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의 철학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분석)

  • Lee, Eun-Hyeong;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61-1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고, 그렇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의 도입 필요성에는 크게 공감하며 긍정적인 인식 가지고 있으나, 본래 스마트교육의 개념 및 목표, 방법과는 다른 형태로 오개념을 형성하면서, 시범적용을 거친 스마트교육의 전면시행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성된 이유는 정책하달식 교육체계, 실제적용의 부작용, 신 도입교육의 전례, 교육철학의 부족, 잘못된 연수방향 등으로 해석된다. 전면시행될 스마트교육의 본래 목표 달성을 위해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보다 소프트웨어적인 투자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교육참여자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는 정책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the K-CE System to improv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제품개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동시공학시스템 K-CE 개발)

  • Lee, C.H.;Park, T.H.;Kim, M.H.;Chon, C.H.;Sub, H.W.;Kwon, C.W.;Lee, S.H.;kim, Y.H.
    • IE interfaces
    • /
    • v.8 no.3
    • /
    • pp.25-37
    • /
    • 1995
  • 동시공학으로의 제품개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서는 기업의 제품개발 조직 운영을 동시공학적 철학에 따라 개선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환경을 구축하는 두 가지 측면으로의 상호보완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한국적 기업환경에 적합한 동시공학시스템 K-CE시스템은 동시공학환경의 구현을 위해 핵심적인 제품정보 및 프로세스정보 관리, 워를로우 관리, 가상팀 지원의 동시공학 기반시스템 K-CE BASE와 프로세스의 병렬화 진행을 위한 프로세스 계획관리의 K-PMS, 네트윅을 통한 여러 부문 관계자의 설계 평가를 지원하는 제품개발 평가지원의 K-DESS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제품개발 환경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프로세스 간 지연요소를 제품개발 환경에서 설계변경의 최소화를 추구, 궁극적으로는 제품개발기간 단축과 원가 절가, 품질 향상의 동시공학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 PDF

Secure Queury Management for Object-Oriented Database Systems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체계의 보안성 질의 관리)

  • 최용구;문송천
    • Review of KIISC
    • /
    • v.6 no.1
    • /
    • pp.45-56
    • /
    • 1996
  • 본 논문의 목적은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object-oriented database : OODB)의 보안성 확보를 위하여 OODB에 관련된 보안 모델과, 질의 처리시에 보안성 확보를 위한 참조제약 규칙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철학은 데이타베이스 모델의 제약사항을 최소화여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고, 이들의 보안성 보장은 질의 처리시에 담당하게 함으로서 풍부한 데이타 객체 모델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관적인 보안성 확보를 통하여 융통성 있는 질의처리를 도모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실세계의 모든 개체의 특징과 행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추상화 단위로 정의되는 객체를 기밀성에 따라 비밀등급으로 보안 분류하여 보관된 다단계 보안 객체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대부분 기존의 보안성 연구의 대상은 수동적인 데이타(passive data)이라면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는 능동적인 객체(active object)가 보안성 연구의 대상이 된다.

  • PDF

A Survey on Consensus Algorithm of Blockchain: Focusing on PoW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 - 작업증명을 중심으로)

  • Lee, Myung-Suk;Kim, Kee-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67-57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신뢰를 기반으로하는 블록체인의 이론적 영향에 접근하기 위하여 작업증명(PoW)에 대한 합의 알고리즘을 면밀히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합의 알고리즘에 대한 파악, 작업증명의 허가 절차에 대한 구체적 조사, 신뢰를 쌓아가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향후에는 작업증명 외에도 대표적 합의 방식인 지분증명과 위임형지분증명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블록체인이 어떻게 시스템적으로 신뢰를 구축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사회철학적 접근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App Inventor to Develop Educational Apps (교육용 앱 개발을 위한 앱 인벤터 활용)

  • Youm, SungKwan;Shin, Kwa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576-577
    • /
    • 2021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learning and quiz app using the app inventor and conducted the related questionnaire. We developed a learning philosophy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developed apps and taught them how to utilize th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aining the apps and using the app inventor. Through questionnaires, we confirmed the learning effect and the willingness to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improve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and to utilize the cod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app developed as the app inventor.

  • PDF

Thought Experiments: on the Working Imagination and its Limitation (사고실험 - 상상의 작용과 한도에 대해)

  • Hwang, Hee-soo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6
    • /
    • pp.307-328
    • /
    • 2018
  • The use of thought experiments has a long history in many disciplines including science.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ought experiments have frequently appeared in the pre-existing literature on the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 thought experiment refers to a synthetic environment where the designer of the experiment-with his or her intuition and imagination-tests common-sense knowledge.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ual tool fo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common understanding of an issue or a phenomenon. However, we are not certain about the usefulness or efficacy of a thought experiment in knowledge production. The design of a thought experiment is meant to lure readers into believing as intended by the experiment itself. Thus,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a thought experiment, many readers who encounter the experiment could feel deceiv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logic of thought experiments and to seek the source of uneasiness the readers and critics may feel about thought experiments, I draw lessons from three renowned thought-experiments: Thomson's 'ailing violinist', Putnam's 'brain in a vat', and Searle's 'Chinese room'. Imaginative thought experiments are usually constructed around a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knowledge/information at hand. From the three experiments, several lessons can be learned. First,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a gap provided via thought experiments can serve as arguments for counterfactual situations. At the same time, the credibility and efficacy of the thought experiments can be damaged as soon as the thought-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inappropriate and/or murky directions regarding the procedures of the experiment or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ccording to D. R. Hofstadter and D. C. Dennett(1981), the 'knob setting' in a thought experiment can be altered in the middle of a simulation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n the implications of the thought experiment change altogether, indicating that an entirely different conclusion can be deduced from thought experiment. Lastly, some pre-suppositions and bias of the experiment designers play a considerable role in the validity and the chances of success of a thought experiment; thus, it is recommended that the experiment-designers refrain from exercising too much of their imagination in order to avoid contaminating the design of the experiment and/or wrongly accepting preconceived/misguided conclusions.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의 질적 연구방법 교육내용 개발)

  • Kim, Kapse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3
    • /
    • pp.255-2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ach to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QR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draw trend of TQRM, 76 course syllabi collected in the research oriented universities'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proposes both common topics and essential strategies for TQRM in terms of the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wide range of approaches to QR, diversity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writing, and evaluation criteri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qualitative stance and to understand paradigms and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QR for conducting QR reiteratively, creatively, reflectively.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roducts of Each Other Between Korea and Japan - With an Emphasis on the Cultural Fields - (한.일간 지식정보의 생산과 흐름분석 - 문화분야를 중심으로 -)

  • 박정길;김용원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139-166
    • /
    • 2002
  • 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all the publications as well as the flo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Korea-Japan relationship during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For the purpose of the systematic study, the subject area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parts, 1) Civilization at large, 2) Philosophy, 3) Religion 4) Arts, 5) Language, and 6) Literature. As the result of the study, a union catalog for monographic publications from both countries has been produces. The union catalog has produced that more publications have bean issued in Japan than in Korea in every part of the subject. During the part 15 years, however, Korea has produced over 106 publications more than Japan.

  • PDF

3D Interactive Virtual Space System based on VRML and EAI (VRML과 EAI를 이용한 3D 상호작용 가상공간시스템)

  • 염창근;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9-15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상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표준 사양인 VRML과 자바의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들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한 방법에서는 별도의 독립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동기화를 위하여 확장된 VRML을 사용할 필요없이 웹브라우저와 바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대한 웹문서와 연계가 쉬우므로 범용적인 자료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최근의 VRML97에서조차도 VRML이 제시하는 가상공간 다중 사용자 환경의 지원은 아직 미비하다. 더 이상 단순히 3차원 월드를 탐험하는 시기는 지났으며, 같은 공간상에서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하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바의 네트웍 기능과 가상공간의 외부에서 동적으로 월드를 제어할 수 있는 EAI를 이용하여 부족했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가상 공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는 단지 동일 브라우저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는 이벤트를 원격지의 이벤트와 연동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자 상호작용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이벤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바타의 행동양식(avatar's behavior)이라 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들이다. 즉, 아바타의 행위에 따라서 사용자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이들 이벤트를 서로 동기화 함으로써 실시간 3차원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가상 쇼핑몰, 가상 전시화, 또는 3차원 게임이나 가상교육 시스템과 같은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물을 보존·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서관의 기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정보화의 센터로서의 도서관과 공공기록물 전문 담당자로서의 대학아카이브즈가 함께 하여 대학의 공식적인 직무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그럼으로써 양 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

  • PDF

The effects of Korean logical ending connective affix on text comprehension and recall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 Nam, Ki-Chun;Kim, Hyun-Jeong;Park, Chang-Su;Whang, Yu-Mi;Kim, Young-Tae;Sim, Hyu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51-258
    • /
    • 2004
  • 본 연구는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결어미의 효과와 글읽기 능력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결어미로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었다. 앞뒤에 제시되는 두 문장의 국소적 응집성(Local coherence)을 형성하는데 연결어미가 도움을 준다면, 연결어미가 있는 경우에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글 내용을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만일에 글읽기 능력이 연결어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면, 연결어미의 출현 여부와 읽기 능력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 읽기 시간에 연결어미의 출현이 미치는 효과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인과 관계 연결어미는 뒤의 문장을 읽는데 촉진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런 연결어미의 효과는 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결어미의 출현은 문장의 회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연결어미가 문장 회상에 미치는 효과는 읽기 능력의 상하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문장 읽기 시간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부가 관계 연결어미 역시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유사한 형태의 효과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인과 관계와 부가 관계 연결어미가 앞뒤 문장의 응집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런 연결어미의 글읽기에 대한 효과는 글읽기 능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