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박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ing Anchorage Using Occupancy Rate - Simulation Based on Ulsan E Anchorage - (정박지 점유율을 이용한 집단 정박지 면적 제시 방법 연구 - 울산항 E 정박지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

  • Park, Jun-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2
    • /
    • pp.167-17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nchorage area through the simulation reproduces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 and analysis of the adequacy of anchorage applied at Ulsan E anchorage, suggests the formula of anchorage occupancy rater per hour and necessary anchorage area for this purpose. And configured simulation algorithm and modeling using MATLAB program, and applied Ulsan E anchorage, compared anchorage area with anchorage occupancy rate per hour. As a result, E1 necessary anchorage is 1.41 times, E2 necessary anchorage is 0.90 times and E3 necessary anchorage is 0.96 times compared to total anchorage area. If the result of adequacy analysis of anchor area reflect anchorage design criteria, it is determined to be helpful for the safety of the vessel using the anchorage.

마산해상교통관제구역 내 정박지 추가 지정에 관한 필요성

  • Bong, Sun-Yeong;Lee, Yeong-Si;Kim, U-Hyeon;Lee, Sang-Ho;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38-340
    • /
    • 2014
  • "정박지"라 함은 기본적인 수역시설의 하나로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장소로 선박들은 이곳에 투묘함으로써 법적, 물리적 보호를 받게 된다. 정박지는 해당 항만에 입 출항 대기 또는 작업대기 등의 목적을 위해 해당항만에서 지정 고시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마산항의 정박지의 경우 비상정박지를 제외하고는 흘수 6m이상의 선박이 투묘 대기할 수 있는 정박지가 부재하다. 이런 사정으로 현재 마산항 입항대기 선박 및 작업대기 선박들의 경우 지정된 정박지가 아닌 잠정 정박지와 관습적 정박지에 투묘대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선박 및 관제사 모두 법적, 물리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는 마산항의 현황파악을 통해 항만 운영, 관제운영 및 이용자 측면에서 마산항의 정박지 추가 필요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마산항의 정박지 지정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효율적인 정박지 관리.운영 방안

  • Jo, Yun-Gyeong;Gwon, Wan-Beom;Hwang, Yeong-Jo;Kim, J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23-425
    • /
    • 2013
  • 정박선의 증가로 인해 VTS에서는 정박지를 선박에게 권고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요하게 되었다. 정박지라는 한정된 범위 안에서 가능한 한 다수의 선박을 안전하게 투묘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다. 각 항구의 정박지 권고 방식을 비교해보고, 포항항을 중심으로 격자형 정박지 권고 방식을 교신의 간소화와 함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Kwangyang Port (여수·광양항 정박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1
    • /
    • pp.17-25
    • /
    • 2017
  • Relocation and expansion of existing port facilities are necessary given this increase in marine traffic volume and the presence of larger entering vessel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chorage among water facilities, and examined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anchorage and other water facilities at Yeosu Kwangyang Port. The number of anchoring vessels in relation to anchorage over the past 5 years, total anchored hours by anchorage-years, average number of simultaneously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years,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ly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 and maximum size of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 have been surveyed. The minimum anchorage radius has be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anchorage capacity according to anchorage. Finally, improvement plans for Yeosu Kwangyang Port's anchorage have been suggested, including relocating of Yeosu no. 2 anchorage, expanding of Kwangyang no. 1 ~ 5 anchorage, relocating of Kwangyang no. 8 ~ 9 anchorage, and repealing of Kwangyang no. 11 anchorage.

부산 남외항 정박지 이용 현황 및 개선방안

  • Mun, Seong-Bae;Song, Jae-Uk;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8-141
    • /
    • 2015
  •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인 부산항의 정박지로 북항에는 집단정박지 1개와 포인트 정박지 5개가 다대포항 입구에는 포인트 정박지 1개가 그리고 남외항에는 5개의 대기정박지가 지정되어 있다. 남외항 정박지는 정박선의 크기별로 5개의 정박지로 나뉘어 있는데 특히 N-5 정박지는 2009년에 국내 최초로 항계 밖에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최근 남외항 정박지는 기상 악화 시 주묘(走錨) 등으로 인한 접촉 충돌 등의 해양사고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해운산업의 경기침체와 경영악화에 따라 장기계선 또는 감수보존 등의 선박들이 조종 불능상태로 방치되는 등 선박안전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외항 정박지의 이용현황을 분석하여 정박지 운영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한다.

  • PDF

진해만의 태풍 내습시의 정박지 이용현황 및 정박지 지정에 관한 연구(I)

  • Park, Yeong-Su;Park, Jin-Su;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9-11
    • /
    • 2006
  • 우리나라에는 매년 평균 $2{\sim}3$회의 태풍이 내습하고 있다. 이러한 태풍의 내습시 우리나라 남해 근방의 항만에 정박증인 선박과 항행중인 선박의 대부분을 진해만으로 피항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진해만 피항시 정박하고 있는 많은 선박들 사이로 정박지를 찾아 헤메는 선박들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정박지 선정을 레이더를 통하여 진해만 정박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으면 좋으리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현재 정박지에서 선박간의 최소거리를 진해만 태풍 내습시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화하고 이 모델을 통하여 선박간의 최소 정박지 거리제공으로 선박항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박지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VTS center에서 정박지를 사전에 지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The Proper Capacity of Anchorage in Ulsan Port with Reference to the Anchorage Operating Rate (울산항 정박지 가동률 분석을 통한 적정 정박지 규모 제안에 관한 연구)

  • Park, Jun-Mo;Yun, Gwi-Ho;Jeon, Hae-Dong;Kong, G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5
    • /
    • pp.380-388
    • /
    • 2016
  •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anchorage in Ulsan port and determine the proper capacity of future anchorage in accordance with port development. Accordingly, the concept of an Anchorage Operating Rate (AOR) is introduced to evaluate the capacity of anchorage that was available in Ulsan port in 2014. Calculations revealed that the operating rate of all anchorages in Ulsan port did not exceed 100 %. However, in 2020 it is estimated that the AOR at E1 anchorage will be the highest with a rate of 168.3 %, followed by E3 with 131.1 %, E2 with 118.5 % and M with 108.7%. These findings indicate a shortage of anchorage by 2020. In order to decrease the AOR to a level that will not exceed 100 %, in accordance with port development in Ulsan, areas to accommodate an additional 11 ships at E1 anchorage, 1 ship at E2 anchorage, 2 ships at E3 anchorage and 1 ship at M anchorage will be necessary.

정박지 항행관련 VTS의 역할에 대한 고찰

  • Choe, Gyeong-Sik;An, Byeong-Ok;Jeong, Gi-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5-217
    • /
    • 2010
  • VTS 관할 구역 중 정박지에서의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 울산항의 해양사고 통계를 통해 정박지에서의 해양사고의 비중이 의외로 높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정박지에서 투묘를 위한 접근단계에서부터 양묘단계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박지 통항량의 감쇄, 정박지 지정의 전략, 단계별 맞춤형 적극적인 정보 제공, 정박 중 안전관리 방안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 PDF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 Kim, A-Reum;Park, Jin-Su;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58-60
    • /
    • 2013
  • 부산항 입항 및 출항 대기, 통과 선박의 중간 기항지로 이용되는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는 N-1~N-5으로 구성되며 현재, 최대 90척이 동시에 정박 가능한 집단 정박지 지정방식으로 지정되어 있다.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는 입 출항 선박 및 통과 선박, 급유선 등의 교통에 따른 충돌, 접촉 등의 해양 사고와 갑작스러운 돌풍 등 기상악화에 따른 충돌, 접촉 및 좌초 등의 해양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의 자연 환경, 이용현황, 기상, 입 출항 선박 및 통과 선박의 교통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부산 남외항 대기 정박지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찾고, 해상교통조사 설문조사 이론적 근거를 기초로 안전도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Waiting Anchorage using Anchorage Capacity Index (정박지 용량지수를 활용한 대기정박지 수요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 Kwon, Seung-Cheol;Yu, Yong-Ung;Park, Jun-Mo;Lee, Yun-S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5
    • /
    • pp.519-526
    • /
    • 2019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appropriate capacity of anchorage for ports requiring the establishment of waiting anchorage and then applying the methodology to the ports in Jinhae Bay to compare it with the anchorage capacity of major ports in Korea. To estimate the appropriate anchorage capacity, the "Anchorage Capacity Index" was used, which was calculated from the "Total Gross Tonnage" and "Simultaneous Anchoring Capacity". The calculations were made according to the anchorage capacity index of 0.89 of the target harbors. The adequate anchorage capacity index for the new waiting anchorage was analyzed at a level of 6.0. If the concept of anchorage capacity index suggested in this study is reflected as a new design criteria of waiting anchorage, it will be helpful for the safety of berth, safety of anchorage and effective operation of har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