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사회화 행동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사회화 행동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on the Relations Between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 이윤정;임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141-11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on the relations between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In this study, subjects were 153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Specifically, maternal negative emotion expression and response to the preschooler's positive emotion moderated the effect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on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the impact of effortful control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were significant. Also, maternal emotion-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s(i.e., negative emotion expression and response to the child's positive emotion) affected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help maternal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ir preschool aged children.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기질,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사회화 전략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 홍혜란;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predicte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Subjects consisted of 250 preschooler-mother pairs; children were 3 to 6 years of ag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were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s. Data on the mothers'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as well as children's tempera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withdrawal pre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 emotional expression) predi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behavior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PDF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 김지연;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28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coping behavio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 child's self-regulation between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a child's stress-coping behaviors. The sample included 407 elementary school 5th-6th grades and their parents (comprising 407 couples) in Seoul.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coping behaviors. Secondly, it was also found that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were both partially and indirectly related to a child's stress-coping behaviors through the child's use of self-regulation.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on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 문영경;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3-11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and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One hundred-thirty six 5-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Emotional Availability Scale for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the Delay task, and the Child Behavior Questionnaire for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the Social Skill Rating Scale, K-CBCL 1.5-5 and K-TRF for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rtial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s predicted, the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edi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on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the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ediates the effects of emotion related socialization behavior on the preschooler's socio-emotional adjustment.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Determinant Factors of Maintaining Employment in a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Personal Factors of Participants Employed after Vocational Training Program)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9-52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성인기 준비를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신체능력, 작업능력, 정서 행동 영역, 기능적 적응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기 지적장애인들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64명의 청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수료 이후 6개월 시점에의 추적 조사를 통해 고용 유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본 결과, 신체능력 중 양손 기민성(OR = 2.175), 작업 능력 중 소도구 사용 손기민성(OR = 1.123), 정서 행동 영역 중 불안(OR = .733)과 사회화 영역(OR = .429), 기능적 적응행동 영역 중 학습기술(OR = 1.077)과 직업기술 영역(OR = 1.542)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고용 유지 결정요인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고용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유지에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서는 고용 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 (The Role of Women in Health Care in Korea)

  • 김수지
    • 대한간호
    • /
    • 제23권3호통권126호
    • /
    • pp.44-50
    • /
    • 1984
  • 한국여성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제도 속에서 육아 및 가사활동에만 종사해왔다. 그러나 산업화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여성들도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변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반면에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 함으로서 가족 내에서의 자녀양육을 비롯한 가정적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여성에게 현재의 사회구조와 핵가족 속에서는 시간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역할사이에서는 여성은 갈등과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이중적인 부담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 가족가치관과 여성-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은 부계 중심의 혈연 계승을 중요시하는 가부장적 대가족제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계 계승을 통한 가족의 영속성과 가 중심사상에 기반을 둔 철저한 가족주의적 가치관이 전통적 사회를 지배하여 왔다. 그러므로 자연히 개인보다 가족집단이 우의적인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행동의 결정에도 중요한 준거 집단이 되었다. 이러한 가의 영속 및 번영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녀를 필요로 했으며 부계중심 가족에서 자연히 남아 선호사상이 강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조상에 대한 의무요 책임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가부장권의 확대에 반비례해서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축소되어갔다. 여성들의 절대적인 예속을 필요로 하여 삼종지도니 칠거지악이니 불경이부등의 도덕률을 만들었으며 여성들 스스로가 이러한 정절과 복종을 미덕으로 생각하도록 교육받음으로서 여성들 자신이 자기희생의 굴레 속에서 인내와 복종의 생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남편과 자식을 위해서는 목숨까지도 희생하게끔 철저히 사회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가족 제도 안에서의 남녀의 지위는 동위 항렬 내에서만 해당되고 항렬을 달리할 때는 삼종지도의 이론에 부합된다. 어머니로서의 존장련이 인정되어서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에 비하여 모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상례와 제례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의식에는 차이가 없으며 내외 명부제도에 의해서 부인도 남편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존장련에 의한 모의 권리와 더불어 부부유별에 의해서 가사권의 독자적인 결정권도 인정되고 있었다. 건강관리 측면에서 여성의 역할- 전통적으로 건강관리에 관련된 한국여성의 역할은 1. 씨받이로서의 역할로 생명을 잉태하도록 돕고 건강한 아이의 수태를 위해 태교에 힘썼으며 2. 자녀의 의식주를 해결하는 가사 역할만을 담당하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출산한 생명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으나 체계적인 건강관리는 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으나 정서, 사회면은 도외시 한 과잉보호현상이었다. 3. 결혼 후에는 남편의 건강관리를 위해 철저하였으며 특히 식생활에 유의하였고 정서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념하였다. 4. 또한, 임종시 평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여성의 역할은 돕는 역할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