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서비스 기능

Search Result 4,81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System Architecture for Considering Non-Functional Properties in Web Service (웹서비스에서 비 기능적 요소를 고려한 시스템 아키텍쳐에 관한 연구)

  • Kim, Chul-Ung;Song, Yo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01-404
    • /
    • 2005
  • 현재 웹상에는 수많은 서비스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서비스들은 WSDL, SOAP, UDDI을 기본구조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하게 증가하는 서비스제공자들과 서비스 요청자 사이에서의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DDI는 자신의 Repository에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용이하게 서비스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UDDI에는 비즈니스에 대한 기능적인 명세만 있을 뿐 비 기능적 특성에 대한 명세는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비 기능적인 부분, 즉 웹 서비스 성능에 대한 보장을 하였고, 이러한 비 기능적 정보를 Local Database에 서비스 성능평가 기준에 따라 Sort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저장한다. 사용자는 다중질의를 통해 기능적, 비 기능적 질의를 동시에 하게 되고, 비 기능적인 면의 서비스 성능에 따라 Sorting된 서비스 중 최적의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 PDF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

  • 김영진;오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8-200
    • /
    • 2022
  • 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항로표지 정보교환과 해양자원의 디지털화를 위해 국제표준을 개발한 바 있으며, 해양정보의 공유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양서비스 표준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미래 해상교통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고도화 및 정보협력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 중이며,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 실증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는 항로표지 기본 정적정보 관리, 항로표지 상태와 영상, 해양기상에 동적(실시간)정보관리, 항로표지 신서비스 운영 및 제공이라는 핵심 기능을 가지며, 향후 항로표지 및 연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항로표지 관리지원, 정보공유 및 신서비스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핵심 기능과 추진 계획을 기술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진행과 함께 항로표지 관리 운영 및 서비스 이용자 그룹과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ed Pedestrian Path Information Service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연구)

  • Kim, Jae-Kwon;Bae, Eun-Shil;Byun, Woo-Sub;Park, Sang-B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9
    • /
    • 2005
  • 무선통신 기술과 정보 기술을 이용해서 사용자 무선 단말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차량 운전자, 탑승자 및 보행자 등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의 발전으로 인해 광대역 통신의 대용량 텔레매틱스 서비스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에서 대중교통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보행자 위주의 길안내 서비스에 대해 논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위한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서비스 기능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보행자의 도보 및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안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는 보행자 도보 길안내 기능, 출발지와 목적지 기반의 One-Stop 대중교통 안내 기능, 대중교통 정보 제공 기능, 경로 예약 기능, 개인화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기능의 정의 및 구성 요건들을 제안한다.

  • PDF

Ubiquitous Environment suitable for Suggestions and Design a Community Service System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안과 설계)

  • Seok-Hee Lee;Kyung-Bock Yun;Kyoung-Young Choi;Soeng-Ryeo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737-739
    • /
    • 2008
  • 제안된 시스템은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요구되는 기반시스템으로써 가전 및 응용프로그램 제어, 그리고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확립 기능을 포함하고 사용자 요구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기존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지 않던 커뮤니티의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에서의 네트워크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 계층별 관리 및 서비스 기능을 포함한 프로그램 원격지 및 제어, 설치 및 운용을 할 수 있으며 분산처리를 위한 목적의 자원 모니터링 및 제공 서비스까지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이동 에이전트와 지능형 관리 에이전트 개념을 도입하여 계층의 관리와 서비스 및 서비스 제어에 대한 기능을 위임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원격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CS-2 AIN SSP based on TDX-10A (TDX-10A 기반의 CS-2 AIN SSP 기능 구현)

  • Kim Hyun-Sook;Chang Su-Mi;Yang Hyung-Yeol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233-237
    • /
    • 2002
  • 차세대 지능망은 지능망서비스교환기(SSP:Service Switching Point), 지능망서비스제어 시스템(SCP:Service Control Point),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IP:Intelligent Peripheral)간의 시스템 연동으로 구성되며, 각 망 요소들은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 기능들을 지원한다, 현재 KT는 ITU-TCS(Capability Set)-1 기반의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다양한 종류 즉, 회의통화 서비스나 선불카드 서비스에서 다자간의 호연결 기능 등이 요구될 때 그 한계점을 갖는다. CS-2 기반의 지능망으로 발전하면서 SSP는 CPH(Call Party Handling) 기능이 추가된다. CPH는 하나의 호에 대해 다자간 호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런 CPH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CS-2 기반으로 발전된 차세대 지능망은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CS-2 기반의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의 기능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식화 하였다. 또한 회의통화서비스를 분석된 지능망 기능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Dictionary Based Hyper e-Mail Document Generator (사전 기반의 하이퍼 e-Mail 문서 생성기)

  • 최지연;민수홍;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20-723
    • /
    • 2003
  • E-Mai1 서비스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WWW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현 e-mai1 서비스는 텍스트 기반 구조를 통한 비동기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 동기적인 표현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순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로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서비스를 받는 형태의 e-mai1 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사전을 기반으로 HTML 문서가 재생산되어, 색 지정 기능과 하이퍼 텍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사전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에 대한 정보가 tooltip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전기반 하이퍼 문서 생성기능을 지원하도록 한다

  • PDF

Definition of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s and Management Functions for Global Roaming (글로벌 로밍을 위한 위치 정보 관리 서비스와 관리 기능 정의)

  • 김보기;민병준;박철희;이승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82-284
    • /
    • 1998
  • 차세대 무선 이동통신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의 고유 서비스들 중 하나인 글러벌 로밍 서비스는 전 세계의 단일 표준안에 따라서 서로다른 IMT-2000훼밀리 멤버들 간에 로밍을 가능하게 한다는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로밍의 네트워크 측면의 기능들 중에서 이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위치 정보관리 서비스와 위치 정보 관리 기능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용화를 앞에 두고 있는 IMT-2000 망의 운용자가 효율적인 글로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게 하는 망 관리 수단의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Process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oduct Extracted from Web Using The Functional Hierarchy of Goods (상품의 기능 계층 구성도를 이용한 웹상에서 추출한 상품 상세 정보 처리)

  • Lee, Keun-Yong;Park, Ki-Seon;Lee, Yong-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33-240
    • /
    • 2006
  •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구매자의 상품 구매를 돕는 방법으로 가격 비교 서비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격비교 서비스는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을 이피 결정했다고 가정하고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들의 가격과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자치 구매 결정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가격 비교 서비스는 구매자에게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수많은 상품 중 어떤 상품을 선택할 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을 결정하지 못했을 때, 상품의 선택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은 서로 다른 상품 모델에 대한 기능적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상품에 대한 기능의 차이점은 상품의 상세 정보를 통해서 파악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품의 상세 정보를 구매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은 상품을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각 상품의 상세 정보는 구매자에게 해당 상품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보기 쉽게 기술되어 있지만 다른 상품과는 기능을 설명하는 순서가 다르거나 사용한 용어 및 단위 표현에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상품들의 기능적인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별 상품에 대해서는 상품의 상세 정보가 보기 쉽게 기술되었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로부터 상품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상품을 구성하는 기능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품들의 기능과 기능에 대한 설명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service matching information for Web services Selection and process (매칭 정보를 이용한 웹 서비스 선정방법 및 선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Sim, Su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2
    • /
    • pp.353-359
    • /
    • 2013
  • The search method that web services offers has its limitations. The search service considers only functional factors based on the client's preferences. In order to improve the web service search - which alone only considers functional factors - our research introduces an execution phase which performs both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factors by utilizing WSDL and matching information. Our research studies the architecture of both the service selecting method and the selecting process to help determine the best service solution for the client. We do so,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lient's preferences. Our research also studies selecting methods for the best overall service. This service not only considers the matching of functional factors provided by the web service's selecting process, but it is also accommodating by matching the information as defined by the client. This paper research can offer the best quality service preferred by any end-user. Again, this is done by utilizing web services that considers the user's non-functional factors identified by the web service's selecting process and also by extracting matching information.

Study of the service patterns according to non-functional requirements (비기능 요구사항에 따른 서비스 패턴의 연구)

  • Jung, Hyun-Ho;Park, Ga-Young;Lee, Sa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110-113
    • /
    • 2011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는 기업 인프라의 복잡성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 하고, 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되어 차세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이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올바른 서비스 식별과 구성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요구사항 분석과정은 비즈니스 업무를 분석하는데 집중되어 있으며, 비기능 요구사항은 비가시적인(invisible) 특성으로 인해 쉽게 간과되어 설계에 반영되기 어렵다. 기존의 방법들은 이러한 비기능 요구사항을 객체수준에서 반영하기 때문에 서비스 조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구조에서는 비기능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서비스 패턴에 적용 가능한 비기능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에 필요한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식별된 비기능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 패턴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