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유실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3초

뉴스 중복 제거에 따른 정보 유실 방지하기 위한 중복 뉴스 결합 시스템 (Near Duplicate News Combining System to Prevent Information Loss Due to Deduplication of News)

  • 김태환;최원재;김정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91-39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중복 데이터가 가장 많은 인터넷 뉴스 상에서 중복 뉴스를 제거하는 경우 중복 뉴스로 판단되는 유사 중복 문서를 제거할 때 정보의 유실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뉴스를 대상으로 유사 중복 뉴스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보의 유실을 해결하기 위해 제거 된 뉴스와 결합하여 새로운 뉴스를 만드는 중복 뉴스 결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뉴스의 기본 문장과 탐지된 중복 뉴스의 문장 간의 관계 유사도를 활용하여 유실 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기본 뉴스에 결합하여 정보의 유실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보였다. 향후 뉴스분야뿐만 아니라 중복 문서 제거가 필요한 문서를 다루는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 PDF

모바일 GIS를 이용한 필지별 토사재해정보시스템 개발 (Parcel based Information System for Sediment Disaster by using Mobile GIS)

  • 이근상;최연웅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59-74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해 도심지 옹벽 및 축대붕괴, 토사유실 그리고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DEM, 토지피복도와 같은 공간정보를 RUSLE 모델에 적용하여 토사유실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특히 토사유실량을 지적도와 연계하여 필지별로 토사유실 및 단위토사유실 등급도를 작성하였으며, 토사유실 등급별로 필지수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계획이나 건설 분야에서 토사유실 등급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모바일 GIS 기반의 토사재해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토사재해정보시스템을 통해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그리고 도로구간대장에 대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지별로 RUSLE 인자와 토사유실량 그리고 토사재해등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행정동과 토사유실등급별로 해당 필지의 위치와 속성을 검색함으로써 현장에서 토사재해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정보를 활용한 도심지 토사유실 위험도 평가 (The evaluation of Soil Erosion Risk of Urban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이근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57-7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토사유실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실은 산사태, 수질, 농경지 생산성 저하 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토사유실 모델링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는 DEM, 토양도 그리고 토지피복도와 같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토사유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지역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을 이용하여 토사유실량을 평가하였다. 완산구에서는 효자 4동과 평화2동의 토사유실량이 각각 10,869ton/yr과 10,477ton/yr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덕진구에서는 우아2동의 토사유실량이 17,603ton/yr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사유실 잠재성 평가에 이용되는 단위 토사유실량 분석결과, 완산구에서는 효자1동과 평화1동이 각각 $1,485.7ton/km^2$$1,297.0ton/km^2$로 높게 나타났으며, 완산구에서는 인후3동의 단위토사유실량이 $2,557.7ton/k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성과는 도심지 토사유실 및 토석류 위험도를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형공간정보체계와 토양유실모형을 이용한 토양유실량과 유사량에 대한 비교 (Comparison Sediment load with Soil Loss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박재훈;양인태;김동문;천기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5-231
    • /
    • 2000
  •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은 환경에 침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의 부족으로 실제 유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유실량을 측정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토양유실모형을 지리정보체계와 통합하여 홍천강유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발생 가능한 유실량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으며, 홍천강 유역에서 측정한 유사량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그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수정토양유실모형에 필요한 각각의 인자들은 격자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지형인자는 추출과정을 프로그램화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 PDF

GIS기반 토사유실모델을 이용한 저수지 사면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The Influence Analysis for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using GIS-based Soil Loss Model)

  • 이근상;박진혁;황의호;고덕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8-117
    • /
    • 2004
  • 임동 유역은 지질 및 토지피복 상태가 토사유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토사유입으로 호소내 수질오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호소내 수질문제의 원인으로 저수지 사변의 토사유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 기여율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GIS 및 위성영상과의 연계가 가능한 RUSLE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는 사연의 범위와 폭 그리고 사면상태를 DB로 구축하기 위해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임동유역에 대한 토사유실량과 비교하여 저수지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량과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약 2.64%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임동 유역의 토사유실량에 비해 저수지 사면의 토사유실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컨테이너 유실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ntainer Loss)

  • 박주현;김동욱;김성현;김형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8-1089
    • /
    • 2023
  •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유실이 빈번한 상황 속에서 이를 방지하고자 유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 3 가지를 선정했다. 센서 최적화 알고리즘, 턴버클 회전 감시, 컨테이너 외부에 작용하는 힘의 합이 3 가지를 합하여 컨테이너 유실 방지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센서 위치의 최적화를 통해 총 컨테이너의 20%만 센서만 부착하여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지도록 만들어 물리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턴버클의 풀림을 관측하여 선원의 감시구역을 35% 정도 줄여주며, 라싱에서 지탱할 수 있는 상태의 범위를 넘어서는 식을 통해서 컨테이너의 유실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Evalu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Amount with Turbid Water Data)

  • 이근상;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5-81
    • /
    • 2004
  •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토지피복 상태가 토사유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토사가 하천에 유입되어 호소내에 많은 탁수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하호 탁수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GIS 기반RUSLE 모형을 이용하여 임하호 유역의 토사유실량을 분석하였다. 2003년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토사유실량을 분석한 결과 5,782,829 ton/yr로 계산되었으며, 소유역별 분석에서는 동부천이 가장 높은 토사유실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태풍매미때의 탁수실측자료를 이용하여 RUSLE 모델로 산정한 토사유실량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산불발생지역에서의 토양유실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il loss in Forest fire area)

  • 양인태;박재훈;천기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6
    • /
    • 2003
  •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의 부족으로 실제 유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유실량을 측정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SIS와의 연계가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사용할 있는 USLE 모형을 선정하여 토양유실량 예측에 이용하였으며, 모형에 입력되는 인자들을 GSIS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특히 USLE 모형을 다소 수정하여 유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산불전과 후의 토양유실량을 계산하여 토지피복변화가 토양유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격자크기를 22m로 구성하여 격자별 침식량을 확인할 수 있어 토양유실량 분포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HyGIS와 연계한 토양유실분석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oil Erosion Analysis Model to Couple the HyGIS)

  • 김경탁;김주훈;최윤석;원영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784-788
    • /
    • 2010
  • 본 연구는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해 개발사업으로 인한 재해유발요인을 예측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수행되고 있는 사전재해영향평가에서 토양유실도 작성을 위한 HyGIS와 연계한 토양유실량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GIS를 수자원의 다양한 분야에 손쉽게 적용하기 위해서 컴포넌트 형태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HyGIS에서는 DEM을 이용하여 유역 및 하천망의 추출과 지형분석이 가능하며, 하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유역의 다양한 정보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HyGIS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GIS를 이용한 수자원 분야의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HyGIS와 연계한 토양유실 분석 모형은 HyGIS의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 툴은 GEOMania GMMap2009의 Add-on 형태로 개발하였고, OECD에서 제안한 토양유실 위험 등급도도 작성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PDF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량 및 경작지의 상관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rosion and Cultivation in the Bockha Stream Watershed Area)

  • 이진영;양동윤;김주용;홍세선;김진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5
    • /
    • 2006
  • 복하천 유역에서 홍수에 의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침수된 지역에서는 사면에서 유실된 토양에 의한 피해가 동반되었다.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 피해와 경작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GIS를 이용하여 유역별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GIS상에서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산정하였고, 지형을 토대로 소유역을 구분하고 각 소유역의 단위토양유실량을 산정하였다. USLE에의해 산정된 단위토양유실량은 연평균강우량 1,329 mm/yr를 기준으로 0.03 ton/ha로 나타났다. 단위토양유실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백사면 상용리일대 소유역(0.05 ton/ha)으로, 유실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소유역은 주로 경작지 활용율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