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화 투자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Analysis on the Pattern of IT System Investments and the Performance of SMEs (중소기업의 정보화 투자유형과 성과 분석)

  • Hwang, Soon-Hwan;Kim, Moon-S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45-551
    • /
    • 2005
  • 경영환경 변화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많은 기업들이 정보화 투자를 수행했지만 여전히 중소기업에게는 비용 부담, 투자성과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미진한 면이 없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BSC에 기반하여 정보화에 따른 성과를 측정하고, 정보화 투자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영역은 회계, 마케팅, 영업 관련 분야 순이며, 투자규모로는 제품개발 부문에 가장 많은 투자비가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유형을 보면 9개 분야에 걸쳐 모두 정보화 시스템을 운영중인 기업은 3%에 불과하고 6.92%는 정보화 시스템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분야별 정보화 시스템 운영을 통해 모두 성과가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마케팅/서비스 분야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중소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정보화 시스템과 이들이 어떤 패턴으로 정보화에 대한 투자를 진행해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통해 향후 중소기업 정보화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보다 더 효과적인 경로를 유추할 수 있고, 정책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Framework for IT Investment in the Public Sector (공공부문 정보화 투자관리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ae-Du;Park, Won-Jae;Kang, Sun-M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47-948
    • /
    • 2009
  • 국가정보화사업 투자효율성 향상을 위해 투자관리 체계구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 경제상황 악화와 새 정부의 IT 패러다임 변화도 이런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제한된 예산 범위 내에서 다양한 정보화 수요를 적절하게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리를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 정보화 투자가 요구된다. 공공부문 정보화 추진 시에 예산 사업 평가관리가 일체화 되지 못해 투자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한 면도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미국의 정보화투자관리체계(CPIC) 등 국내 외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 한국의 실정에 맞는 투자관리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국가정보화사업의 현황분석을 통해서 현장의 업무 절차를 기초로 한 투자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개선 등 향후과제도 살피고자 한다. 이 결과는 공공부문에서 최적화된 정보화 재원 배분을 통해 정보화 효율성 및 투자 성과 제고를 지원하기 위한 틀로 활용될 수 있다. 국가 정보화 계획 집행 평가의 전 과정을 연계하는 추진체계 및 제도 확충으로 정보화사업의 유기적 성과관리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IT Investment Management Framework in the Public Sector (공공부문 정보화 투자관리 체계정립 및 방향설정을 위한 기반 연구)

  • Lee, Jae-Du;Song, Seok-Hyun;Kwen, Yeong-Il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57-1459
    • /
    • 2011
  • 국가정보화추진에 있어서 정보화 투자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 정보화 패러다임인 촉진과 진흥 일변도의 정책기조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책 환경변화에 의한 신규투자 필요성과 기술발전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10년 국가정보화 예산구조에서처럼 66%에 달하는 고정비용은 미래 정보화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국가정보화 투자 관리에 필요한 제대로 된 현황자료나 체계화를 위한 정보는 물론 대안과 전략도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화 투자관리 체계를 분류하고 투자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고려사항과 접근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범위 및 방법은 정보화 투자분류와 중장기 투자방향설정을 위해 현황 등의 자료를 기초로 탐색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연구절차는 공공부문 정보화 투자관리에 대한 개관을 하고 현황분석을 통해 향후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결과는 정보화 예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인 아이디어 제공과 국가정보화의 체계화를 도모하고 정책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공공 거버넌스 체계 개편에도 필요한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lassifying and Measuring Business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 Based upon Balanced Scorecard (Balanced Scorecard 모형에 의한 정보화 투자효과 분류 및 측정)

  • 이국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8.09a
    • /
    • pp.560-583
    • /
    • 1998
  • 본 연구는 정보화 투자효과 평가방법론의 틀을 형성하는 투자효과 분류체계와 측정활동의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우선 기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이론적 또는 실무적 투자효과 분류체계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Balanced Scorecard 모형에 의거하여 정보화 투자효과를 재무, 대고객, 내부 프로세스, 혁신과 학습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1990년대 정보화 투자가 창출하는 무형적이고 전략적인 효과를 비즈니스 용어와 성과지표로서 적절하게 수용하고 있고, 정보화 투자를 비즈니스 투자와 사업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정보화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의 인과관계와 역동적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투자효과 측정활동은 기업성과지표의 도출, 기업성과지표별 정보화 효과 예측, 그리고 정보화 효과의 화폐가치 산출이라는 3가지 작업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작업별로 어떠한 절차, 방법,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 PDF

Classifying and Measuring the Business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 Based upon the Balanced Scorecard Model (Balanced Scorecard 모형에 의한 정보화 투자효과 분류 및 측정)

  • 이국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5 no.1
    • /
    • pp.69-84
    • /
    • 1998
  • 본 연구는 정보화 투자효과 평가방법론의 틀을 형성하는 투자효과 분류체계와 측정활동의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우선 기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이론적 또는 실무적 투자효과 분류체계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Balanced Scorecard 모형에 의거하여 정보화 투자효과를 재무, 대고객, 내부 프로세스, 혁신과 학습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1990년대 정보화 투자가 창출하는 무형적이고 전략적인 효과를 비즈니스 용어와 성과지표로서 적절하게 수용하고 있고, 정보화 투자를 비즈니스 투자와 사업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정보화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의 인과관계와 역동적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투자효과 측정활동은 기업성과지표의 도출, 기업성과지표별 정보화 효과 예측, 그리고 정보화 효과의 화폐가치 산출이라는 3가지 작업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작업별로 어떠한 절차, 방법,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 PDF

Developing Organizational IT ROI Evaluation Methodology: Samsung Group Case (전사적 정보화 투자 성과 평가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 삼성그룹 사례)

  • Lee, Yoon-Seok;Lee, Seog-Jun;Moon, Heoung-Keu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6 no.1
    • /
    • pp.85-102
    • /
    • 2004
  • This article provides a practical organizational IT ROI evaluation methodology which had been developed by Samsung Group. In order to manage huge IT investment and ROI systematically, firms should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easure various types of IT expenditures, tangible and intangible outcomes of hundreds of KPIs, etc. An episod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om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ethodology were summarized. Finally, we added a real evaluation case of one Samsung affiliate company.

인쇄업 정보화투자 제조업중 으뜸 활용도는 최저수준

  • Kim, Gwang-Ryun
    • 프린팅코리아
    • /
    • s.3
    • /
    • pp.100-101
    • /
    • 2002
  • 기업에 있어 정보화투자는 생존.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는 시대적 요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기업은 생산방식의 디지털화와 함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끊임없는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인력, 자금력, 기술력, 관리력, 정보력 등에서 모두 열세에 있기 때문에 정보화투자는 경쟁력 강화는 물론 생존을 위한 밑거름이 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은 조직구조가 단순하여 의사결정력과 경영자의 의지가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고 시장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정보화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정보화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기업은 곧 고사위기에 처해질 수 밖에 없다.

  • PDF

Web-based IT Evalu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웹 기반의 건설 업종별 정보화 평가 시스템 개발)

  • Kim Gwan-Joon;Lee Yoon-Sun;Sohn Jeong-Rak;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1 s.17
    • /
    • pp.88-98
    • /
    • 2004
  • In recent, Information Technology(IT) is the biggest issue on the social whole includ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recognized as a key strategic means to reinforce competitive power and raise the effectiveness. However, CEOs of each firm have trouble with IT investment decision-making. Because there is neither any case to measure real value of IT nor any confidence to economic effect of information system. IT evaluation is so helpful for most construction firms to make a plan of IT investment. In addition, which will eventually facilitate to achieve their management goal and have the maximum of the firms'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IT evaluation system for monitoring IT level continually. And this will be enable a construction company to increase IT investment and improve the level of I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odel (국방정보화 평가모델 구축방안)

  • Hong, Jin-Ki;Sim, Seung-Bae;Cho, Sung-Rim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293-300
    • /
    • 2003
  • 지난 수년간 정보화수준 및 투자효과분석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실제 평가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보화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모델이 요구되고있다. 특히 조직이나 사업의 정보화 목표에 맞게 정보화를 진단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이 필요하다. 기존의 기업 정보화수준 평가모델의 경우 업종별로 다른 평가 모델을 적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업종 외에 해당 조직의 정보화 목표 및 범위에 대한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정보화 평가모델은 크게 조직 중심의 전반적인 정보화 수준을 평가하는 모델과 투자한 사업에 대한 투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모델로 나눌 수 있다. 두 개의 모델은 조직 또는 사업의 정보화 목표에 맞게 정보화가 진행되었는지를 평가하며, 평가한 결과를 피평가 조직에 피드백하여 차기 정보화 사업 추진에 활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 분야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한 정보화 평가모델의 구축 방법론을 제안하고, 평가의 유형 중에서 정보화 수준 평가 모델의 적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ITROI Case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IT투자성과관리체계 구축 사례)

  • Kang, Jea-Hwa;Lee, Mun-Gy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91-96
    • /
    • 2006
  • 최근 몇 년 사이 정부 내의 정보화 사업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정부시절 약 2,400억 규모의 정보화 예산이 참여정부에서는 약 9500억으로 증가한 사실이 이를 반증하는 증거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에 비하여,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성과관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현실이다. 오히려 성과관리라는 것이 사업의 추진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의 부재는 장기적으로 조직의 전략목표와 정보서비스와의 GAP을 심화시켰고, 결과적으로 막대학 IT 투자 전체에 대한 회의감만을 대두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2006년 IT최대의 화두인 IT거버넌스 개념 역시 IT와 비즈니스의 GAP을 줄여 IT 서비스가 조직의 목표와 전략을 올바르게 지원하도록 IT운영을 하자는 것이 핵심사상이다. 이러한 IT거버넌스 실현의 중심에 IT 투자성과관리체계가 있다. 해양수산부는 IT투자성과관리체계구축을 통하여 정보화사업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각 단계별 이력관리를 통해 매년 사업 담당자가 바뀌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사업계획, 시행, 종료 단계에서 과학적인 정보화 사업의 투자성과평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IT투자성과관리체계는 기 구축된 ITA, ITAMS, IT자산관리체계와 연동하여 해양수산부 IT거버넌스 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