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생리질환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신경과 질환에 동반되는 수면무호흡증과 수면의 문제 (Sleep Apnea and Sleep Disturbances in Neurological Disorders)

  • 홍승봉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79-83
    • /
    • 2000
  • Sleep disturbance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neurological disorders. Sleep disorders interfere with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stroke and may increase the severity of their symptoms and recurrence rate of stroke.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managing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of whom 50-80% have moderate to severe sleep apnea. Sleep apnea produces not only poor quality sleep but also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fatigue and lack of energy. Sleep problems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ith dementia are sleep-wake cycle abnormality, fragmentation of sleep, nocturnal insomnia, decreased slow wave sleep and REM sleep,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The management of sleep disturbances is very important for controlling symptoms such as nocturnal wandering and sundowning syndrome in patients with dementia. Parkinson's disease and epilepsy are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that may have sleep disturbances.

  • PDF

수면질환과 사회경제적 비용 (Sleep Disorder and Socioeconomic Burden)

  • 강은호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2호
    • /
    • pp.72-75
    • /
    • 2011
  • Sleep disorders such as insomnia,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restless legs syndrome (RLS) are very common disorders and may cause significant burden in terms of individual as well as societal aspects. Sleep insufficiency from such sleep disorders may cause deleterious effects on daily work life and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major medical or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mellitus,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Various motor or occupational accident may result from the sleep problems. In addition, recent researches provide the method to evaluate the lost productivity time in terms of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Moreover, several studies on cost-effectiveness of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show that it is cost-effective.

만성폐쇄성폐질환과 수면장애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Sleep Disorder)

  • 김세원;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7권1호
    • /
    • pp.8-15
    • /
    • 2020
  • Sleep disorder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common and typically is associated with oxygen desaturation. The mechanisms of desaturation include hypoventilation and ventilation to perfusion mismatch. Despite the importance of sleep in patients with COPD, this topic is under-assessed in clinical practice. Impaired sleep quality is associated with more severe COPD and may contribute to worse clinical outcomes. Recent data have indicated that specific respirator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PD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improves clinical outcomes. Clinicians managing patients with COPD should pay attention to and actively manage symptoms of comorbid sleep disorders. Management of sleep-related problems in COPD should particularly focus on minimizing sleep disturbance.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통증장애 - 증례 및 고찰 - (Pain Disorder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s - Case Report and Review -)

  • 이경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2호
    • /
    • pp.166-175
    • /
    • 2002
  • 통증 생리의 생물학적 측면에 대한 새로운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통증에 대한 개념도 매우 많이 바뀌고 있다. 통증의 원인에 심리적, 정서적 요인들이 많이 작용하며 개인과 가족역동의 중요성, 빈번한 정신과 질환의 공존, 만성통증의 치료에 있어서 많은 정신과 약물의 사용, 그리고 다양한 치료적 접근의 중요성의 부각 동을 고려할 때 정신과 의사들은 만성통증 환자의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효과적인 통증치료에 다양한 환자의 치료가 필요한 것이 인정되고 있으며, 통증치료에서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이는 외국의 대부분의 통증센터나 통증크리닉에서는 정신과 의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부족으로 정신과 의사의 참여가 거의 없어서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통증장애에 대하여 정신과 의사들의 관심을 환기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통증장애 환자 3 증례를 보고하고, 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통증장애를 다루기 위해서는 통증에 대한 생물-정신-사회적인 관점 모두에서의 전반적인 고찰을 다루어야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통증장애 환자에 대한 종례만을 보고하므로 이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 PDF

우울증에서 자가소화작용의 역할 (The Role of Autophagy in Depression)

  • 서미경;박성우;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12-820
    • /
    • 2022
  •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무쾌감증, 피로 및 인지 기능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으로 일상 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우울증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심각하고 흔한 정신질환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자가소화작용은 정신질환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자가소화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이 신경가소성에 영향을 주어 우울증을 유발하고, 항우울제가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자가소화작용은 용해소체를 통해 불필요한 세포소기관이나 단백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이화과정이다. 그리고,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자가소화작용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며 우울증은 스트레스 관련 질병이다. 최근, 신경세포에서 자가소화작용 기전의 역할이 조사되고 있지만, 우울증의 자가소화작용은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 리뷰에서 우울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치료에 자가소화작용이 관여한다는 새로운 증거를 강조하고자 한다. 증거를 강조하기 위해 자가소화작용이 우울증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임상 및 전임상 연구결과들을 소개한다. 우울증에 대한 자가소화작용의 관련성과 연구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은 자가소화작용 조절이 항우울제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의학적 문제 고찰 (A Study of Psychiatric Problems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Visited a Psychiatric Clinic)

  • 강희영;변성혜;신상호;김현정;이소희;유소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1호
    • /
    • pp.35-41
    • /
    • 2012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이미 정착하여 일상 생활을 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 중 정신과 진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생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1년 7월까지 정신과를 내원한 북한이탈주민 환자 8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인구학적 정보 및 정신과적 정보를 획득하였다. 결 과 : 85명의 북한이탈주민 중 75명(88.2%)이 여자였으며, 평균연령은 48세였다. 외래에서 주로 호소한 증상으로는 불면 47명(55.3%), 두통 37명(43.5%), 불안감 20명(23.5%), 우울감 19명(22.4%) 등이었으며, 입원시 주된 증상은 불면 14명(87.5%), 우울감 12명(75%), 두통 8명(50%) 등이었다. 결 론 : 국내에 입국해서 생활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정신과적 증상은 불면, 두통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북한이탈주민들을 정신과적 평가 및 치료함에 있어서 정서적 호소보다 신체적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는 특징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장 많은 증상이 불면이었다는 점에서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수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야 할 것이다.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

섬망의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방법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lirium)

  • 천영훈;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3-14
    • /
    • 2011
  • 연구목적 : 섬망은 병원 내의 임상적 상황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 중 하나이다. 섬망이 고령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고 높은 사망률과 연관이 있기에 섬망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여 치료적 개입을 시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섬망이 잘못 진단되어 지거나 간과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치료팀이 섬망을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해 내기 위해서는 섬망의 정의, 병태생리 및 여러 가지 다양한 검사 도구들을 특정 내 외과적인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서 섬망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들을 소개하고 임상적 상황에서 섬망을 정확하게 진단해 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피부 - 분석심리학적 조명 - (A Study on Skin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 박영선
    • 심성연구
    • /
    • 제29권2호
    • /
    • pp.127-156
    • /
    • 2014
  • 피부는 우리 몸의 맨 바깥을 둘러싸고 있어 신체를 보호하며 생리적으로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인체 기관의 하나이다. 그러나 생리적 기능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포함하는 인간 정신의 다채로운 내용들이 그 위에서 풍부하게 표현되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분석심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피부가 가지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들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며 방어막으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체온 조절, 비타민 D합성, 감각 기능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여러 역할들을 담당한다. 최근 의학계에서는 심리적 요인과 생리적 변화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려 노력하고 있어 향후 피부에서 나타나는 현상들과 정서적 관련성에 관해 좀 더 체계적인 이해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일찍이 융은 정신양 기능에 대한 가설이나 동시성 이론을 통해 물질과 정신 사이의 연관성을 직관적으로 시사한 바 있다. 논문에서는 일상의 언어에 나타나는 피부 관련 표현들을 통해 피부의 사회심리학적 측면을 살펴본다. 언어는 한 집단의 정신세계를 담지하는 전달자일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는 겉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증상이 있을 때 특별한 사회적, 심리적 반응을 유도하고 환자에게 큰 고통이 될 수 있다. 페르조나는 인격의 외피로서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성립되는 역할인데 이는 자주 신체의 외피인 피부를 통해 표현된다. 자아 이미지, 자아 정체성은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모습으로 피부 위에 표출된다. 융은 에로스를 관계 원리로 규정한 바 있는데 피부야말로 에로스가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민담과 신화 속에 나오는 짐승 가죽을 뒤집어쓰거나 허물을 벗는 이야기들에서 개성화 과정에서 변환의 의미를 내포하는 피부의 상징성을 읽을 수 있다. 또한 피부질환이 전체정신의 중심으로부터 의식으로 전해지는 메시지 일 수 있음을 이해할 때 자기실현에 중요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조신(調神)을 통한 질병(疾病) 치료(治療) 연구(硏究) (I) -관어이조신치료질병적연구(關於以調神治療疾病的硏究)(I)-

  • 정호진;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27-43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내경(內經)${\lrcorner}$ 중출현적조신적개념급용조신치병적방법적연구(中出現的調神的槪念及用調神治病的方法的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조신이양생지의(調神以養生之意), 용우지금(用于至今). ${\ulcorner}$내경(內經)${\lrcorner}$중신지의(中神之意), 우기표현위여우주자연지신(尤其表現爲與宇宙自然之神)[천신(天神)]상응적인체지신(相應的人體之神)[인신(人神)]상(上), 즉천인상응적사상교위돌출(卽天人相應的思想較爲突出) 형신상호관계상(形神相互關係上), 재유지형신합일적사상적동시(在維持形神合一的思想的同時), 비기양형경가중시어조신(比起養形更加重視於調神). 재양생방면(在養生方面), 조신의조시간급공간(調神依照時間及空間), 분위사시조신화오장신조신(分爲四時調神和五臟神調神). ${\ulcorner}$소문(素問).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lrcorner}$적요지시이사시출현적자연계적변화규율(的要旨是以四時出現的自然界的變化規律), 응대청정적우주정신래수련신심(應對淸靜的宇宙精神來修練身心). ‘이념요법(移念療法)’시통과개변재인체오장내정기적운행위치(是通過改變在人體五臟內精氣的運行位置), 진행치료적방법(進行治療的方法). 기내용개괄료기타각종정신요법(其內容槪括了其他各種精神療法). 대지언고론요법적한의학해석(對至言高論療法的韓醫學解釋), 불시이이유오행혹음양이론작위의거(不是以已有五行或陰陽理論作爲依據), 이시가종사상의학중조도. 기원인시사상의학적출발점(其原因是四象醫學的出發點), 불시이단순적육체무병작위기목적(不是以單純的肉體無病作爲其目的). 저일점(這一點), 종명확지표현재수세보원적성명사단론중(從明確地表現在壽世保元的性命四端論中). 대생리병리독특적유심론관(對生理病理獨特的唯心論觀), 시이제마선생탁월관점(是李濟馬先生卓越觀点). 한방음악치료초월료이행동주의심리학위중심(韓方音樂治療超越了以行動主義心理學爲中心), 발전기래적기유적음악요법적국한성(發展起來的旣有的音樂療法的局限性), 약여약물(若與藥物), 침구치료병용(鍼灸治療倂用), 불근가이치료신경정신질환(不僅可以治療神經精神疾患), 환가이치료기타각종신체질환(還可以治療其他各種身體疾患). 기공시이응신(氣功是以凝神), 의수(意守), 의념등표현(意念等表現), 작위기주요조신방법적일종수신법(作爲其主要調神方法的一種修身法).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