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적합성

검색결과 4,997건 처리시간 0.032초

뇌파측정기술(EEG)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주제 적합성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opical Relevance of Multimedia based on EEG Techniques)

  • 김현희;김용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61-381
    • /
    • 2016
  • 본 연구는 뇌파측정기술(EEG/ERP)을 적용하여 멀티미디어 자료의 주제 적합성의 단순 모형과 복합 모형을 제안하였다. 즉, 단순 탐색을 처리할 때의 주제 적합성 판단 과정은 단순 모형으로 기술하고, 복합 탐색을 처리할 때의 주제 적합성 판단 과정은 복합 모형으로 설명한다. 단순 모형은 이미지의 의미 분석을 기술하는 N300과 작업 분류에 대한 판단을 할 때 발생하는 P3b 요소들을 이용하였다. 한편 복합 모형은 이미지 기반 표현과 개념적 표현을 하나의 문맥으로 통합시킬 때 나타나는 N400과 복잡한 인지 과정을 기술하는 P600 요소들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적합성 모형들은 EEG 측정 정보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정보시스템의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문제극복 모형의 적합성과 정보화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he Problem-Solving Models and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고영만;오삼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2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문제 극복에 관한 인지 과정 모형인 INSTRAT 모형과 기능적 접근 모형인 Big6 모형을 대상으로 이 모형을 인간의 정보활동 또는 정보능력 개발학습에 적용시킬 경우 그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INSTRAT 모형은 논리적 해석을 통해 그 적합성을 분석하였으며, Big6 모형의 적합성은 Sense-Making 방법중의 하나인 Micro-moment Time-line 기법을 사용한 면답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NSTRAT 모형은 정보행위시 도움을 요구하는 단계적 상황에 유효한 정보시스템 개발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며, Big6모형은 정보화 교육 또는 정보능력 개발학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정보문제 해결과 관련된 인간의 행동은 Big6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 PDF

Web 기반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용성 관련 감성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Usability-related Gamsung Indexes for Web-based Databases)

  • 박길환;임은영;박민용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8-342
    • /
    • 1999
  • 본 연구는 웹 기반 감성데이터베이스구축 및 보급을 위하여 국내의 감성 관련 주요 연구 결과 및 감성 자료를 수집하고 주요 감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감성 지표는 사용 적합성 지표로서 수집한 감성 자료들 중 사용 적합성에 관련된 감성 자료를 선별하여 이를 물리적/객관적 적합성 관련 지표와 주관적 적합성 관련 지표, 개발된 측정 시스템, 감성 정보물로 분류하였다. 물리적/객관적 지표는 다시 환경 지표, 생리 지표, 제품설계 지표, 평가척도 지표, 제품평가 기술 지표로 분류 등의 세부지표로 분류하고, 주관적 지표는 언어 지표, 묘사 지표, 심리 지표, 인지 지표로 다시 나누어 분류하였다. 개발된 제품, 측정 시스템, 또는 시뮬레이터 둥은 개발된 측정 시스템으로 분류하고 그 밖의 감성공학적으로 중요한 자료 및 정보는 감성공학 관련 정보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지표는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한 후 감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예정이다. 이를 위하여 전반적인 감성 자료 관리 시스템을 통한 효과적인 감성 자료 관리체제 구축과 감성 자료의 공유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정보보호 서비스를 위한 규칙기반 프로토콜 보안평가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Rule Based Protocol Security Evaluation System for Internet Secure Service)

  • 현정식;권혁찬;나재훈;손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953-956
    • /
    • 2001
  • 인터넷에서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인 시스템보다 보안성 유지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전성, 즉 시스템의 구현상의 적합성과 보안성을 평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고도로 발전하는 해킹기술에 대해 시스템이 얼마만큼의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평가할 수 있어야 그 시스템의 적합성과 보안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성 평가 기술은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독립적으로 구동 되어야 하고, 고도로 발전하는 해킹기술에 대해 유연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토콜 레벨의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규칙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적합성 및 보안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규칙기반 프로토콜 보안평가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모듈형 NVIDIA Jetson TX2 임베디드 제품에서의 블록체인 적합성 (Block Chain Conformance in Modular NVIDIA Jetson TX 2 Embedded Products)

  • 최효현;이경영;손동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97-29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모듈형 NVIDIA Jetson TX2 임베디드 제품에서 채굴을 통해 블록체인의 적합성 여부를 보인다. 범용성과 적합성의 평가기준은 TPS (Transactions Per Second), 블록생성시간(Block Generation Time)과 확정시간(Confirmation Time)이다. 채굴 준비 시 TX2 임베디드 제품의 특성상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자립적으로 설치 할 수 없기 때문에 HOST PC와 함께 사용하였다. HOST PC는 TX2 제품과 호환성이 높은 OS인 Ubuntu 14.04를 사용했으며, 하드웨어 드라이버 설치를 위해 NVIDIA 공식 TX2 제품 소프트웨어 중 JetPack 3.1 Release Version 을 사용하였다. 코인은 이더리움(Ethereum), 라이트코인(Litecoin)과 제트캐쉬(Zcash) 총 3종 코인으로, 채굴 시 나온 결과물로 TX2 제품에서 블록체인의 적합성 여부를 보였다.

  • PDF

경쟁전략과 MIS전략의 적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윤종욱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 /
    • pp.489-508
    • /
    • 1998
  • 서비스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달성하기위해 서비스 인카운터를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인카운터는 서비스파업, 서비스생산시스템, 서비스표준으로 구성되므로 이들간의 전략적 일관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인카운터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 기업의 경쟁전략과 하위전략인 MIS전략의 적합성을 경쟁전략, 서비스 생산구조, MIS과업, MIS전략구조로 파악하여 금융산업과 유통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했다. 실증분석결과 특히 경쟁전략과 MIS 과업, 그리고 경쟁전략과 서비스 생산구조간의 전략적 적합성이 가설을 높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I 인증서 등에 대한 적합성 평가 (Interoperability Compliance Test for PMI)

  • 이승훈;정구완;송주용;송주석;박정환;이재일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6
    • /
    • 2002
  • 권한 관리 기반 구조(PM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란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와 연동되어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신원정보와 권한 또는 속성 정보를 연결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 관리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 보호 인프라이다. 이러한 권한 관리 기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인증서를 속성 인증서(Attribute Certificate) 또는 PMI 인증서라고 부른다. 속성 인증서가 기반 구조 내에서 통용되어 사용되기 위해서는 표준화 기관에서 정의한 표준 규격을 따라야 하며 유효성을 해치지 않는 올바른 값들로 인증서 내용이 채워져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특정 단체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사용되는 속성 인증서 등이 기반 구조내의 개체들 간에 서고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적합성 평가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속성 인증서 및 인증서 요청 메시지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고 평가 시 요구되는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을 정의한다.

  • PDF

프로세스 마이닝에서의 효율적인 적합성 판단 기법 (Efficient Method of "Conformance Checking" in Process Mining)

  • 김광복;허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C)
    • /
    • pp.66-71
    • /
    • 2010
  • BPMS, ERP, SCM 등 프로세스 인식 정보시스템들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프로세스 마이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세스 마이닝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저장된 이벤트 로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추출된 로그정보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분석 및 재설계에 사용될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하게 된다.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은 프로세스의 자동화 및 기업의 업무정보들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기반 정보시스템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위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생성된 이벤트 로그로부터 프로세스 모델을 재설계하는 프로세스 발견 기법 (Process Discovery Technique)을 적용한 부분에서만 활발히 진행되었다. 프로세스 마이닝은 프로세스 발견 기법 외에도 프로세스 적합성검사 기법 (Process Conformance Checking Technique) 및 프로세스 확장 기법 (Process Extension Technique)이 존재한다. 이들은 많은 프로세스 발견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나서야 최근 프로세스 마이닝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적합성 검사를 위해 수집된 이벤트 로그와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프로세스 발견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프로세스를 수치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두 가지 애트리뷰트를 제시하였다.

  • PDF

영상에 대한 Semantics 축적이 가능한 Relevance Feedback (Semantics Accumulation-Enabled Relevance Feedback)

  • 오상욱;설상훈;정민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06-1313
    • /
    • 2005
  • Relevance Feedback(RF)은 사용자의 인지적 피드백(perceptual feedback)을 사용하는 영상 검색 기법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얻게 되는 적합성 정보(relevance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query)를 점진적으로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RF 기법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정보가 매우 유용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검객이 끝나는 순간 없애버리고 만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인지적 피드백 정보를 버리지 않고, 저장하는 새로운 개념의 RF를 제안한다. 새로 제안된 RF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어 저장된 상위 레벨의 적합성 정보(high-level relevance information)를 하위 레벨의 특징벡터(low-level feature vectors)와 동적으로(dynamically)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검색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제안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결과도 제시한다.

  • PDF

간판 개선을 시행한 간판의 점포 적합성이 점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의 매개효과 (Effect of Store Fit of Improved Signboard on Visit Intention to Stor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 김예솔란;이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9-35
    • /
    • 2023
  • 이 연구는 간판 개선을 시행한 간판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점포 적합성이 점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그 관계에서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간판 개선을 시행한 지역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7일부터 11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데이터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2의 Model 4를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점포 적합성은 정보성과 오락성을 매개하여 점포 방문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간판 개선 사업에 참여하는 소상공인과 지자체 및 정부 기관의 실무자에게 간판 개선 시 간판의 점포 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