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제공 능력

검색결과 1,539건 처리시간 0.028초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in Older Adults)

  • 이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48-556
    • /
    • 2016
  • 노년기의 인지-언어적 변화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 아니라 신경학적 질환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관적 및 객관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인지-언어 능력의 예측 변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63명과 이들의 정보제공자 63명을 대상으로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주관적 평가(ISCOLE)와 객관적 평가(CAPTBI)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 및 정보제공자 집단 간에 주관적 평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 집단은 8개, 정보제공자 집단은 15개 영역에서 주-객관적 평가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력 등은 정보제공자 보고형의 언어능력이, 그리고 집행기능과 언어능력은 정보제공자 보고형의 기억력이 주요 예측 변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에 있어 노인 및 정보제공자 집단이 하위 영역별로 차이를 보이며, 정보제공자 집단의 주관적 평가가 더 많은 영역에서 객관적 평가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인지-언어 능력의 평가 및 예방적 중재 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PREP-based Mobile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 이득예;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01-107
    • /
    • 20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의 현실에서 웹 기반의 프로그램 및 모바일은 중요한 매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읽기는 정보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능력이나 학습장애아의 대부분이 읽기능력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교육 특히 읽기 교육을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활용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첫째,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생과 상호협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대한 진전도를 점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적 수준에 따라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벗어남으로써 기존의 PR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사용자 프로파일 및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XML 문서 트랜스코딩 (XML Document Transcoding using User Profile and Annotation)

  • 정쌍용;손원성;이진상;임순범;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469-471
    • /
    • 2003
  • 트랜스코딩이란 기존 유선 환경에서 제공되는 웹 컨텐츠를 특정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항만을 변환 하거나 서비스 제공자가 일방적으로 변환하여 웹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슈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성이 저하되며, 사용자에게 무의미한 정보 제공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한 요구사항과 서비스 제공자의 의견을 함께 제공 할 수 있는 변환 기법을 제안 하고, 특히 멀티미디어 뉴스 제작을 위한 표준인 NewsML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한 요구 사항은 XML 문서의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추출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의견은 문서의 레이아웃(Layout) 정보를 가지고, 어노테이션(Annot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수동으로 추출한다. 그 결과, 사용자 관점에 부합하는 변환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이슈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증대 되었다

  • PDF

메타분석을 통한 주·객관적 인지-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 : 정상 노년층, MCI,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 이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14-7423
    • /
    • 2015
  •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호소는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의 진전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이다. 그러나, 인지-언어 능력의 주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연구마다 상이하다. 특히, 양자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26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상 노년층, MCI, 치매 집단의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자의 수는 26~657명이었다. 주관적 평가의 유형은 자기 보고형 75.4%, 정보제공자 보고형 24.6%였으며,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은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 등의 순으로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자기 보고형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은 치매 집단이 가장 높았고, 정보제공자 보고형은 세 집단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 객관적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는, 정상 노년층에서 자기 보고형과 추론력,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기억력 및 언어능력 간에 상관성이 높았다. MCI에서는 자기 보고형과 언어능력 등, 정보제공자 보고형과 전반적 인지능력 등의 영역 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치매 집단에서는 두 유형 모두 기억력, 언어능력, 전반적 인지능력을 잘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두 유형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이 이용자 정보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Information Competency by Library User Instruction in Universities)

  • 차종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48
    • /
    • 2001
  •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이용자 교육이 변화된 도서관 환경을 반영한 정보 기술 및 정보 활용 능력의 제고와 평생교육을 지향하는 정보소양 능력의 습득을 위한 과정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이 이용자들의 정보 활용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여 그 효과성과 관련성을 확인해봄으로써, 대학도서관에서의 이용자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이동 통신 사용자의 컨텐츠 교환을 위한 권한 관리 서비스 (Rights Management Service for Contents Transfer of Mobile Users)

  • 장경아;이병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C)
    • /
    • pp.373-3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의 한계적 계산 능력 및 무선 링크의 대역폭과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선택적 Proxy 서비스를 수용한 컨텐츠 교환 목적의 권한 관리 서비스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서비스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의 한계적 능력에 대해 해당 도메인의 Proxy와 공개키를 기반으로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종단 사용자는 해당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와의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전에 인터넷 기반 구조에 대한 컨텐츠 교환 서비스 요청에 한하여 Proxy의 부분적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허용하여 시스템의 대단위 계산 능력에 대한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 PDF

능력성숙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습능력 진단 시스템 (The Learning Ability Checking system based on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 방영일;구본경;허용도;김진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714-71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질문을 제시하고 질문의 응답여부에 따라 자신의 학습 능력을 평가받고 향후 자신의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학습능력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능력성숙 모델(CMM)을 기반으로 질문 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전단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직업에 따라 별도의 질문 리스트를 준비하였고 질문 리스트와 메시지 및 가산점을 조정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국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동향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모델의 설정 (Modeling of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Analysis of Trends of American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노진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3-395
    • /
    • 2001
  • 본 연구는 이용자가 선호하는 인터넷 정보환경에서 생존하고 타당성 있는 조직으로 존재하기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을 효과적인 수행하기 위한 정보서비스의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66개의 미국의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하이브리드 정보서비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첫째, 도서관 웹 포털의 구축이다 이것은 전자적 자원의 발굴과 제공, 연구의 지원, 도서관 연구의 지원 수업의 지원 등을 포함한다 둘째, 하이브리드 기능의 길 프론트 엔드의 제공이다. 셋째, 정보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원이다. 이를 위해 정보의 탐색, 조직, 평가 능력의 함양과 정보기술의 지원 및 도서관 이용 교육의 확산(계층별, 주제별, 상호작용적)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공유의 확대이다. 자원공유의 확대를 위해서는 지역 네트워크를 통한 자원의 공유 도모, 도서관 상호대타의 활성화, 저작권 관련 정의의 제공 접근성의 향상(캠퍼스 밖에서의 도서관 정보자원에 대한 원격접근의 제공, 정보서비스를 위한 각종 양식의 온라인 제공과 접수) 도서관 정보의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컨텍스트 인식 처리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구조 (An Intelligent Agent to process Context-Awareness on Ubiquitous Computing)

  • 양종원;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2호
    • /
    • pp.535-538
    • /
    • 2004
  •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은 인간이 생활하는 각종 기기들이 컴퓨팅 능력과 네크워킹 능력을 가지고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 또는 의도에 기반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컨텍스트-인식(Context-Awareness)이 필수적이나 이와 관련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된 여러 가지 상황정보를 체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최종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감정이나 의도를 분석하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에이전트 구조를 제안한다.

  • PDF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3-2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정보 활용능력을 통해 생활만족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 중에서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에서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정보 이용능력이 정보 기술능력보다 생활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 제공능력과 정보 비판능력은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정보 이용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보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