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의 철학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이용하여 대전국립중앙과학관 천문영역전시의 과학철학적 분석

  • Kim, Jeong-Yeop;O, Jun-Yeong;Kim, Cheon-Hw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9.2-79.2
    • /
    • 2011
  • 대전국립중앙과학관의 천문영역 전시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기초로 한 과학철학 측면에서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관은 비형식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 과학관의 전시물들은 관람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관람자들은 전시물들을 통하여 지식을 탐구한다. 그러므로 교육적 상호작용을 뒷받침하는 이론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Booth et al(2008)이 주장한 논증모형은 관람객의 심리적인 진행과정을 고려한 과학철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관 전시에 Booth et al(2008)의 논증이 적용된다면, 관람객들은 전시물들이 의도한 지식을 스스로 탐구 할 수 있다. 김정엽(2011)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이용하여 과학관 천문영역 전시형태를 재구성하였고, 대학생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와 SPSS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재구성한 전시형태가 정보전달과 지식 탐구 관점에서 기존보다 더 설득력 있음을 보인 바 있다. 최근 대전국립중앙과학관은 천문영역 전시를 개선하였다. 그러므로 개선된 전시가 Booth et al(2008)의 논증을 기반으로 한 기준에 적합한지를 재분석할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거시적인 전시형태는 이전에 비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시적인 전시내용은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자세한 분석 내용과 결과를 논의한다.

  • PDF

Self-Consciousness Information of Branching Minds (갈라진 두 마음의 자기의식 정보)

  • Kim, Myeong-Seo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2
    • /
    • pp.27-50
    • /
    • 2017
  • When we lose our memories or when our self-identity becomes blurred, we may feel as if our mind has split into multiple minds. If someone makes another 'me' by copying my body and mind, how should two conscious 'I's change their credences? In this article, we present a new thought experiment that can be called the 'Two Adams Problem'. This thought experiment represents a piece of philosophical inquiry that speculates on the nature of self-consciousness information that 'I am awake now'. On Sunday evening, as soon as Adam falls asleep, the philosopher Roro makes another Adam by copying Adam's original body and mind. They sleep separately in another room. Within a minute, Roro throws a fair coin. If the coin lands heads up Roro wakes just one of the Adams up on Monday. If the coin lands tails up Roro wakes both Adams up. On Monday, at least one of the Adams will wake up. To what degree ought they believe that the outcome of the coin toss is heads? We will argue that the correct answer to this question is 1/2.

Matter and Becoming in Gilbert Simondon's Theory of Individuation (물질과 생성: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론을 중심으로)

  • Kim, Jaehe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93
    • /
    • pp.231-260
    • /
    • 2011
  • Simondon's theory of individuation and methodology of transduction presents a possibility of contemporary natural philosophy and a new perspective about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sciences. According to Simondon's anti-substantial viewpoint, being, as a metastable system charged with potential energy, complicates itself with quantum leaps transversing successive equilibriums. Individuation is the becoming of phases of being which transits from preindividual state to individuated states. Physical individuation as a paradigmatic model of individuation in general demonstrates not only insufficiency of form-oriented hylomorphism, but also spontaneous formational capacity of matter and reality of energetic relational operation immanent in matter. Genesis of a individual (structure or form) occurs as a resolution of the disparation between orders of magnitude, that is, the difference of potentials immanent in nature through the internal resonance, communication by information, transductive relation between the opposites. I'm trying to show that Simondon revives 'physis' of ancient natural philosophy by his own transductive applications of contemporary physics' conceptions, and therefore suggest a new non-reductive materialism. Especially Simondon's 'transduction' which is neither induction, deduction, nor dialectic, but an original ontological process and a peculiar method of thinking, I think, is worthy of note in order to construct network of knowledge and inter-relation between various sciences.

Connectionism and Atomism (연결주의와 원자주의)

  • So, Hung-Y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615-627
    • /
    • 1992
  • 연결주의적 선회'(the connectionistic turn)를 말할 만큼 학문적 방법론과 이론적 관점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연결주의를 철학에서의 원자주의와 대비시켜서 고찰한다. 특히 원인론, 실재론 및 의미론의 문제에 관하여 연결주의적 관점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검토해 본다.

  • PDF

Suggestions for Software Education Viewed from Joh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존 듀이의 교육철학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

  • Cho, Yunroc;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21-122
    • /
    • 2017
  • 소프트웨어는 일상의 삶을 더 편리하게 해 주는 도구 이상으로 우리의 생활 깊숙이 침투하였으며, 소프트웨어로 인해 산업의 구조가 바뀌고 세상이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제작하는 교육이 실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라는 것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아동의 경험과 연결시켜 소프트웨어 교육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존 듀이는 일상적인 삶의 경험 영역 내에 들어 있던 것들로부터 교육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하였고, 이는 아동의 입장을 신중히 고려한 방식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교육 또한 아동의 일상경험에서 출발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존 듀이의 철학적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A Meta-Analysis of Cyberethics Research and Critical Evaluation from a Perspective of Information Human Rights (사이버윤리 연구동향 분석과 정보인권 측면에서의 평가)

  • MYUNG, JAEJIN;LEE, HAN TA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1
    • /
    • pp.3-21
    • /
    • 2013
  • This study reviewed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the cyberethic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most active and vibrant field of cyberethics is Pedagogy, followed by Law, communication, philosophy, social welfare science, sociology,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sychology. In the field of cyberethics every major has different research themes. The research trend of cyberethics does not reflect distinctiveness of cyberspace, remaining in previous ethical philosophy. Further, it just establishes abstract morality. In the overall research of cyberethics lacks recognition of information human rights, therefore, it shows little tendency to living ethics. Moral recognition based on information human rights should be emphasized, and multi-disciplinary study is requested for future studies.

  • PDF

출판의 '걸어온 길' 보여주는 도서목록들

  • Park, Cheon-H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2
    • /
    • pp.8-9
    • /
    • 1997
  • 출판사 도서목록은 각 출판사의 출판철학, 앞으로의 출판방향까지 가늠할 수 있는 근거 자료이기도 하다. 우리의 지적 재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철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더욱 시급한 시점이다.

  • PDF

업체탐방- 와이즈디베이스

  • Park, Min-Sik
    • Digital Contents
    • /
    • no.4 s.71
    • /
    • pp.50-51
    • /
    • 1999
  • "우리는 국가적 Think Tank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창립당시부터 최고의 정보만을 고집하고 있는 와이즈디베이스의 이념이다. 전세계의 주요 정치, 경제, 사회적 이슈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와이즈디베이스를 찾아가 그들만의 사업 철학을 들어봤다.

  • PDF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과과정 개편안에 대한 소개

  • Park, Seong-U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8 no.4
    • /
    • pp.45-48
    • /
    • 2010
  • 본 가고문은 2008년 개편한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부 교과과정을 소개한다. 교과과정 개편의 배경과 방향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교과과정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교과과정 설계의 철학음 전달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편한 교과과정의 주요 과목을 소개하고 교과과정 개편의 의의를 정리한다.

A Study for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era of AI (인공지능시대의 교육철학 소고)

  • Kwak, Tae Jin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40 no.2
    • /
    • pp.1-16
    • /
    • 2019
  • The society of intelligence-information complex is a fresh world that connects things, knowledge and calculation with human. What is the condi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this world? Robinson and Aronica(2015) suggest educational reform at the center of organic agriculture, in which they focus on the dignity of human as an organic being. Human consists in an intelligence and a life. We have to ask to ourselves what is the human in this Age. The development of AI represented by deep-learning will be an actual condition in the educational reform. I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with a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 rises a question about a life itself. So, we have to ask the question seriously that overlap what is the human and what is a life. Two questions about human and a life cast a philosophical paradox in the age of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