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교과 예비교사 교육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어려움 분석)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9-210
    • /
    • 2019
  • 정보 교과가 아닌 타 교과에서 교육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의 교육적 효과가 증명됨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TPACK 이론을 도입하여, 테크놀로지 도구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고,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도입하였지만, 예비 교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에게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교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계로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진행하고,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Course based on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예비 정보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영역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 Kim, Ji-Yu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151-154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학교 현장에 새로운 요구와 문제 상황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정보 컴퓨터 교사양성과정도 적절하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정보교사들이 교육현장의 요구와 문제 상황에 대해 직접 고민하고 해결방법을 구안해보도록 하는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캡스톤 디자인 강의의 동향을 살펴보고 교과교육영역의 과목과 다루어야 할 정보교사의 자격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캡스톤 디자인 정보교과 교재연구 강의를 설계하였다. 후속 연구로 설계한 강의를 예비 정보교사들에게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토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igital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Y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73-3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방안을 제시하며, 이에 맞는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입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교육부에서 유아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세부기준을 발표했는데, 교직과목 중 교직소양영역에 디지털교육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과 과정에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과 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윤리 등을 균형있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는 유아교사로서 디지털 이해, 활용 및 소양 뿐 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교과 융합, 인공지능 교육 등을 학습시키는 방안 역시 중요하므로 본 교과목을 통해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유아교육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본 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Liberal Arts Sub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Pre-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초중등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양 교과목 설계)

  • Jun, SooJin;Jeon, YongJu;Jeong, InK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5
    • /
    • pp.859-86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I liberal arts subject for pre-service teachers of all majo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o this end, the main areas of the AI curriculum, sub-themes for each week, and activities were specifically designed and verifi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by 13 experts. The AI liberal arts curriculum in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areas. Then, detailed topics for each week were confirmed, and a total of 13 week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natural flow. It was intended to help teaching and learning by arranging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I education subjects for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future.

An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조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17-120
    • /
    • 2018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TPACK에서 테크놀로지의 도구를 프로그래밍까지 확장한 TPACK-Programming(TPACK-P) 교육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TPACK-P 교육 모델을 기반으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른 영역의 지식 발달에는 효과적이지만,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와 Technological Knowledge(TK)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의 지식 발달에 효과적이도록 만들기 위해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학습, 교과와 교육과정에 맞는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제작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밍 학습의 강화와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예시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TCK와 TK의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래밍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과 예비 교사의 교과 내용과 프로그래밍의 연결을 촉진하기 위한 내용이 TPACK-P 교육 모델에 보완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nfluence of Technology Integration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 Shin, Won-Sug;Han, In-Sook;Eom, Mi-R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1
    • /
    • pp.71-80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TPACK) model, and to apply this model to preservice education. To perform this study, TPACK survey instrument was distributed to 142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echnology integration course. The result showed that technology and content knowledge improved significantly, and pedagogical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7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technological and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Also, we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in Korea.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vel-Engineering-based Maker Education Course (예비 교사를 위한 Novel Engineering 기반 메이커 교육 강의 개발)

  • Kim, Ji-Yu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21-12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공의 예비 교사를 위한 Novel Engineering(NE) 기반의 메이커 교육 강의를 개발하였다. NE는 선정하는 도서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교과목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다양한 전공을 가진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전공에 메이커 교육을 접목하기에 용이하다. 강의의 개발은 교수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메이커 교육 이론→기술 습득→메이킹 프로젝트 1→메이킹 프로젝트 2의 단계로 구성된 강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강의를 다양한 전공의 예비교사 20명에게 적용한 결과 높은 수준의 수업 만족도를 보였다.

  • PDF

Core Curriculum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 based 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 Shin, Soo-bum;Han, Gyu-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2
    • /
    • pp.229-235
    • /
    • 2019
  •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that can run K12 school SW education is raise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e standard of SW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domestic. In this study,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based on four kinds of contents knowledge. Domestic cases were found to be concentrated on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domestic and abroad, we presented the content of SW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of teaching contents for preliminary teachers. The main contents are all four areas, and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SW subject education experts are asked for the feasibility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the validity and consensus exceeded the standard, the CVR value for the student management field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A Case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Unplugged Computing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정보교육 사례 연구)

  • Han, Hee-Seop;Han, Seon-K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1
    • /
    • pp.23-30
    • /
    • 2009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assists efficiently the conceptual comprehension and teaching skill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e program is integrated with Protype Theory and Example Theory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nd also the real teaching activities based on Unplugged Learning are provided for conceptual comprehension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for learning computer scienc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1 pre-service teachers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is very effective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 PDF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 Kim, Hyung-Jin;Nam, Young-H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6
    • /
    • pp.43-52
    • /
    • 2012
  •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of learner can do self-directed learning that increases creativity of learner. Bu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f 2009 revision curriculum has to be enforce,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literacy is expected to leave the education undone at schools. Therefore the ability of leaners must develop through teaching in all subjects, and so the ability of teachers in the class is very important.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bout the abilit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nd analyzed the gap of the ability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The indexes of total ability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re shown to be 74.4 points and 50.5 points out of 100.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s on the level about 68-percent as compared with the ability of in-service teachers. Therefor the education offices of cities and provinces a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must establish for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