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수기.생수 음용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수돗물 음용행동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Tap Water Consumption Patterns)

  • 김영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93-106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Tap Water consumption patterns. Socio-demographic variables(gender, family income, education level, residual area) and consumer attitude knowledge(confidence, knowledge, problem experience, risk perception and aesthetic satisfaction)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ree hundred fifty-nine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OVA(Scheffe test), t-test,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ap water was consumed by only 1.7%, boiled water prior to drinking by 37.9%, water filtered by 39.8% and bottled water by 19.0%. 2. Consumer attitude knowledge wa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is, aesthetic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age, risk perception by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confidence by educational level, knowledge by gender and age, and problem experience by age. 3.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ge, confidence and aesthetic satisfaction were the determinants of bottled water or filtered water choice. However, risk perception was not a significant determinant. This suggests alternatives to tap water is related to non-risk, or non-safety factors.

음용수의 저장에 따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변화 (Change of General Bacteria and Coliform Group i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

  • 양지영;김병철;이재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5
    • /
    • 1999
  • 부산지역 4곳의 지하수와 시판생수 그리고 정수기를 통한 정수를 냉장과 실온에 보관하면서 일정기간별로 저장중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지하수에서의 저장기간 동안 일반세균에 대한 변화는 최저 $10^2$~$10^3$CFU/m1 최고 $10^2$~$10^{5}$ CFU/m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에 대한 변화는 areaII를 제외한 지역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7일차 경과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판생수에서의 일반세균에 대한 변화는 최저10~$10^4$CFU/m1, 최고 $10^2$~$10^{5}$ CFU/m1의 범위로 나타났다. 대장균에 대한 변화는 제품I과 제품III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제품II에서는 일반세균과 대장균이 냉장, 실온 모두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대장균이 검출되었으며, 7일차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정수에서의 일반세균에 대한 변화는 냉장과 실온 각각 $10^3$~$10^4$CFU/m1, $10^2$~$10^4$CFU/m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은 전체보관기간동안 불검출로 나타났다.

  • PDF

상수도(上水道) 페놀오염으로 인한 노출-비노출(露出-比露出) 지역주민(地域住民)의 호소증상(呼訴症狀) 비교(比較) (Illness Associated with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with Phenol)

  • 김두희;이성국;천병렬;이덕희;홍성철;장봉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02-209
    • /
    • 1993
  • 지난 1991년 3월 16일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 페놀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지역의 상수도 공급분포와 초 중 고등학교 지역적 분포를 비교하여 대상학교 10개교를 선정하여 이를 폭로군과 비폭로군으로 나누어 학생들의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내용은 노출지역과 비노출지역에서의 증상호소의 차이, 음용수 유형의 변화형태 등이다. 노출지역과 비노출지역에서 수도물만 먹은 사람을 비교하였을 때 페놀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노출지역에서 3배 이상의 호소율을 나타낸 증상은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두통, 입 목이 따끔거림, 피부증상으로 나타났다. 유관증상을 한가지 이상 호소한 경우는 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약 3.5배(39 9% 대 9.4%)였으며 의료기관 이용율은 노출군에서 18.5%인 반면 비노출군에서는 4.7%로 약 4배의 차이를 보였다. 유관증상은 노출정도가 심할 수록 호소율이 높아지는 용량-반응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번 사건이후 생수. 혹은 약수를 찾거나 정수기를 설치하는 가구가 늘어났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노출지역에서 사건 전에 65.4%를 차지하던 수도물 사용이 페놀확인 후 32.2%로 떨어졌으나 비노출군에서는 57%에서 46.2%로 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