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획득

Search Result 5,634,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위성의 일반적인 상태정보 획득보드의 개발

  • Won, Ju-Ho;Jo, Yeong-Ho;Lee, Yun-Gi;Lee, Sang-G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84.1-184.1
    • /
    • 2012
  • 위성은 위성의 상태제어를 위한 명령부와 해당 명령이 기능대로 수행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 획득부로 구성된다. 명령부는 위성의 버스 플랫폼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 (전압, 전류, 펄스폭, 형태등)를 갖지만, 상태정보획득은 명령부에 비해서 공통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명령부는 +17V 또는 +28V등의 고전압, 고전류의 요구조건이 필요하지만, 상태정보 획득은 아날로그용 (+15V or +12V)또는 디지털용 (+5V)로 전압과 전류조건이 명령부에 비해서 요구조건이 완화된다. 상태정보획득은 relay 상태를 획득하는 matrix 구조로된 TM matrix와 아날로그 전압 상태정보를 단일채널을 통해 획득하는 Analog 단일 채널부와 정밀한 아날로그 정보 획득을 위한 차등 Analog 채널부, 기준전압과의 비교를 통한 이진상태부와 정전류를 통한 Thermistor 상태정보 획득부로 구성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16{\times}8$ matrix로 구성된 TM matrix 획득부와 300채널의 단일채널 아날로그 전압 획득부, 64채널 차등 아날로그 전압획득부 및 64채널 이진상태 획득부와 16채널로 구성된 정전류 thermistor 아날로그 상태정보 획득부의 구현 방법 및 프로세서보드와의 접속을 위한 UART 접속구조등에 대한 내용과 보드 사이즈 제약사항등의 구현에 대한 개발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Estimation of Acquisition System of Moving Object Location (이동객체 위치 획득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Min, Kyoung-Wook;Cho, Dae-Su;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799-1802
    • /
    • 2002
  • 이동객체 위치획득시스템은 이동체데이터베이스((MODB : Moving Object Database)에서 위치를 획득하는 서브시스템으로써, 사람 또는 자동차와 같이 이동성을 갖는 객체의 위치를 여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위치획득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위치를 획득함에 있어서 통신 부하를 최소화하여야 하며, 획득된 정보의 질을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다양한 데이터의 집합, 다양한 통신 환경 상황에 대하여 다양한 위치획득 모델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통신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정적 위치획득 전략, 거리기반 위치획득 전략, 그룹기반 위치획득 전략, 예측기반 위치획득 전략 등, 다양한 위치획득 전략을 모델링 하여 성능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위치획득 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위치획득시스템을 구현하여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

Simulation based Automatic Knowledge Acquistion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식의 자동 획득)

  • 이강선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 no.1
    • /
    • pp.23-30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지식의 자동 획득(Simulation-Based Automatic Knowledge Acquistion)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을 위한 작업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제공자에 의한 대상(domain) 관련 초기 인과 관계 정보 입력 단계, 둘째 경험 베이스 탐색에 의한 확장된 정보 생성 단계, 세 번째로 생성되어진 정보를 사용하여 대상 반영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네 번째로 구축된 모델을 시뮬레이션하고 수행 결과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된 지식 획득 방법은 ,대상에 관계된 개념과 개념들의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모델을 자동 생성하여 이를 지식 획득 표현틀로 이용하는 유연한 구조를 사용하였고, 또한 생성된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함에 의해 새로운 지식을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지식이 동적 세계를 잘 반영할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 of Obtaining Body State Information on Web Environment (웹 환경을 통한 신체상태정보 획득에 대한 설계)

  • Lee, Hyun Chang;Xu, Chen Lin;Shin, Seong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33-135
    • /
    • 2013
  • 신체 정보에 대한 신체 상태정보 획득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만연함에 따라 센서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신체정보 획득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대량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정보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각각의 기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의학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체의료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 PDF

Changes of the Strategy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Mental Model Building in Decision Making (의사결정에서 정보 획득 방략의 변화와 심적 모형 형성)

  • Yu, Jae-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202-205
    • /
    • 2005
  • 대부분의 실험상황과 달리 실제 상황에서 사람들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획득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는 정보 획득 방략이 고정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반복적인 의사결정은 환경에 대한 피드백 학습을 가능케 하여 심적 모형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심적 모형의 변화는 정보 획득 방략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연구에서는 심적 모형 형성과 정보 획득 방략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Depth Acquisition Techniques for 3D Contents Generation (3차원 콘텐츠 제작을 위한 깊이 정보 획득 기술)

  • Jang, Woo-Seok;Ho, Yo-Sung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3
    • /
    • pp.15-21
    • /
    • 2012
  • Depth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various three dimensional contents generation. Depth acquisition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wo approaches: active, passive depth sensors depending on how to obtain depth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take a look at several ways of depth acquirement. We present not only depth acquisition methods using discussed ways, but also hybrid methods which combine both approaches to compensate for drawbacks of each approach. Furthermore, we introduce several matching cost functions and post-processing techniques to enhance the temporal consistency and reduce flickering artifacts and discomforts of users caused by inaccurate depth estimation in 3D video.

  • PDF

Information Acquisition of Simulation Objects by Resolution in Multi-resolution Model based War Game (다중 해상도 모델 기반 워게임 체계에서 해상도별 모의 객체의 정보 획득)

  • Bae, Hyun Shik;Rhee, Eun j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
    • /
    • pp.147-154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methods to acquire enemy object information, which is frequently required in multi-resolution model based war game and affects the simulation performance. In the information request method, a multi-resolution model selects information of a specific resolution and provides them to external objects. In the information announcement method, a multi-resolution model announces all information, and external objects select information of a specific resolution. In the information sharing method, external objects obtains information of a specific resolution by inquiring all information of a multi-resolution model which are stored in a shared spa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 sharing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information request method and the information announcement method because the information acquisition is fast.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r game operation by shortening the time for acquiring enemy forces' information.

An Incremental Acquisition of Terms Using Extended Variation Rules (확장된 변이 규칙을 이용한 용어의 점진적 획득)

  • Jung, Han-Min;Kim, Young-Kil;Choi, Sung-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111-117
    • /
    • 1998
  • 자연어 처리 응용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용어들을 자동적으로 획득하고, 나아가 이 과정을 점진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용어의 수를 증가 시키고 그 용어들 간의 의미적 관계도 얻을 수 있다. 점진적인 용어 획득을 위하여 용어의 형태에 변이 규칙을 적용하여 새로운 용어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우리는 변이의 종류를 단어간의 변이 뿐만 아니라 단어 내의 변이 그리고 이 둘을 결합한 복합 변이로까지 확장하여 새로운 용어 획득 과정을 더욱 다양화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실험은 확장된 변이 규칙으로부터 얻은 용어들 중에서 기존의 단어간의 변이로부터 획득한 용어들의 비율이 전체의 38.6%라는 사실로부터 변이의 종류 및 규칙의 확장이 획득할 수 있는 용어들의 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earching in hypertext: Comparison Between adults and children (하이퍼텍스트상의 정보획득과 성인과 아동의 정보탐색)

  • 최순희;조경자;이승복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1-11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hypertext and the difference of searching behavior between adults and children. In experiment 1. we compared the amount of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the hypertext to that of the printed text.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formance in printed text was better than in hypertext. However. the performance of experienced (in the internet) participan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hypertext and the printed text. Experiment 2 compared the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of the adults and children in the hypertext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dults performed the information-searching faster than children, y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correct responses of the two groups. However. children who were more experienced in the internet and produced right answers to the 7th level questions in depth performed better and faster than the adults who were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in the interne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earching of the wanted information.

  • PDF

A Development of Multipurpose Platform for Acquisition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수중공간정보 획득을 위한 다목적용 플랫폼 개발 연구)

  • Choi, Byoung-Gil;Cho,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14-41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무인으로 획득할 수 있는 다목적용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있다. 다목적용 플랫폼은 GPS, 음향측심기, 사이드스캔소나, 지층탐사기 등을 탑재하고 자동제어에 의한 방법으로 내수면 및 연안의 수중공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인 원격 수중 공간정보 획득장비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측량선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저수지, 댐 등의 지역 및 오염으로 인해 사람이 접근하기 불가능한 지역의 각종 수중정보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에 다중 에코사운더, 영상센서, 수질측정 센서 등 사용목적에 맞는 센서의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수면과 관련된 정보의 획득을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의 경제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