 유형 및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관련 법제도 분석 연구)

  • Moon, Ha Ni;Yun, Woo Yong;Chai, Choul G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2 no.2
    • /
    • pp.25-33
    • /
    • 2016
  • Purpose : The information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Korean law is so unclear that people hardly enable to understand what sort of proper mental health service is prepared for them. Futhermore, there is not enough regulation and standard to classify each type of facilities in the la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and facility standards by analysing Korean law and polici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research on law and regulation of mental health facility.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The first one, current law and policy do not reflect a change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paradigm. The second one, the classified facility should be designed to fit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The third one, overall, it requires more detailed guidelines to enhance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Besides, the treatment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are necessary criteria that can also be enhanced. Implications : This study looked at the classification and facility standard of mental health facility by the change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paradigm. Forward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facility.

A Study on the Floor Plan Typ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서울시 기초정신건강증진센터의 평면유형 및 소요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Lim, Yen Jung;Chai, Choul G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0 no.1
    • /
    • pp.45-5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basis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floor plan type and spatial composition by analysing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to 22 standard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ental Health Center is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Location types of mental health center were 'Director type', 'Health center connection type', 'Public facilities connection type', 'Complex center connection type' and 'Commercial Facilities connection type'.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management a mental health center is divided into two types. Types are 'Complex type' and 'Independent type'. Average area of 'Complex type' is $192.99m^2$ and 'Independent type' is $266.87m^2$. This difference affects the various spaces.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give and architectural suggestion of mental health center in response to the proposal of the system.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Facility Type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in Japan (1) (일본 정신보건복지센터의 운영체계 및 시설유형 분석연구 (1))

  • Lim, Yenjung;Chai, Choul-G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0 no.4
    • /
    • pp.57-65
    • /
    • 2014
  • Purpose : Mental health service desire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conomic level and rapid social chang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MHWC) is a provider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Japan. This is a basic stage study which will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s for MHWC.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to 69 MHWC in Japan. 1) Research for the policy and legal aspects of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2) Research for structural aspects of MHWC: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 management, and regional factors. 3) Research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aspects of MHWC: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MHWC's Type by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Japan.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The first on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service has being expanded to suicide,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ronic mental illness, to reflect social needs. The second one, The average population of area installed a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was 2,307,570 person, and average area of the regions were $5,745m^2$. The third on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is divided into single-structure type and combine-structure type. And combine-structure type is divided into medical-combine type, welfare-combine type, and public-combine type.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 Park, Mi-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1
    • /
    • pp.63-91
    • /
    • 2002
  • This article investigates 170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The social workers of this study work at different kinds of mental health organizations(mental hospitals,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mental residential facilities).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were 1) the degree of linking services is low, and the primary type of coordination is sharing of information and client referrals. The fund-raising and joint project cases are very poor. 2) based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arc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pondents' sex, education level, job-related status, experience in mental health field, mental health licence(personal factors), loc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type of primary client(organizational factors). 3)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coordina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experience in mental health field, current job-related experience(personal factors), education, location of organiz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history of organization(organizational factors). Finally, the research recommends that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nformation network is needed in order to enhancing the function of service coordina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lso, mental health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agencies should provide opportunity of discussion and training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develop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expand the content and type of service coordination.

  • PDF

The analysis of Complex Type and the Facility Status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시설현황 및 복합유형 분석)

  • Kim, Sumi;Kim, Su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6
    • /
    • pp.507-517
    • /
    • 2013
  • Welfare desire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conomic level and rapid social change. The desire for comprehensive service on culture, medical, mental and information level has appear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 space of accepting administration, welfare, leisure, culture and informatization request in a small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is a meeting place of local resident for information change, various basic service and ultimately for activation of commun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regeneration and activation of existing urban core. Thus, this study figured out general status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nd physical mixed type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Current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has insufficient program and space to participate in by local residents and to accommodate mixed function. The future plann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must secure multiple opportunities for various types of life by returning time and cost to use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reative mixed concept. While reflecting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diversity of users, it needs to make mixed facilit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by survey and analysis onl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planning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to cope with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or realistic requirement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Screening and the Health Type(Physical Activity, and etc) of the Disabled by Using the Statistics of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건강보험공단 통계를 이용한 장애인의 건강검진 현황 및 건강형태(신체활동 등)에 대한 소고)

  • Kim, Seck-Jin;Jung, J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2
    • /
    • pp.433-44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creening rate of health screening of the disabled by screening the data of disability and health statistic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o suggest the problems of health examination and the future improvement measures, and also to review the type of health management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 interview. As people with limited daily life or social life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ir physical/psychological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2 of , out of 2,479,080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December 31st 2015,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screening and health type for presenting the opinions about policies. In conclusion, regarding the health screening for the disabled,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repare the health screening service suitable for them. Second, it would be needed to develop the health screening ite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severity.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medical equipments and amenities of health examination for the disabled. Fourth, there should be the securement of manpower and education for service providers. Fifth, the mobility right of the disabled should be secured. Regarding the health type of the disabled, first, the expert consultative group in each area should be composed for the health enhancement of the disabled.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screening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operating facilities. Third, the Central Health Medical Center for the Disabled, shown in the law on the securement of health rights & medical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should develop the standardized health enhancement programs for each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health examination and health type of the disabled, the opinions about policies were suggested. Thu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detailed researches based on the task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also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health of the disabled and relevant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revea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