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통신융합기술

Search Result 1,72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Technology and Case for Integrating OSS and BSS (운영지원시스템(OSS)과 비즈니스지원시스템(BSS)의 통합 및 연동 기술과 사례 분석)

  • Park, Seon-H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50-1453
    • /
    • 2010
  • 유무선 통신 기술 및 컴퓨팅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기술과 산업의 융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융합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 기술들의 연구도 함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신설비의 공유나 대여 관리 및 플랫폼을 통한 융합 서비스 제공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효과적인 인프라 관리와 서비스 제공 및 과금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융합 서비스 플랫폼 환경에 적합한 OSS/BSS 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비용의 새로운 OSS/BSS 구축보다 기존 통신망 사업자들의 OSS/BSS 의 연동 및 재사용을 통해 효과적인 OSS/BS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OSS/BSS 통합 및 연동을 위한 국내외 연구와 사례들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융합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OSS/BSS 연동 방안을 위한 기초적이고 중요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ST - IT Technology Convergence (ST - IT 기술 융합 발전 방향)

  • Eun, Jong-W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4 no.2
    • /
    • pp.1-4
    • /
    • 2009
  • This paper introduces not only what the ST-IT convergent technology is, but also the present technological status of ST and IT in order that the ST-IT convergent technology may not be a simple topic of conversation but a key word of our country's new growth engine. This paper also describes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technology convergence as some dynamic changes can be anticipated to create the new value and market because the wall betw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may be broken down due to the development of STIT convergent technology in the future.

  • PDF

사회진화현상으로서의 융합의 전개 및 방향성

  • Jeong, Jae-Y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1
    • /
    • pp.3-6
    • /
    • 2008
  •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의 융합현상은 여러 학문분과와 기술간 융합이 동시다발적으로 집적화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하나의 패러다임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IT, BT, 나노 분야간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IT기술은 기술간 융합을 매개하는 인프라로서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래하는 융합기술경제패러다임에서 국가경쟁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교육, 연구조직 및 관리, 금융, 정책 등의 차원에서 개방형의 융합친화적인 사회제도적 틀의 구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융합시대의 IT R&D 방향

  • Choe, Mun-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25-31
    • /
    • 2008
  • 사회변혁 과정에서 경쟁우위 확보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의 습득과 활용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혁명 과정에서 IT기술의 습득과 활용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IT강국이라는 현재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IT산업이 국가의 경제발전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여 나가기 위해서는 IT 산업내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정부에서 시작된 IT39 중심의 산업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변화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우리 IT산업이 직면한 문제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IT R&D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 변화의 큰 특징은 융합으로 대변된다. 정보처리 기술과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시작된 이 흐름은 최근 통방융합이라는 차원을 넘어 이종기술간 및 이종산업간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확장 진화되고 있다. 또한, 사회변혁의 패러다임도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시대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패러다임 변혁의 물결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IT기술이 융합시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떻게 진화해 갈 것인지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T기술은 그동안의 혁신적 발전을 기반으로 여타 기술 및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따라서, 융합시대에서 IT기술은 기존의 독자적 산업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산업으로 그 응용범위가 대폭 확장됨으로써 기존에 IT가 지녔던 기술적, 산업적 중요 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융합시대에 대응하여 IT R&D 방향을 검토하는 전략적 의미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게 된다. 융합시대에서 IT R&D는 IT가 여타 기술 및 산업발전을 위한 원천기술화를 비롯하여 (1) 유비쿼터스 인프라, (2) 디지털 인텔리전스, (3) 융합부품, (4) 메가 컨버전스 등과 같은 4대 동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T의 원천기술화 및 4대 동력에의 집중이야말로 융합시대를 슬기롭게 열어가는 '전략적 창(strategic window)‘이 될 것이다.

차세대 통신 서비스 융합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동향

  • Choe, Yeong-Il;Park, Yu-Mi;Lee, Byeong-Seon;Kim, Sang-H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7
    • /
    • pp.8-16
    • /
    • 2007
  •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는 개인화 된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통신 분야에서도 융합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통신 서비스와 IT 응용과의 융합을 위한 준비가 Telecom 2.0 이라는 패러다임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Telecom 2.0을 향한 차세대 통신 서비스 융합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및 개인화 서비스 플랫폼 기술 동향에 대하여 살펴 본다.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 구성과 전력선 통신의 역할

  • Yun, Seong-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1
    • /
    • pp.95-101
    • /
    • 2014
  • 정보통신기술과 전력에너지기술의 융합 기술인 스마트그리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는 전력 계통 시스템이 송전, 배전, 소비자로 구분되는 것에 맞춰 세 가지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이 세 부분에서 사용될 스마트그리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해당 분야가 요구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과 후보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추가적으로 전력선 통신이 스마트그리드 통신 네트워크에 활용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nalysis Process for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 연구)

  • Ryou, Jeo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84-108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방송과 통신이 기술적으로 융합화되어 가고 있고, 방송통신위원회를 기반으로 각종 방송 통신 정책 및 제도들이 개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융합 환경의 핵심적인 특징은 네트워크가 현재보다 더 광범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융합에 따른 불확실성, 즉 융합에 따른 취약성을 제거하지 않고서는 서비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 통신 융합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과 통신의 융합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 분석 프로세스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방송과 통신의 기반시스템이 융합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취약성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BcN에서의 IPTV 및 DMB 서비스

  • 차지훈;정예선;김규헌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2 no.4
    • /
    • pp.75-87
    • /
    • 2005
  • 21세기를 맞이하여 서비스, 단말 및 매체의 "개인화," "이동화" 및 "융합화"의 경향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류의 최전선에 통방융합이 자리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가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이종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을 시도하게 만들었다. 지금까지 수년에 걸쳐 통신과 방송분야에서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이 시도되어 왔으나 실제 사용자 측면에서의 가시적인 결실은 미미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IPTV(Internet Protocol TV)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등장함에 따라 생활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서비스가 되었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바탕으로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에서의 IPTV 및 DMB 서비스에 대한 기술과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과 정보보호

  • Jeon, Yong-Hee
    • Review of KIISC
    • /
    • v.19 no.4
    • /
    • pp.65-71
    • /
    • 2009
  •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지가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에너지 생산과 소비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지능형 전력망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 기술의 세계 선도국가로 지정되어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으로 있다. 그러나 전력망이 통신망에 융합되면서 정보통신 인프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보안 문제가 전력망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고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기술이 개발단계 초기부터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국가적인 주요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정보보호 기술의 필요성과 요구사항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