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기술 성과평가

Search Result 78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사업 성과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IT-BSC 성과평가모델을 기반으로 -

  • Lee, Yeon-Hui;Lee, Jun-Yeop;Lee, Yun-Bae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745-754
    • /
    • 2008
  • 현대사회에서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사회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국민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정부의 노력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정부 11대 중점과제의 하나인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시스템 구축" 사업은 2002년부터 운영 중에 있으나, 정보연계사업 고유의 성과를 평가하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평가체제의 미비는 사업목표의 객관적인 달성정도를 파악할 수 없을뿐 아니라 향후 달성목표치 설정을 위한 기준선정이 불가능하며, 나아가 대국민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의 부재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시스템이 구축목표에 부합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가 필요하며, 그 필요성에 따라 IT조직 및 기술에 관한 성과평가기법인 IT-BSC 성과평가모델을 활용하여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시스템의 특성에 최적화된 성과평가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성과평가모델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시스템의 성과평가지표로 활용됨으로써 향후 운영방향설정 및 목표달성도 측정의 주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Quantitative Performance in National R&D Program (국가R&D사업의 효율적 예산조정 및 배분을 위한 정밀한 정량적 성과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AN, Jeong-Eun;Yoon, Jong-Min;Ko,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63-1666
    • /
    • 2012
  • 투자효율성을 중요시하는 R&D 패러다임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국가R&D사업의 예산조정 및 배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국가R&D사업 평가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2010년도를 기점으로 연구 성과의 양적 질적 우수성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신설 또는 강화하는 등 성과평가체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제정된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고 있는 국가R&D사업 자체평가 평가지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평가지표 중 4-1(계획된 성과의 양적 달성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평가기법 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 보완을 통해 보다 정밀하고 합리적인 정량적 성과평가방안을 제시한다.

How to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s of IT Outcome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A Perspective of Benefits Realization (공공부문 정보기술 성과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과실현 관점)

  • Kim, Choong-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2
    • /
    • pp.15-31
    • /
    • 2011
  • Information Technology represents substantial financial investment for government organiza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 real goal of IT investment, which is to make government more efficient, effective, and responsible through IT systems, has not been seriously aware of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As a result, despite of large investment in IT over many years, substantial benefits accrued to the work, such as process innovation and work efficiency, have not actually occurred.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since IT benefits will not be realized without any effective benefits realization efforts, it is needed in IT evaluation to put more emphasis on the effor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IT evaluation can possibly work as a guideline for deriving the desired benefits through the IT investment. In this study, some of the well known approaches were reviewed about what IT evaluation and IT benefits realization efforts should be. Current evaluation method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benefits realiza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is study leads to suggestions that improve the current ways of evaluating IT performance, helping government focus on realizing practical IT benefits at work.

A Suggestion for R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of ITA/EA in Public Sector (공공부문 정보기술아키텍처의 합리적 성과평가를 위한 제언)

  • Park, Il-Kyu;Ha, Byeong-Kook;Cha, In-Hwan;Choi, Jong-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15-20
    • /
    • 2007
  • 공공부문에서의 정보화 투자효과의 현실화, IT 중복투자의 사전방지, 개발된 여러 정보시스템 간의 원활한 연계와 상호운용성 확보 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ITA/EA 도입이 의무화됨에 따라 정보기술아키텍처에 대한 성과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미 양국 정부의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평가 현황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제도에 대하여, 합리적 성과평가 수행을 위한 여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echnology life-cycle using patent information (특허정보를 이용한 기술수명주기 평가에 관한 연구)

  • Yoo Sung-Hee;Jeong Hye-Soon;Kim Heon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6 no.3
    • /
    • pp.75-85
    • /
    • 2003
  • It is highly required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technology in many decision making of the technology management area, for example, technology acquisition, transfer, and investments. Also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R&D objectively is very important subject in the public side. So, developing the objective technology evaluation system has much usefulness in practice. In many studies, the patent information has been suggested to the valid measurement for evaluation of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patent information as a measurement of technology evaluation.

  • PDF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Project in Scientific Technology Field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사업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Kwak, Seung-Jin;Kim, Jeong-Taek;Park, Yong-J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4
    • /
    • pp.441-462
    • /
    • 2007
  • As country try expand R&D investment and enhance its efficiency to impro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research is needed to conduct qualitative enhancement and derive progressive future strategy in relation to the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project in scientific technology field. In this study, BSC-based performance indicators were applied to an institute that is the representative of domestic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tific technology to evaluate project performance, and then to analyze portfolio of using such evaluation results. As for the items of evaluation for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project in the scientific technology field, 12 items that includes information resource quality, information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and economically useful value of academic information from four(4) viewpoints such as informatio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 user and economic viewpoints. In the portfolio analysis, it was conducted by performance indicators and by elements of the individual performance indicators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portfolio analysis, the improvement method by viewpoints on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project of an institute was suggested.

  • PDF

제조시스템에서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방법론의 개발

  • Mun, Byeong-Geun;Jo, Gyu-Gap;Kim, Jun-Hyo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246-263
    • /
    • 2004
  • 신뢰성 있는 프로젝트 가치평가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계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통적으로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 품질, 재고, 리드타임 등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화폐가치로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재무적 성과지표와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모두 고려하는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평가방법의 개발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프로젝트 평가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불확실성을 확률분포로 고려하는 평가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과지표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투자에 의한 개별 성과지표의 개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에 관한 기존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제조시스템에서의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공리적 설계에서의 정보공리의 정보량 개념을 이용한 프로젝트 평가방법론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성과지표의 정보량 계산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 고찰하고, 해석적 분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적용에 대해 서술한다.

  • PDF

A Study on the research outcome measurement and application using the patent citation information (특허 인용 정보를 이용한 성과평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

  • Seo, Jin-Ny;Kwon, Oh-Jin;Noh, Kyung-Ran;Kim, Wan-Jong;Jeong, Eui-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6.11b
    • /
    • pp.397-409
    • /
    • 2006
  • 연구결과는 학술적인 논문, 기술의 기반이 되는 특허, 기술이 체화된 상품 등 다양한 방법으로 도출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수치로 표시되는 정량적인 평가는 용이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질적인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성적인 방법은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각기 다른 목적이나 용도로 만들어진 평가지표나 방법론이 적절하게 적용하여 평가지표로 적용되어 지기는 힘든 상황이다. 특히 연구자나 기관 등의 평가 시 연구논문을 활용한 계량정보기법을 근간으로 하는 다양한 방법이 많은 연구자들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학술적인 논문뿐아니라 산업으로 대표되는 특허의 평가시도 유사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문헌의 경우는 SCI DB를 활용하여 정성적인 부분을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으로 대표되는 특허의 정성 평가는 많이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특히 문헌 및 특허의 인용정보를 대상으로 최근 제안되고 있는 연구 성과 지표인 h-지수 등을 활용하여 사례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 PDF

고객 만족도 조사를 이용한 경영성과 측정 연구-과학기술 콘텐트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 Kim, Yun-Jong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2
    • /
    • pp.122-125
    • /
    • 2003
  • 정보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법으로 조건부 가치평가방법을 응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조건부 가치평가 법은 간단히 말해 직접적으로 사람들에게 비시장 재화에 대해 어느 정도 지불의사가 있는가를 설문지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직접 묻는 것이다. 기존의 가치평가 법은 해당 정보 재화와 유사한 재화의 시장수요를 추정하여 평가하는 간접적 가치 평가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보는 유사한 재화의 명확한 정의가 곤란하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정보의 가치평가 방법을 선택하여 정보제공 웹 사이트의 경영성과를 측정하였다.

  • PDF

A Study of developing KPI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T of BSC based on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행동이론 기반의 BSC 학습과 성장 시각 영역 및 IT KPI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Eung-Seo;Lee, Seung-Hyun;Leem, Ch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7-70
    • /
    • 2004
  • 카플란과 노턴에 의해 1992년에 처음 소개된 BSC (Balanced Scorecard)의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4개 시각 중 '학습과 성장' 시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지표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성과지표 도출의 근원을 조직 행동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개념과 과정이론에서 밝혀냄으로서 '학습과 성장'시각의 목표인 다른 세 시각의 하부구조 및 동인을 달성하고자 조직 행동이론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이 기업의 장기적인 역랑을 배가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 및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장' 시각에서 인적자원의 역랑과의 균형있는 정보기술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업 경영활동의 근간이 되는 구성원과 단위조직, 그리고 정보기술이 기업성과데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과 조직의 보상체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잣대로서 작용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