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기술 성과실현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NFC attendance check APP design and implementation (NFC 출석체크 APP 설계와 구현을 통한 관리의 효율화)

  • Sung Jin Kim;Seong Kyung Bae;Do Hun Kim;Su Bin Lee;Seon U Lee;Ye J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41-244
    • /
    • 2023
  • 본 연구는 2010년 이후로 다시 활성화가 된 NFC 기술을 이용하여 출석 체크 APP을 개발하고, 아두이노와 My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Node.js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함으로써 출석 체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시간 사용을 최소화하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확실한 출석 체크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출석 체크시스템에서의 효율성과 정확성은 중요한 요소로서, 이를 위해 NFC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출석 체크를 수행하며, 데이터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강화한다. 연구를 통해 출석 체크 시스템이 발생하는 인력과 시간의 절약 효과를 확인하고, 효율적인 출석 체크 관리를 위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출석 체크 시스템의 개선과 혁신을 이끌며, 다양한 조직이나 교육기관에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재해 정보 플랫폼 개발현황 및 전망)

  • Yu, Wansik;Park, Gwangha;Lee, Yonghyeon;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383
    • /
    • 2020
  • 한반도를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뭄과 홍수 등 물관련 재해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정부부처 및 민간에서도 제공 가능한 국가 차원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재해 대응 및 관리 위하여 현재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이 2014년 7월 1일 출범하여 수행중에 있다.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은 국토관측센서(위성, 레이더, 지상관측자료)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정보 허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로 행복한 안심국토 및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연구비전 아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기술, 가뭄/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홍수재해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빅데이터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자원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이라는 4대 연구성과 목표로 X-Net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획득된 자료를 기반으로 수재해 감시·평가·예측 등에 필요한 관련 수문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며, 생성된 위성영상 및 수문레이더 등의 수문정보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자원 변동 감시 및 가뭄과 하천 건천화를 효율적으로 평가·예측함으로써 물안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광역 및 국지 홍수 피해 범위와 규모 등을 평가·산정하고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홍수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역 및 지역 수문자료와 수재해 관련 분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맞춤형 수재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재해정보플랫폼 및 포털시스템을 개발 글로벌 물 정보 허브로써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이에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에서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는 수재해 정보플랫폼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시스템, 위성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미계측 지역 수문정보 및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형 지표 수문정보 생성 시스템 개발현황 등 그간의 노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hanced TV Receiver for 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양방향 디지털 방송을 위한 Enhanced TV Receiver 설계 및 구현)

  • Kwon, Hyeok-Ju;Kim, Young-Koun;Park, Kin-Ji;Lee, Ya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7-1480
    • /
    • 2007
  • 양방향방송서비스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통신망의 양방향성과 방송망의 광대역성이 융합도리 수 있는 환경에서 나타난 새로운 서비스들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방송서비스란 시청자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상호작용이란 시청자가 무엇을 시청할 것인가와 언제 시청할 것인가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Enhanced TV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을 실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사용자가 TV를 통해 단순히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보내오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원하면 즉석에서 랜덤하게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nhanced TV를 구현하기 위하여 셋탑박스에 탑재되어 방송국에서 보내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Enhanced TV Receiver를 구현하였다.

  • PDF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and the Scheme of Reorganization of the AToN-based Hyperconnected Infrastructure (만물지능통신 기반·초연결 인프라의 발전 방향과 재편 구도)

  • Ha, W.G.;Choi, M.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5
    • /
    • pp.134-149
    • /
    • 2012
  • 본고에서는 차세대 스마트 인프라 준거틀로서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 인프라' 개념을 제시한다. 동 개념이 대두하게 된 근거 기반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스마트 기술혁신과 인프라 혁신 간의 상호관계성, 문명사적 관점에서 정보 교통 에너지 인프라 간의 공진화 과정을 거시적으로 개관한다. 그리고 초연결 클라우드 컴퓨팅, 만물지능통신망과의 선순환 관계에서 기존 인프라의 고도화와 동시에 정전교(情電交) 초연결 인프라의 탄생과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EU의 중장기 R&D 전략의 공통성과 도출을 위한 분산화된 협업시스템으로 부상하고 있는 SoS(System of Systems) 모델을 초연결 인프라의 프로토타입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작업을 기반으로 '물리적 인프라의 추상화' 그리고 '추상화한 인프라의 현실 세계로의 실체화'라는 관점에서 초연결 인프라로의 재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초연결 인프라를 지향한 공통 플랫폼과 그 실현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 PDF

THz 대역의 무선통신시스템 기술

  • Jeong, Tae-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2
    • /
    • pp.20-26
    • /
    • 2010
  • THz 대역의 주파수 범위는 일반적으로 100GHz ~ 10THz 사이로서, 전자파의 투과성과 광파의 직진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THz 캐리어 주파수는 대기의 수분에 강하게 흡수되어 1THz 이상에서 1 [dB/m] 정도의 대기 전파감쇠가 발생하나 0.1 [dB/m] 정도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 윈도우가 존재하여 이 영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RF MMIC의 기술개발 동향을 고려해 볼 때 무선통신시스템 응용을 위한 가장 유력한 THz 주파수 대역은 H-밴드(220 ~ 325GHz)이다. H-밴드에서 가용한 주파수 대역폭은 약 45GHz 이상이며, 이러한 초광대역폭을 이용하여 10Gbps급 이상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ASK 또는 BPSK와 같은 간단한 변조방식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THz 대역에서 무선통신 응용을 위한 전파특성 및 주파수 대역, 무선링크 특성과 THz 송수신기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

광섬유 센서기술 : 원리 및 응용

  • 송정태;이경식
    • 전기의세계
    • /
    • v.45 no.9
    • /
    • pp.9-17
    • /
    • 1996
  • 1970년 미국의 코닝글라스사(Corning Glass Company)에서 광섬유가 최초로 제조된 이래 광섬유는 통신분야에 많은 공헌을 해오고 있다. 1976년 Kinsley, Davies 등에 의해 광섬유를 이용한 전기적 위상변이 효과가 발표된 이후로 광섬유 특성을 이용한 센서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즉, 광파이버의 실현과 반도체 레이저와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의 성능 향상에 의하여 광파이버 응용 계측 기술이 현저하게 진보하여 그 다양성과 실현성도 두드러지게 증가되었다. 이것은 레이저와 수광소자 등의 광소자의 개발, 마이크로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술의 진보, 또한 최근의 전력 계통과 철강, 석유 화학 등의 각종 공업 플랜트의 대규모화, 고도화에 따른 고품위의 계측 제어시스템에 대한 수용의 증대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광대역, 저손실, 고절연성, 내잡음성, 안전방폭성 등이 우수한 광파이버를 신경망으로 하는 광파이버 응용 계측 제어 시스템이 공장자동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의 설계와 제어를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보 수집을 하는 센서 즉, 광속도, 회전 각속도 등 많은 종류의 광섬유 센서의 연구 개발이 미국, 일본, 유럽 및 국내의 여러 기관에서도 게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서서히 실용화되어 가고 있다[3-4].

  • PDF

초고속공공응용서비스 개발 사업

  • Lee, Seok-Han
    • 정보화사회
    • /
    • s.97
    • /
    • pp.40-45
    • /
    • 1995
  •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사업은 미래의 우리나라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미래 한국의 비젼을 실현시키는 사업이다. 한국전산원은 공공응용서비스개발지원사업, 원격시범사업, 그리고 국가망 구축사업분야의 전담기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이 중 공공응용서비스개발지원사업은 공공부분의 정보화를 촉진하여 국민에 대한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초고속국가정보통신망의 이용촉진 및 민간부분에 초기수요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초고속사업의 원년인 올해, 공공응용서비스개발사업은 국민경제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고, 국민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26개 과제를 선정, 민간사업자들이 참여하여 일심히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과제 선정, 사업자 선정 등 각 단계마다 경쟁의 원칙을 적용하여 주관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각 기관의 정보화 의지를 불붙였으며, 기업에게는 기술 자격 분리입찰제를 적용하여 적정 이윤이 보장되도록 하였다. 또한 3자간 공공계약체결로 공동으로 책임지는 협력체제를 구축하였다는 역시 작은 성과라 할 수 있다. 다음은 독자들을 위해서 공공응용서비스개발사업의 내용과 진척사항 그리고 참여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Web Archiving: What We Have Done and What We Should Do (웹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 Suh, Hye-R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1
    • /
    • pp.5-2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we have done and to identify what we have to do to be successful with Web archiving which is important to preserve our cultural heritage for the next generation. Some characteristics of Web resources as information sources were identified and some difficulties with Web archiving were discussed. The outcome of national and/or international Web archiving projects including Kurturarw3, PANDORA and Internet Archive were reviewed. Policy issues and technological problems of Web archiving we have to solve were listed.

  • PDF

Blockchain Property Registry and Smart Contract (블록체인 부동산 등기와 스마트계약)

  • Han, Zonghi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2
    • /
    • pp.286-293
    • /
    • 2021
  • Smart contract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real estate registry including transactions. The Ethereum coin using multi layered protocol is widely accepted as the token for the smart contract. Block chain smart contract using SOLIDITY or PYTHON can mediate transactions auch as sale or lease, creating various scenarios in the property market. Those smart contract can construct the basis for the blockchain real estate registry,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conventional transaction costs concerning the national law system, the asymmetric information and the currency exchange. The advantages of blockchain technology, namely security, decentralization, global transparency and openness can be applied to the smart contract system on the property registry. Several countries have advanced such blockchain real estate registry project recently, but no actual implementation has been reported for years, owing to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impasses.

A Study on Mitigating the Disparity i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age among the Elderly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고령층의 대중교통 정보이용 격차 해소방안 연구)

  • Miyoung BHIN;Seulki SON;Hyunju KIM;Chaewon L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5
    • /
    • pp.127-136
    • /
    • 2023
  • Gyeonggi Province has established a bus information system to provide real-time bus arrival information, aiming to make bus usage convenient for its residents. While the Gyeonggi bus information system is becoming more advan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IT technology, there are still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finding it difficult to use. In particular, the elderly have a low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habe difficulty using i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nformation usage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public transportation by utilizing expert in-depth survey methodology known as the Delphi technique. The study classified the policy initiatives that Gyeonggi Province should undertake into three categories: user education and expanded promo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and providing convenient usage environment. Through two rounds of surveys, the study assessed the priority of ten specific sub-tasks within these categories. Additionally, it gathered opinions on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ach item. The results yielded prioritization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for nine sub-task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proposed future projects that Gyeonggi Province should implement to address the information disparity among the elderly, offer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bridge the g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