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경제론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Information Economy and Information Sharing for an Activation of Information Flow (정보경제와 정보유통의 활성화를 위한 정보공유론)

  • 이순재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2 no.2
    • /
    • pp.187-212
    • /
    • 2001
  • Recently,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recognized as resources which contain important economic, social and individual values. This study investigates a concept of information society, an economic viewpoint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alism sharing of information. As a result, various plans are suggested such as information policy, recovery of inherent value of information dissolution of information gap and social movement for information sharing.

  • PDF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한 계량정보분석방법론 포트폴리오 구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Yun, Byeong-Un;Ha, Hyeon-Hak;Son, Gyeong-Won;Kim, So-Jeong;Kim, Mun-S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391-412
    • /
    • 2009
  • 국가의 신성장 동력을 찾고 국가 연구개발과제를 기획 평가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에 직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해당 기술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토대로 정확한 기술궤적 (technology trajectory)을 도출할 수 있을 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과정이 직관에 의한 판단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기술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화, 즉 계량화를 기반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계량정보분석은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주요 방법론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계량정보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방법론 적용 및 활용 프로세스 등과 관련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선진국의 계량정보분석방법론의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방법론의 유형 및 활용영역을 분석함으로써 활용목적에 맞는 계량정보분석방법론 포트폴리오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계량정보분석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활용 목적에 맞는 적용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망 기술 영역과 핵심 기술을 탐색하고 모니터링하는 방향으로 계량정보분석방법론의 활용영역이 확장될 수 있는 토대가 되며, 기술 지능(technology intelligence)적인 정보를 창출하여 실질적인 업무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계량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요약 정보생성 방법에 관한 고찰 : e-Paper 기술분석을 중심으로

  • Lee, Bang-Rae;Gwon, O-Jin;No, Gyeong-Ran;Kim, Gyeong-Ho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59-274
    • /
    • 2009
  •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연구자나 연구기획자들은 미래에 어떤 기술 또는 연구 분야가 각광을 받을지 파악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분석한다. 그러나 방대한 정보 중에서도 정말 필요한 정보를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수집하기는 쉽지 않다. 기술기획이나 연구기획의 경우 현재의 연구동향이나 현황을 빠른 시간안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이며, 이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연구방법론 중 하나가 계량서지학이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적 분석결과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 기법을 이용한 정보분석 방법론을 다룬다. 발표동향 분석, 공동연구네트워크분석, 수준지수분석, 특허인용네트워크를 통한 인용트리분석 등을 이용하여 전자종이(e-Paper)기술분야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분석에 있어 비전문가라도 신속하게 정보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KISTI에서 개발한 정보분석시스템인 KnowledgeMatrix S/W와 이를 응용한 S/W를 활용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들은 실제로 연구사업에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방법론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향후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정보통신기술의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통시적 연구;DEA 방법

  • Ji, Hong-Min;Yang, Hui-D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12-512
    • /
    • 2006
  •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주요국가의 정보통신산업의 투자현황과 경제지표를 기반으로, 정보통신산업의 투자가 어떻게 국가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이 주제의 다른 연구들에 비하여 방법론적인 차이점은, 첫째 인터넷 거품 현상의 와중과 그 이후의 기간을 모두 고려했다는 점, 둘째, 정보통신 투자의 영향이 발현되는데 다소 시간의 경과가 필요하므로 Malmquist 방법을 이용한 통시적인 접근을 사용했다는 점, 셋째, 각 국가의 고유 현상이 고려된 모형하에서 분석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다. 분석방법을 이끄는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는, 정보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인프라와 응용기술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Barua, Kriebel & Mukhopadhyay (1995) 의 Two way approach를 채택하고자 한다.

  • PDF

From the Geography of Physical Space to the Geography of Virtual Space: Current and Futur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and Virtual Geography (물리공간의 지리학에서 가상공간의 지리학으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가능성)

  • Kim, Young-L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70-83
    • /
    • 2019
  • This paper reviews how geographers have embrace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ded their perspectives from real space to virtual spa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research on the wired internet infrastructure began in the late 1990s, but the tradition has not been succeeded for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hile the relationship-expansion, reproduction, and constraint-between real and virtual spaces have been studied by virtual geography scholars, we need more empirical research to reveal to what extent the two spaces impact to each other.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physicality of the virtual, it will be useful to combin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and virtual geograph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empirical studies in the subfields can be criticized as being data- or technological deterministic.

The History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Framework during Fifty Years($1956{\sim}2005$) (한국경제지리학 반세기의 연구 틀 조류(潮流))

  • Han, Ju-Se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4
    • /
    • pp.355-376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approach methods of research frame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during the last fifty years($1956{\sim}2005$). The fiv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Korean economic geography are Korean geography, European, American, and Japanese geography, fundamental theories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regional problems, and culture. The study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period of cradle of economic geography($1956{\sim}1962$)', 'period of establishment of economic geography(1963$\sim$later 1970s)', 'period of leap of economic geography(the former half of 1980s$\sim$the former half of 1990s)', and 'period of transition of economic geography (since later 1990s)'. And research framework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has changed from the regional structure theory in 'period of leap' to the spatial system of economies and network theory in 'period of transition'. Spatial system of economies and network theory consists of spatial system of world economies, spatial system of national economies, spatial system of regional economies, spatial network of enterprise economies, and spatial network of information economies.

  • PDF

중국위기론, 어떻게 볼 것인가

  • Ji, Man-Su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9
    • /
    • pp.28-33
    • /
    • 2002
  • 최근 중국경제의 위기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이 여러가지 취약점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들이 경제 및 체제위기로 발전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중국은 수출과 내수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상당기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 PDF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을 위한 평가 방법론 고찰

  • 서대희;이임영;정지훈;채수영
    • Review of KIISC
    • /
    • v.14 no.1
    • /
    • pp.107-122
    • /
    • 2004
  • 세계 각 국은 산업 및 정보의 의존성에 의해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대로 변모하였으며, 사이버 공간 그 자체가 정치, 경제사회, 문화 등의 기본적인 생활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을 보호하지 않을 경우 안정된 정보사회 구축은 불가능하다. 특히, 정보보호의 대상이 특정 국가적인 정보 보안에 국한되지 않고 기업 및 사회의 정보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적으로 국가 안보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한 새로운 제도와 조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 요구되는 대체 평가 방법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한다. 특히 북미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는 CEM을 기준으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의 적합성 표준으로 추진 중에 있는 SCT와 ISO/IEC에서 제시되고 있는 적합성 테스트 방법론인 ISO/IEC 9496 및 보증 프레임워크인 ISO/IEC 15443에 대한 자체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고 자각의 평가 방법론간의 상호 연관성과 비교 분석을 통해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조시스템에서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방법론의 개발

  • Mun, Byeong-Geun;Jo, Gyu-Gap;Kim, Jun-Hyo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246-263
    • /
    • 2004
  • 신뢰성 있는 프로젝트 가치평가를 위해서는 프로젝트 투자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계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통적으로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의 프로젝트 가치평가는 재무적 방식에 의한 평가에 기초해 왔다. 그러나 제조시스템에서 품질, 재고, 리드타임 등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화폐가치로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재무적 성과지표와 비재무적 성과지표를 모두 고려하는 성과지표 중심의 프로젝트 평가방법의 개발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프로젝트 평가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불확실성을 확률분포로 고려하는 평가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과지표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투자에 의한 개별 성과지표의 개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에 관한 기존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제조시스템에서의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공리적 설계에서의 정보공리의 정보량 개념을 이용한 프로젝트 평가방법론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성과지표의 정보량 계산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해 고찰하고, 해석적 분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적용에 대해 서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