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부발간물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Building Foundation for Unifying Management of Government Publications and Records: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정부발간물과 정부기록의 통합관리 기반 구축 연구 - 통일부 사례를 중심으로 -)

  • Jeong, Bun-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23-38
    • /
    • 2007
  • The Ministry of Unification(MOU) attempts various ways to unify records management systems such as; by newly establishing Unificati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eam, by integrating different record management systems which had been managed by separate systems.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major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MOU and proposes policy recommendations to succeed in unifying record management.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opyright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Free Use of Government Publications as Public Works (공공저작물로서 정부간행물 자유이용 촉진을 위한 저작권정보 관리에 관한 연구)

  • Seo, Hyeongdeok;Joung, Kyoung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2 no.3
    • /
    • pp.125-141
    • /
    • 2022
  •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asures for handl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dur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o use them freely as public works according to Article 24-2 of the Copyright Act in Korea. Through email interviews with 17 records managers, persons in charge of government publicat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staff with experience in production from April 4 to June 13, 2022, this study determin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related to producing and manag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Based on the interview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Article 24-2 of the Copyright Act must be revised to apply the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1 mandatorily to all public works. Second, a cooperative system for manag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ir production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Third, copyright information, such as authors, copyright holders, copyright duration,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property transfer, public works status, and reasons for nonpublic works, must be managed through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s. Fourth and last, information on public works must be provided during the registration number application for government publication so that everyone can access the full texts of the publications 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Development of technical guidelines for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기술지침 개발)

  • Kim, Hyeon-Jun;Jang, Cheol-Hee;Noh, Seong-Jin;Cho, Ha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30-1634
    • /
    • 2007
  • 도시유역에서의 장기간에 대한 물순환 해석 기술은 도시하천의 복원 및 건천화 방지 사업의 점증적인 요구에 따라 필수적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기술이지만, 관련 연구와 실무에서의 이해도는 미진하다. 따라서, 사업의 계획과 실무 설계를 위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이해와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1995년 건설성의 주요 정책으로 "도시에서 적정한 물순환계 재생에의 노력"을 추진하였으며, "도시의 물순환 재생 구상 책정 매뉴얼"을 작성하여 사례 연구로 6개 유역을 대상으로 검토하였고, 2000년에는 "도시유역 물순환계의 정량화 방안"을 우수저류침투기술협회에서 주관하여 물순환계 재생구상 또는 물순환계 마스터플랜을 수립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물순환계의 해석적인 평가방법의 해설서를 발간하였다. 호주의 경우는 1999년부터 WSUD(Water Sensitive Urban Design)란 개념을 도입하여, 정부 및 각 지방별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침서와 기술지도서를 작성하여 교육을 하고 실무에 활용하고 있고, 사례 연구와 학술회의를 통하여 기술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자연적인 요소와 인공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있는 도시지역의 물순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자연특성과 사회특성 등에 관한 기초 자료의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측결과를 기초로 물 순환계의 구조, 인과관계를 알기 위해, 또 물순환계 구성요소의 일부가 변화한 경우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이 필요하다. 또한 이 같은 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물순환 개선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정책의 입안에 관계하는 사람들에 있어 공통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Fintech Industry Invigoration by the De-identification and Linkage Reform of Personal Information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와 결합 개선을 통한 핀테크 시장 활성화)

  • Oh, Won-Gyeom;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340-343
    • /
    • 2016
  • The Korean government published the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guideline on June 2016, which were made by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The guideline's objective is that the invigoration of Korean bigdata industry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nder the current laws. However, if there is some unreasonable method or process in the guideline, it can be an obstacle to bigdata analysis.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guideline to find defects in methods and processes of de-identification evaluation, de-identification support and data-linkage and then propose the best solutions to improve them. Lastly, this article will mention how these solutions can invigorate Fintech industry.

  • PDF

Evaluation of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in Micro Vortex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마이크로 보텍스 수력발전시스템에 있어 저수조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발전 효율 평가)

  • Jeong, Woo Chang;Kang, Hyun 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2-432
    • /
    • 2021
  •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에너지 공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하는 2018년 에너지통계연보(에너지경제연구원과 산업통상자원부, 2018)에 실린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에너지수급 균형을 보면 원유,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 등 평균 95.4%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력 및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단 그리고 정부의 저탄소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인정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경제성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보급되고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그리고 인도와 같은 세계 주요 국가들이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주도함에 따라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규모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력 물 보텍스 마이크로 수력 발전 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하류부의 수두(hydraulic head) 차에 의해 저류조(basin)에서 발생되는 물의 보텍스 즉 소용돌이(whirlpool)를 이용하여 임펠러(impeller)를 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친환경적 재생에너지의 일종이다. 또한,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물은 전기에너지 생산을 위한 임펠러를 통과한 후 다시 하천으로 방류되므로 하천 수의 손실 그리고 하천의 물길도 거의 교란 시키지 않는다. 4가구 정도의 연간 가정용 전기 요구량인 12와 15kW 사이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발전시스템의 상류와 하류의 수두차가 단지 1.5에서 1.7m 이하이면 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 물 보텍스 친환경 마이크로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저류조(basin)에 대해 최대 발전효율을 발생시키기에 최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도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저류조의 cone angle에 따른 다양한 저류조 직경 및 물 보텍스 생성을 위한 저류조 형태의 변화, 유입수로와 저류조와의 각도인 notch angle의 변화, 유입부 폭과 유출부 직경, 유입수로의 길이 그리고 유입수로에서의 초기수심과 같은 기하학적 매개변수를 변화시켜 모의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Perceptions on Promoting Services in Special Libraries (전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서의 인식연구)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4
    • /
    • pp.157-17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maximize their expertise and role of each policy field and promot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rvices. The researcher surveyed 22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librarians on their perception of service planning stage, investigation and provision stage, evaluation stage, system operation, required capacities for librarians, role expansion and change, and job difficulties.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7 domains, 12 items, and 61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discovered newly required tasks in libraries such as introducing research information management tools, operating an advisory committee, and conducting publications-related tasks. Suggestions were made to encourage standardized manuals for modules based on job tasks, Continuing education to expand the role of subject librarians, and utilization of social media in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