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a-Analysis of Cyberethics Research and Critical Evaluation from a Perspective of Information Human Rights

사이버윤리 연구동향 분석과 정보인권 측면에서의 평가

  • 명재진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이한태 (충남대학교 법과대학)
  • Received : 2013.03.04
  • Accepted : 2013.03.22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the cyberethic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most active and vibrant field of cyberethics is Pedagogy, followed by Law, communication, philosophy, social welfare science, sociology,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sychology. In the field of cyberethics every major has different research themes. The research trend of cyberethics does not reflect distinctiveness of cyberspace, remaining in previous ethical philosophy. Further, it just establishes abstract morality. In the overall research of cyberethics lacks recognition of information human rights, therefore, it shows little tendency to living ethics. Moral recognition based on information human rights should be emphasized, and multi-disciplinary study is requested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사이버윤리와 관련된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다. 가장 연구가 활발한 연구 분야는 교육학분야로 나타났고, 그 외의 분야로는 법학, 신문방송학, 철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행정학, 경영학, 심리학 순이었다. 사이버 윤리는 각 전공분야별로 중점적인 연구 영역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이버연구 분석결과 사이버 공간의 특수성을 반영한 윤리이론 개발이 미흡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존의 윤리 철학적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사이버윤리에 대한 연구의 경향이 추상적인 도덕규범 정립에 그치는 것도 문제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새롭게 등장하는 정보인권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하여 실천적 생활윤리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 사이버 공간의 정보인권적 윤리의식이 제고되어야 하고, 학제간의 융합적인 연구의 필요성도 요청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