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접근성

검색결과 5,976건 처리시간 0.035초

콘텐츠 개발자와 설계자를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se of Univers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ontents Developers and Designers)

  • 안미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1호
    • /
    • pp.33-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활용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웹은 연령과 장애에 구애 없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듯이 이러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또한 사용자 모두에게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의 빠른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6개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장애별 사용자의 분석결과와 전문가의 접근성에 대한 설문결과로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별하였다. 국내 Flash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이 특히 시각장애인과 신체 장애인에게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계자와 개발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분된 활용이 가능하며, 접근성의 정착화를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질 관리에 포함, 매뉴얼 개발과 연수, 그리고 기존의 Flash 콘텐츠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보시스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개념적 틀

  • 한영춘;임성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67-300
    • /
    • 1996
  •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증대되고 그 전략적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효과성 평가문제는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가 되었다. 정보시스템의 효과성은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어 단일의 기준으로는 평가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기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적 틀을 구축하였다. 조직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효과성 평가의 세가지 접근방법인 자원획득 접근법, 내부과정 접근법, 목표달성 접근법을 정보시스템의 기능인 정보기술의 가치부가 활동에 적용하여 정보기술의 획득, 정보기술의 전환, 정보기술의 활용이라는 세가지 평가영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평가기준의 완전성 정도에 따라 각 영역별 세부 평가기준과 대표적인 측정치를 제시하였다.

  • PDF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Improved Evaluation Tool for Web Accessibility)

  • 문경실;최정연;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375-378
    • /
    • 2008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평가를 위하여 웹 접근성 표준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120여개의 자동화 평가 도구들이 존재한다. 국외 평가도구는 WCAG 1.0과 미국 재활법 508조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Prompt, Bobby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KWCAG 1.0에 기반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제작한 KADO-WAH가 유일한 자동화 웹접근성 평가도구이다. KADO-WAH는 국외 평가도구와 비교하여 상세한 검사를 진행하지 않으며 자동화 평가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상당부분 전문가 평가를 필요로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외 자동화 평가도구와 비교 분석을 통해 KADO-WAH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구현한다.

  • PDF

학술정보 사이트의 웹 접근성 개선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NDSL) 중심으로 (A Study on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KISTI's NDSL)

  • 박동훈;현미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1-553
    • /
    • 2010
  • 2009년 4월부터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공공기관의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성 개선이 이슈화 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이하 NDSL) 서비스 역시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NDSL의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하여 접근성 준수 여부 평가 및 검색 서비스를 중요 서비스로 제공하는 NDSL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계층과 환경의 사용자들의 사용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지침별 비교 분석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Homepage Based on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지능정보 및 응용 학술대회
    • /
    • pp.105-108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 공공기관,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표준 지침에 패하여 알아보고, 표준 지침별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웹 접근성 인증 기준에 의한 중요도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지침별 준수율을 비교 분석한다.

  • PDF

정보시스템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nformation System)

  • 김기윤;양동구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7-354
    • /
    • 2003
  • 현업무연속성 관점에서 IDEF 접근방법에 의해서 주요 업무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관련 정보자산을 Skandia 모형으로 식별 한 후에, OCTAVE 접근방법에 의해서 위협을 단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Nessus Version 1.4.2 를 이용하여 도서관 정보시스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인 서버에 대해서 취약성을 평가했다. 기존 OCTAVE 접근방법에 IDEF 접근방법과 Skandia 모형을 동시에 이용하는 수정된 OCTAVE 접근방법을 이용한 취약성 평가 사례를 제시했다.

  • PDF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An investigation to E-Learning accessibility)

  • 안미리;김성남;황윤자;부향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69-270
    • /
    • 2009
  • 이러닝 학습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많은 대상들에게 눈부실만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의 특성을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 등의 소외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하여, 그동안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도 소외된 대상들을 고려한 접근성 관련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자성만이 아니라 그 이유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기업 CEO의 인식을 조사하여 웹 접근성과 관련한 제도적인 여건 속에서도 학습 환경에서는 여전히 접근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하여 현업에 종사하는 운영자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교수 설계을 위한 이러닝의 접근성 관련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러닝 접근성에 대한 CEO의 인식은 매우 저조하며,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닝 기업 CEO의 낮은 인식은 곧 개발자와 교수설계자들에게 접근성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현재 제공되는 이러닝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연구와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보편적 학습설계와 접근성에 대한 교육과 확산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위한 타일 단위의 접근 제어 기법 (A Tile-based Access Control Method for the Security of Spatial Database)

  • 강동재;오영환;김재홍;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18-20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 고의적인 파괴 혹은 우발적인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정책의 수용이 필요하다. 보안등급의 적용 단위는 필드, 객체, 레이어 단위의 방법이 있으며, 객체 단위의 보안등급 적용은 인접한 객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 유출의 문제점이 있고, 레이어 단위 보안등급의 적용은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일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타일 단위 접근제어 기법은 보안등급 적용 단위를 타일(Tile)로 하며 레이어, 지도의 보안등급은 하위 수준인 타일과 레이어에 부여된 보안등급의 최하위 등급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안한 기법의 구현을 위해 타일의 구조와 스키마를 정의하고, 보안 유지를 위한 연산 제약사항을 기술한다. 연산 제약 사항은 기본적으로 BLP의 속성을 따르고, 상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방지와 하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허용을 위해서 BLP 속성을 확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레이어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인접한 객체 사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 PDF

웹 접근성 지침을 통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45-448
    • /
    • 2008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윈도우즈의 환경에서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장애자나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관련기관인 대도시 교육청 홈페이지와 부산시 교육청 산하 교육구청의 홈페이지, 그리고 부산시내의 여러 고등학교 홈페이지에 대하여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학부모나 교육 관련 이해 당사자 누구라도 쉽게 교육용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접근성 사례 조사 (Case Studies of RIA Function Accessibility)

  • 최성은;김석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3-256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접근성 있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을 때 우리나라에서 입수 가능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이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기능을 충분히 지원하는가를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미국 Freedom Scientific사의 JAWS for Windows 10.0 한글판이 실험에 사용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기능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국산 화면 낭독 프로그램은 개발 환경에 따라 접근성 지원 기능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