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에 관한 표현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8초

문화와 신체화 (Culture and Somatization)

  • 김광일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3-14
    • /
    • 2003
  • 문헌고찰을 통하여 최근 임상에서 문제되고 있는 신체화에 관한 문화정신의학적인 소견과 그 의미를 정리하였다. 신체화는 인류 공통의 범세계적인 정신병리이며 그 빈도나 양상은 문화 따라 차이가 난다. 그러나 단순히 서구-비서구 혹은 전통사회 대 근대화된 사회를 나누어 그 빈도차이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최근의 황문화적 연구에 따르면 이런 이분법식의 논리는 사실과는 전혀 다르다. 또한 어떤 차이가 나더라도 그 해석에서는 종족 뿐 아니라 그 종족이 처하고 있는 여러 사회문화적인 상황을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철저한 횡문화적 조사연구를 통하여 발생빈도와 그 의미를 확인해야 한다. 마음의 고통이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과정에서 1) 고통에 대한 문화적 표현양식 즉 문화적 은유, 2) 전통적인 질병개념, 3) 적응을 위한 사회적 매개체로서의 역할, 4) 신체화를 조장하는 의료제도 내지는 의료분위기 등의 문화사회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마음의 고통을 호소하는 통로로서 문화가 매채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횡문화적인 진료가 불가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신체화에 대한 이해와 접근기술이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횡문화적 치료적 접근 원리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였고 아울러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의 원인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 PDF

Pucci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ve speciality through Emilio Pucci's work)

  • 박선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9권
    • /
    • pp.501-510
    • /
    • 1994
  •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는 자연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을 강조시킴에 의상 절대적인 의미를 부과함과 동시에 그의 디자인에 비비드(vivid)하며 브릴리먼트(brilliant)한 색채의 대담하고 추상적인 프린트를 통하여 자신의 창조적인 정신세계와 경험을 자기창조의 미적세계로 표현하고있다. 본 논문은 그의 작품을 통하여 그의 예술적 개별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나를 이 해 하였고 그\ulcornerl 독특한 색채의 프린트를 통하여 그의 예술적 인식이 어떻게 조형화하여 표출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그는 전쟁의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경험에로의 지속적인 열정으로 세게어디로든지의 여행으로부터 절대적인 영감을 받아 그의 창조적인 정신의 세게를 그의 진정한 내부를 내보여놓는 원동력으로 감았다. 그의 조형세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21세기를 앞둔 오늘날의 의상이 생활속에 확실한 자아표현, 자기완성과 창조의 미적 방편으로 선택되어 지고 있는 이때, 현대 의상디자인이 우리에 의해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생각코자 한다.

  • PDF

빛(Light)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f Visual Effects of Light Focusing on Illustration)

  • 문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3-142
    • /
    • 1999
  • 빛은 인간에게 모든 사물을 보게 하는 절대적인 요소이다. 특히 시각을 통하여 느끼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미술가에 있어서 그 중요함이란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회화 사에 있어서나 인간생활에 있어서나 빛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빛은 3차원적인 공간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조형적 의미도 함께 지니며 현대에 와서는 빛 그 자체만으로도 회화상의 존재가치를 부여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회화에 있어서 빛의 연구와 색채 표현에 관한 접근은 어려운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색채 및 빛의 효과란 비단 가시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경험과 정신적 상징이 내포된 무의식의 존재로 이해되는 것으로서 주관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인간의 역사나 미술사에서 언제나 부단한 관심의 대상이었던 빛이 과연 과거에 어떠한 방식으로 탐구되고 전개되었으며 현대에 와서 새롭게 조명될 수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분석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빛의 효과가 동양회화와 르네상스, 바로크의 렘브란트, 그리고 인상파의 서양미술사를 중점으로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오늘날의 현대적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되었는가를 조사하여 현대에 나타난 빛의 의미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제공한다.

  • PDF

아동기 우울증의 평가 (ASSESSMENT OF CHILDHOOD DEPRESSION)

  • 신민섭;김민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2-27
    • /
    • 1994
  • 성인의 우울증과는 달리 아동기 우울증의 존재와 정의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DSM-III(1980)에 이르러서야 공식적인 병명으로 인정되었으나, 아직도 아동기 우울증은 다른 정신적인 장애에 비해 진단 준거 자체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달 단계에 따라 우울증상은 다른 양상으로 표현되므로, 아동기 우울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형 질문지, 면접, 행동 평정 척도, 구조화된 검사, 투사법 검사 등 주요 평가 방법들을 고찰해보았고, 앞으로 아동기 우울증 평가 방법에서 해결되어야 할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몇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바이오모픽 건축의 재료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 김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89-297
    • /
    • 2006
  • This study was begun on the premise that architecture which has the definite disposition for survival even in the urban, social structure of that uncertainty and constructs specialty is biomorphic architecture. This study was made with the following four specific purposes largely.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at appears in the tendency that mordern architecture develops into the architecture of do-stereotype and new form, its meaning and definition are examined. Second, the analysis of biomorphic architecture is investigated and the generation causes are applied architecturally and generate biomorphic architecture is made. Third, by analyzing the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architecture, which expresses the vitality of organism, as the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are investigated. The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was deduced through the generation background of biomorphic architecture. The 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iomorphic architecture is the various modeling by smart-network and the response system of sensitivity poly-logue.

한국 현대 종교건축에 있어서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 in Korean Religious Architecture in the Modern Age)

  • 김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0호
    • /
    • pp.11-20
    • /
    • 1997
  • This paper, based on the surveys on 43 cases in whole Korea,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extracted from the religious dogma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expression of tradition in Korean religious architecture. Buddhist temples in the modern cities. Catholic churches, Anglican churches, Protestant churches have similar problems and attitudes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v. They have not yet various subjects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 as 'tradition' is not distinguished from 'transmission'. It is not caused only by the general phase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but also by the lack of the practical theology which extract architectural principles from religious dogma and history. I proposed 'Architectural vocabulary', 'Architectural syntax', 'Architectural idea', and 'Symbolization of interior space' , 'Architectural zeitgeist' as the ideal approach.

  • PDF

1990년 이후 한국 단독주택 입면디자인 표현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of Expression in Elevation of Korean Single Housing)

  • 김정신;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41-49
    • /
    • 2000
  •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developing aspects of variety design. In spite of elevation is important section to express main concepts, it difficults to limit because it decisions inclusively elements. This thesis is on way to understand variety and dimness expression of architecture. The scop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Korean single housing. The components of elevation are mass, roof, shape of windows, materials, shape of floor plan. The analised types of expression are rationallity, technique, tradition of types of expression, the latter is harmony, revolu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ypes of expression. The types of expression in elevation of Korean single housing have characteristic components. Elevation has important a matter on design process, I extect to reflect result of thesis to housing plan.

  • PDF

건축디자인의 시각적 질량감을 구성하는 재료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Materials Expressing Sense of Mass in Architecture Design)

  • 김정신;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6-109
    • /
    • 1999
  • This thesis is to measure visual mass sense in the language of visual expressing architecture designs. Also, this analyzes materials which effect visual design composition theory, forms, and those that act as important factors of architecture style history. Second chapter considers visual mass, then analyzes concepts of sense of visual mass and the way they are expressed in architecture. Third chapter investigates materials that are composition factors of architecture design and classifies materials that express sense of visual mass. Fourth chapter various projects are analyzed as examples. Also analyze and arrange materials which express sense of visual mass. This thesis studies materials expressing sense of visual mass and proposes possibility to approach theoretically the materials that participate in creativity of architecture design.

  • PDF

장예모 감독 영화<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lor Design Features of Zhang Yimou's Film "Shadow")

  • 조우원위안;김해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75-376
    • /
    • 2019
  •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환영을 받고, 가장 영향력을 가진 문화 산업 중 하나로, 우수한 영화 장면 디자인은 영화 스토리 효과의 발전에 빛을 한층 더한다. <삼국-무 영자>는 장예모 감독이 연출하여 2018년에 개봉한 최신 영화로, 이것은 동양의 수묵 스타일 영화로, 주로 흑백으로 나타난다.[1] 이 영화는 2018년 제75회 베니스영화제 비경쟁 상영부문, 토론토국제영화제 상영부문, 런던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했다. 장예모 감독은 민족문화의 내용을 표현할 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문화적 가치관을 자신의 촬영방식으로 풀어냈다. 그의 작품으로 보면, 이 영화의 주제는 주로 중국 고대의 역사문화와 수묵문화에 근거해 표현되며, 중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매력에 대한 찬양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연출 스타일과 동양의 심미적 측면에서 영화가 지닌 예술적 특징, 영화에 담긴 인문정신을 탐구하고, 세계를 향해 중국 수묵문화의 문화적 의미를 소개하는 동시에, 영화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자폐장애 - 자폐장애의 본질과 개념변천에 관한 고찰 - (AUTISTIC DISORDER - AN OVERVIEW OF THE NATURE AND THE CHANGING CONCEPTS IN COMMEMORATION OF KANNER'S ORIGINAL PUBLICATION -)

  • 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3-26
    • /
    • 1993
  • Leo Kanner (1943)의 자폐증에 관한 획기적 논문발표 50주년을 맞아, 자폐증의 개념변천, 분류, 의학, 원인설 및 자폐증의 본질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 보았다. 초기에 자폐증을 정신병의 아형으로 보다가 1980년 (DMS-III)을 기점으로 전반적 발달장애로의 개념 변천이 일어났다 원인설도, 초기의 심리${\cdot}$환경설은 지지 받지 못하고 1960년대에는 신경${\cdot}$생물학적 이상이 자폐병리의 기저를 이룸이 분명해 졌고 1970년대에는 지각과 운동, 감각과 인지 통합의 결함, 심각한 언어, 인지의 장해가 일차적인 결함으로 생각 되었다 최근 1980년 후반기 부터 상징적${\cdot}$표상적 인지의 결함, 타인의 감정과 생각의 이해 결함, 사회적${\cdot}$정감적 표현의 결함등 사회${\cdot}$정서발달의 이상이 자폐의 근본적 결함이라는 비교 관찰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자폐증의 근본적이고 일차적인 결함이 정감적 접촉의 선천적 장애라는 Kanner의 놀라운 임상적 통찰을 증명해 주고 있다. 저자는 이상의 광범위한 문헌 고찰을 통해 자폐장애를 일차성 애착장애로 개념화하고 앞으로 치료, 교육의 방향도 일차적으로 사회${\cdot}$정서발달에 촛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어머니와의 애착증진 치료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