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기술 수용 및 확산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n Acceptance Factor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ies according to Individual's Features (건설분야에서 개인 특성에 따른 Information Technology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Eun 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4
    • /
    • pp.171-181
    • /
    • 2013
  • In the recent information-oriented age,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ITs) have been introduced in construction industries. However, since construction ITs tend to be employed by the demand of the government or owners rather than the demand of information accepters (users), this tendency inhibits the spread of user-friendly construction ITs. In order to find these inhibitive factors, this research conducted practical studies, based on Dav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construction ITs' accepta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cepters' (users) features. This study was hypothesized whether or not each inner and outer factors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ITs are influential to the information accepters (us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imary factors which can maximize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were suggested.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RP System Innovation Acceptance Factors on the Innovation Diffusion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RP시스템의 혁신수용요인이 혁신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형(TAM)을 이용하여 -)

  • Shim Joung-Tak;Lee Sang-Ji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4
    • /
    • pp.65-77
    • /
    • 2005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s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ERP system in those companies which plan to introduce it or those which already introduced, but were not able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empirical study to find innovation acceptance factors effecting innovation diffusion of ERP system intensively and to search the best path of innovation diffusion. Thus, it was known that innovation characteristics factors, percie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and implementation of ERP system affected innovation diffusion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ath helping companies introduce information system successfully.

  • PDF

A study on the adoption-diffusion and use-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Focusing on the camera phone (디지털융합제품의 수용-확산 및 사용-확산에 관한 연구 :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 Yoo, Sang-Jin;Shon, Jung-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101-115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proces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ed on camera phon to compare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with use-diffusion model proposed by Shih and Venkatesh(2004). The results suggested that observability, perceived usefulness,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ha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the adoption-diffusion model.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e has been affected by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satisfaction,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in the use-diffusion mod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cases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use-diffusion model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model in analyzing the diffusion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actors Affecting the Resistance of Innovation Technology based Smartphone Environment (스마트폰 혁신기술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 Nam, Soo-Tai;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137-1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혁신기술 저항에 관한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변수는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그리고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복잡성을 4개 변수를 두고자 한다. 예측변수는 혁신저항 변수를 두고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여 개념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혁신저항 변수가 인지된 위험 요인을 매개하여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및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인구통계학인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로 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은 Smart PLS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xploration of Digital Textbook Adop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 Suh, S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2
    • /
    • pp.265-2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and validate a revis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was grounded i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he attribute factors proposed in the theory were used in the model. More specifically,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proposed as external factors and usefulness, easy of use, intention to use were proposed as internal factors in the proposed model. It was found that (a) observabilit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the main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teachers' intention to use digital textbook and (b) the revised TAM was validated.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Potential Users Adop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디지털 홈 서비스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O, Jae-In;Won, Jong-Jin;Lee,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203
    • /
    • 2005
  • 우리나라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정책에 힘입어 전국에 초고속정보통신 기간망이 구축되었고, 산업 및 공공영역에서의 정보인프라를 통한 정보화 확산은 가정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대표하는 정보화 서비스 중의 하나가 디지털 홈 서비스이다. 그러나 디지털 홈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기술적인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의 향후 디지털 홈 서비스 수응 등 전략적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홈 서비스 수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들을 고찰하고 디지털 홈 서비스의 잠재 사용자 수용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수용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디지털 홈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측면, 예컨대 효과적인 상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적절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for B2C e-Commerce in Developing Countries (개발도상국에서의 B2C 전자상거래의 정보기술 수용에 관한 연구)

  • Tumibay, Gilbert M.;Kim, Chong-Su;Oh, Hyun-Seung;Kim, Kye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2 no.4
    • /
    • pp.134-141
    • /
    • 2009
  •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온라인 구매와 같은 B2C 전자상거래의 확산은 선진국에 비해 느리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정보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TAM 기반의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그 가설들을 표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명성이나 경험과 같은 선행 요인들은 선진국의 경우와 다른 양태로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발도상국의 B2C 전자상거래 확산을 위한 학계의 연구 및 기업의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Review on the Research of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by SME (중소기업의 정보기술 수용연구에 대한 고찰)

  • Kim, Gil-Rae;Kim, Chung-Ye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421-435
    • /
    • 2004
  • This paper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TAM and DOT to multi-level adoption (first level and second level adoption) process occurring within a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paper identifies existing gaps in traditional innovation adoption models and concludes that a new framework is required. A new hybrid theoretical framework is developed which combines insights from organizational-level research on technology implementation with constructs from traditional innovation adoption models.

  • PDF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and usage of university portal websites (대학포탈 웹사이트 수용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4-315
    • /
    • 2004
  •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 하에서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을 확장한 것이다. 본래의 TAM 모델에서는 인지된 사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및 인지된 사용편이성(perceived usefulness)이 시스템 사용을 설명할 때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TAM 모델은 실제 시스템 사용의 약 $40\%$만 설명하고 있어 이 모델의 확장이 필요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TAM 모델에, Flow 이론에서 언급된 "인지된 즐거움 (perceived enjoyment)" 및 혁신확산이론(IDT)에서 언급된 "일치성(compatibility)"을 추가하여 TAM 모델을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대학포탈(university portals)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이 모델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IrDA and Bluetooth in Home Network (Home Network 에서 Bluetooth 와 IrDA 의 비교와 발전 방향 연구)

  • Koo, Fee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1185-1188
    • /
    • 2001
  • 인터넷 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기술의 발전, 그리고 여러 대의 PC 를 보유하는 가정의 확산 및 인터넷 정보가전 기기의 등장으로 인한 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네트워크의 디지털화와 광대역화로의 변혁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정보망의 디지털화는 초기 기간망(Backbone Network)으로부터 시작하여 지금은 액세스망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이제 흠 네트워크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 서비스 특성도 유선과 무선의 통합, 방송과 통신의 결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전개와 같은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하는 유무선 통합 구조로 발전되어 갈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이용 마인드 확산에 따라 댁내에서도 사무실과 동일한 통신서비스 이용 환경을 갖추고자 하는 것이 바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의 출발점이다. 지금은 유선 이 기술이 사업성이 있어 많이 보급되어 있지만 결국 무선과의 통합구조로 갈 것이므로 무선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지금 연구되고 있는 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인 Bluetooth 와 IrDA 를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의 홈 네트워크 기술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