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유포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utomatic Javascript de-obfuscation and Detection of Malicious WebSite using Hooking Method (후킹 기법을 이용한 난독화 자바 스크립트 자동 해독 및 악성 웹 사이트 탐지 기술)

  • Oh, JooHyung;Im, Chaetae;Jung, H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202-1205
    • /
    • 2010
  • 무작위 SQL 삽입 공격 등을 통해 웹서버 해킹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해킹된 웹서버는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코드가 웹페이지에 삽입되어 악성코드 경유/유포지로 악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복원 및 취약한 ActiveX 생성에 사용되는 주요 함수에 대해 후킹 기술을 적용한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난독화된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해독하고, 악성코드 경유/유포지로 악용되는 웹 서버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기술을 프로토타입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악성 URL 공유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샘플 분석을 통해 제안한 기술이 높은 악성코드 경유/유포지 탐지율을 보이는 것을 증명한다.

A Survey on Twitter Malware Distribution (트위터에서의 악성코드 유포 실태조사)

  • Kang, Jung-in;Do, Heesung;Lee, Heej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27-1330
    • /
    • 2010
  • 최근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블로그 형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확산되어가고 있으며, 트위터(Twitter)란 이러한 가장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를 매개로써 이루어지는 악성코드 유포 행위를 조사하기 위해 트위터에 올라오는 게시물(Tweet)들에서 약 93 만개의 링크를 임의 추출하여 다운받았고, 이중 7 개의 악성코드 배포 계정을 검출하여 해당 게시물과 계정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Improvement of Incognito by using Bitmap Index (Bitmap Index을 이용한 Incognito 성능개선)

  • Kang, Hyun-Ho;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67-70
    • /
    • 2005
  • 현대사회에서는 자신도 알지못하는 많은 정보들이 유포된다. 이때 정보들은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기위해 성명, 성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식별 애트리뷰트를 생략한채로 유포된다. 그러나 널리퍼져있는 이러한 정보들은 다른 외부 정보와 조인되므로써 유일하게 개인을 식별하게끔 하는 조인공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인공격시 여러데이터가나오게하므로써 개인식별을 어렵게 또는 불가능하게하는 방법을 k-anonymization이라고하고 이러한 k-anonymization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이전부터 여러가지가 있다. 이전의 방법들로는 각 subset마다 k-anonymization을 검사해야했으나 Lefevre와 DeWitt가 제안한 Incognito 방법을 사용하면 한번의 검사로 모든k-anonymization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Incognito를 bitmap index를 사용하므로써 성능을 개선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Malicious Web Page Detection Systems using Real-Time Behavior Analysis (실시간 행위 분석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웹페이지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

  • Kong, Ick-Sun;Cho, Jae-Ik;Son, Tae-Shik;Moon, Jong-Sub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9C no.3
    • /
    • pp.185-190
    • /
    • 2012
  • The recent trends in malwares show the most widely used for the distribution of malwares that the targeted computer is infected while the user is accessing to the website, without being aware of the fact that, in which the harmful codes are conceal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malicious web page detection system based on a real time analysis of normal/abnormal behaviors in client-side. By means of this new approach, it is not only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methods can be overcome, but also the risk of infection from malwares is mitigated.

Development of an open source-based malicious code blocking program (오픈소스 기반 문서형 악성코드 차단 프로그램의 개발)

  • Seo, Minjeong;Ko, HuiSu;Yang, Hyeonji;Kang, Minju;Kim, Gwa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424-427
    • /
    • 2020
  • 인터넷의 활발한 이용으로 인해 악성코드의 유포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문서형 악성코드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문서형 악성코드는 이메일, 온라인에서 다운로드 받는 PDF, DOCX 파일의 취약점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쉽게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문서형 악성코드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문서 파일을 안전한 PDF 파일로 변환해 주는 오픈 소스 프로그램인 Dangerzone을 활용하여 개인과 기업에서 프로그램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웹, 데스크톱 형태로 확장 개발한다.

Privacy Intrusion Intention on SNS: From Perspective of Intruders (SNS상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 가해자 관점으로)

  • Eden Lee;Sanghui Kim;DongBack Se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0 no.1
    • /
    • pp.17-39
    • /
    • 2018
  • SNS enables people to easily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ople share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SNS. Users are concerned about their privacies, but they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disclose their personal information on SNS to interact with others. The privacy of a self-disclosed person can be intruded by others. A person can write, fabricate, or distribute a story using the disclosed information of another even without obtaining consent from the information owner. Many studies focused on privacy intrusion,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a victim. However, only a few studies examined privacy intr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ruder on SNS.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ntion of privacy intr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ruder on S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Privacy intrusion intentions a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intrusion of privacy by writing one'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obtaining consent from the information owner;, whereas the other type pertains to intrusion of privacy by distributing one'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obtaining consent from the information owner. A research model is developed based on motivation theory to identify how these factors affect these two types of privacy intrusion intentions on SNS.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theory, we draw one extrinsic motivational factor (response cost) and four intrinsic motivational factors, namely, perceived enjoyment, experience of being intruded on privacy, experience of invading someone's privacy, and punishment behavior. After analyzing 202survey data, we conclude that different factors affect these two types of privacy intrusion intention. However,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wo types of privacy intrusion intention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ndings is that the experience of privacy intrusion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the two types of privacy intrusion intention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privacy by suggesting two types of privacy intrusion intentions on SNS and identifying their antece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ruder. Practitioners can also use the findings to develop SNS applications that can improve protection of user privacies and legitimize proper regulations relevant to online privacy.

A Study on the Malwar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PI Similarity Analysis (API 유사도 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분류 기법 연구)

  • Kang, Hong-Koo;Cho, Hyei-Sun;Kim, Byung-Ik;Lee, Tae-Jin;Park, H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808-810
    • /
    • 2013
  • 최근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과 더불어 정치적, 경제적인 목적으로 웹사이트와 이메일을 악용한 악성 코드가 급속히 유포되고 있다. 유포된 악성코드의 대부분은 기존 악성코드를 변형한 변종 악성코드이다. 이에 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해 유사 악성코드를 분류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정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가지고 분류하기 때문에 실제 발생되는 행위에 대한 분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가 호출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정보를 추출하고 유사도를 분석하여 악성코드를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악성코드가 호출하는 API의 유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동적 API 후킹이 가능한 악성코드 API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퍼지해시(Fuzzy Hash)인 ssdeep을 이용하여 비교 가능한 고유패턴을 생성하였다. 실제 변종 악성코드 샘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하는 악성코드 분류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 System for Blocking Spam Mail Propagation by E-mail Viruses (전자메일 바이러스에 의한 스팸 메일 전파 차단 시스템)

  • Nham, Gang-Wonny;Kim, Joon-Mo;Woo, Jin-Woon;Cho, Se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981-1984
    • /
    • 2003
  • 최근에 유포되고 있는 악의적인 소프트웨어로 Melissa와 Love letter와 같은 전자우편 바이러스가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전자우편을 열기 만해도 메일 주소록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자신을 유포함으로써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메일 주소 변형모듈 및 복원모듈을 전자우편 송신부에 추가 도입함으로써 전자우편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변형모듈은 송신자 행위에 의해서만 수행되어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변형하며, 복원모듈은 송신부의 서버 단에서 전자우편 전송 시마다 수행되어 역변형 과정을 거쳐 메일 주소를 복구한다. 변형모듈은 전자우편 바이러스에 의해서는 실행되지 않도록 구현되며, 전자우편 수신부에서는 추가로 하는 작업이 전혀 없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전자우편 바이러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형성(polymorphism) 기법도 적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