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품질

검색결과 7,097건 처리시간 0.063초

품질정보의 사용유무에 따른 하플로타입 페이징의 결과 차이 (Difference in Haplotype Phasing According to the Use of Quality Information)

  • 이종찬;나중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6
    • /
    • 2017
  • 인간 유전자의 SNP 서열 정보를 통해 하플로타입을 추정하는 하플로타입 페이징은 생명공학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분야이다. 최근에는 SNP 데이터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하플로타입 페이징 알고리즘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NP 데이터의 오류로 인한 하플로타입 페이징의 한계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품질정보의 사용에 관한 문제점을 언급한 후 이와 관련된 실험을 통해 품질정보가 하플로타입 페이징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실험은 기존의 하플로타입 페이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품질정보의 사용 유무에 따라 하플로타입 페이징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하플로타입 페이징에 과정에서 품질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품질정보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NTIS 데이터 품질관리 체계와 포털 사이트 구축 (A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and Its Portal Site for NTIS Data Quality Management)

  • 이병희;정옥남;최희석;임철수;김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4-987
    • /
    • 2009
  • 데이터가 기업 및 기관 활동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저 품질 데이터로 인한 막대한 손실과 비용의 증가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와 KISTI에서 2007년부터 범부처 차원에서 수행중인 국가R&D 정보자원의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해 각 부처와 협의하고 수행해 온 국가R&D 데이터 품질관리 체계 수립과 포털 사이트 구축에 관하여 알아본다. 범부처 국가R&D정보 자원의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수립과 범부처 적용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해 NTIS사업단 및 15개 부처(16개 대표전문기관)의 실무팀장 및 DB 관리자 중심으로 총 33명의 설문을 실시하여 품질관리체계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부처(기관)별로 국가R&D표준정보 데이터품질 지표 마련과 주기별 데이터 품질 및 개선도 자체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점검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처(기관)와 협력하여 데이터품질 점검을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품질관리체계와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운영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NTIS 데이터 품질관리 체계 및 프로세스, 기능이 통합된 웹 포털 구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BPR 수립 (The Establishment of BPR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 윤준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1-89
    • /
    • 2014
  • 우리나라는 공공기관과 지방 자치단체에서 생산된 국가 공간정보를 통합관리하고 공동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를 구축하였다. 다른 기관에서 구축된 정보가 국가 차원에서 통합 관리됨에 따라 통합된 국가공간정보의 체계적인 품질관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수립을 다룬다. 품질관리 업무를 품질관리 대상정의, 품질측정, 평가 및 분석, 품질개선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각 프로세스 별 활동(Activity)을 설계한다.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업무적 규칙(BR: Business Rule)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공간정보 중 법정동, 철도경계, 철도중심, 도로경계, 도로중심, 그리고 건물 등 6개에 대하여 BR을 도출한다. 다른 공간정보에 대한 BR은 본 논문에서 제시된 도출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수립된 BPR과 도출된 BR을 기반으로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서관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 평가: e-LibQual의 적용 (Measuring library online service quality: An application of e-LibnQual)

  • 강회일;정용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7-261
    • /
    • 2002
  • 본 연구는 기대와 성과간의 비교를 통하여 이용자 관점에서 도서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2개 SERVQUAL 문항에 정보품질에 관련된 7개 항목을 추가하여 총29개의 측정항목을 개발하였고, 대덕연구단지내의 한 연구 도서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온라인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인 서비스차원은 5개로 묶여졌고, 정보품질 차원은 별개로 분리되어 나타났다.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결과 정보품질, 신뢰성, 그리고 보증성이 중요한 서비스 요소임이 밝혀졌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용자의 만족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소로는 유형성과 정보품질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정보통신산업 통계품질 향상을 위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Customer Satisfaction of Statistical Qualit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장인상;문태희;손소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377-391
    • /
    • 2004
  • 최근 정보통신은 국가 핵심사업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정보통신산업 통계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 통계품질은 조사품질, 통계자체품질, 통계결과물에 대한 품질, 통계생산 기관의 품질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정보통신산업협회의 통계 이용자를 대상으로 통계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이용자별 특성에 맞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통신산업 통계를 생산하는 기관들의 평가 및 통계품질 향상을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yesian Belief Network를 이용한 아키텍처 전술 품질 평가 방법 (Quality Evaluation of Architecture Tactics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

  • 이정빈;이동현;김능회;인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0-331
    • /
    • 2010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초기에 아키텍처를 분석하고 평가하지 않으면, 점점 품질결함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증가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분석 및 평가 방법은 아키텍처라는 상당히 추상화된 수준에서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며, 선택된 아키텍처 후보들만으로 서로에게 미치는 품질속성의 영향을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품질 속성 시나리오나 아키텍처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아키텍처 전술들의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아키텍처 전술의 품질 평가를 위해, Q-SIG(Quantified Softgoal Interdependency Graph)을 이용한 품질속성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아키텍처 전술의 관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Bayesian Belief Network(BBN) 모델 구축을 통해 Q-SIG에서 표현할 수 없는 다수의 품질속성을 만족하는 아키텍처 전술들 간의 조합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여 아키텍트가 소프트웨어 디자인 단계에서 높은 품질속성을 달성할 수 있는 아키텍처 전술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DB서비스평가 / 지식정보 DB 품질 평가

  • 김선영
    • 디지털콘텐츠
    • /
    • 1호통권140호
    • /
    • pp.78-80
    • /
    • 2005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식정보 DB의 품질을 점검해 보기 위해, 매월 1종의 DB를 선정해 품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2005년도‘DB 서비스 평가’기획 시리즈로 연재한다. 특히 이번 기획 평가는 사용자 관점에서 DB품질을 조명해 보는 만큼, 지식정보 DB의 활용도 극대화를 위한 실천적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CBAM을 활용한 품질기반 아키텍처 평가 (Quality-based Architecture Evaluation Utilizing CBAM)

  • 이정빈;이동현;김능회;인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21-822
    • /
    • 2009
  • 소프트웨어의 품질결함은 후반으로 갈수록 발견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가 비용(appraisal costs) 단계에 속하는 아키텍처 평가에서 품질의 저하를 발견하고, 수정하여 전체 소프트웨어 품질 비용을 감소시켜야 한다. 아키텍처 평가기법인 CBAM(Cost-Benefit Analysis Method)은 ROI(Return On Investment)를 통한 아키텍처 전략선택 기법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미치는 품질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기존의 CBAM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적용하여 품질 속성과 아키텍처 전략 조합들과의 관계를 통해, 주어진 자원 안에서 시스템의 품질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병원정보시스템 품질 항목에 대한 제안

  • 박찬석;고석하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0-320
    • /
    • 2007
  •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소프트웨어 제품은 모든 산업에 필수요소가 되었고, 품질과 평가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산업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병 통치적 기대, 품질 표준의 부족, 측정을 위한 양질의 데이터 부족, 소프트웨어 분석과 디자인에 대한 공학적 한계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해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의료산업 관련 정보시스템의 오류 및 사용자들의 운영 미숙은 매년 많은 금액의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켰고, 병원정보시스템의 품질에 대한 관심을 초래하였다. 특히, 산업적 특성이 강한 병원정보시스템은 성공적 구축을 위해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디자인과 다양한 전문가들의 지식 통합이 필요하며, 정보시스템 품질 측정으로 연구자들과 개발자들의 시스템 설계 혼란을 감소시키는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병원정보시스템이 단편적인 업무처리 위주로 개발 운영되고 있고, 장기적 경영전략이나 임상연구를 위한 분석적 정보처리 기능들은 결여되어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재설계나 추가적 개발 에 활용될 수 있는 객관적 품질 기준이 부족하고,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에 대해 소프트웨어 설계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병원정보시스템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 경향을 종합하고, 품질 평가에 대 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용성(Usability)을 기준으로 병원산업의 특수성을 포함한 품질 평가 방법과 품질척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제표준기구(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는 품질 특성을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 보수성과 이식성의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Folmer & Bosch(2004)가 정리한 ISO9126에서는 품질의 특성을 배움의 용이성, 운영의 용이성, 이해성과 매력성으로 분류하였고, ISO9241-11는 효과성, 효율성과 만족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Shackel(1991)은 배움의 용이성(배움과 시간, 기억력), 효과성(오류, 직무시간), 유연성과 마음가짐으로 분류하고 있다(Shackel, 1991). Nielsen(1997)은 배움의 용이성, 기억의 용이성, 오류, 효율성, 만족성으로 분류하고 있고(Nielsen, 1997), Shneiderman(1998)는 효과성(직무시간, 배움의 시간), 효율성(기억의 지속시간, 오류), 만족도를 품질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소프트웨어 계획, 개발, 성장과 쇠퇴의 모든 과정에 적용되며, 환경적 변화에 따라 사용자들의 정보욕구를 적절하게 반영하여 만족도를 높이 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들 은 보편적인 평가 항목들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일반적인 품질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유사한 측정 내용들이 중복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산업별 특수성이 강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정확한 품질측정이 어려웠고, 품질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나타난 방법론이 최종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적절하게 시스템에 반영했는지에 대한 사용성(Usability) 측정이다. 사용성에 대한 정의는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일하는 장소에서 직접 사용자들의 시스템 운용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ISO9124-11에서는 사용성을 "어떤 제품이 구체적인 사용자들에 의해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용의 맥락에서 효율성, 효과성을 만족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도"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병원정보시스템 평가에 대한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품질 측정의 효과는 정보화에 대한 동기유발과 의료품질을 높이는 게기가 되었으며,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평가에 대한 인식의 문제, 평가 방법의 신뢰성 부족, 평가 지침과 부분적 평가에 따른 인증의 어려움 평가 결과에 대한 확산과 단편적 연구의 한계 등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HIS에 대한 연구 빈도와 범위 가 매우 미약하였다. 특히, 품질속성은 같은 용어이지만 연구자에 따라 전혀 다른 측정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효율적인 품질 지표를 제시하는데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품질 평가의 경향은 시스템 설계 및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사용자들의 구체적이고 독특한 욕구나 병원정보시스템 환경의 특수성 파악에 한계를 보였으며, 평가 범위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전사적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ISO와 같은 품질 표준 속성과 컨텍스트(Context)를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한 평가 척도의 설정은 구체적이고 실용적이며 신뢰성 있는 평가 방법이 될 것이다.

  • PDF

중국 소셜커머스 정보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to use in Chinese Social Commerce)

  • 이지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161-167
    • /
    • 2015
  • 소셜커머스에서 어떤 정보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느냐에 소비자 만족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구매의사를 가지는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품 및 서비스 등의 정보품질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소셜커머스를 통한 구매행동을 하는 중국소비자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 정보품질 관점에서 소셜커머스 만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가 제공하는 정보품질이 소비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소셜커머스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SPSS 22.0과 AMOS 2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격 정보품질을 제외한 상품 정보품질, 서비스 정보품질, 소셜 정보품질은 소비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한국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