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면충돌평가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측면 충돌시 Restraint system의 효과에 관한 연구 -Seat wing의 효과-

  • 이창민;오세민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1-100
    • /
    • 1995
  • 자동차의 안전도는 전통적으로 정면 충돌시 승객의 보호 정도를 가지고 비 교 된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다양한 사고에 의한 승객의 피해를 볼 때 정면 과 더불어 측면 충돌시의 피해를 무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sled tests 등을 통해서 정면 뿐만 아니라 측면 충돌의 영향도 파악하고 있으나 정면 충돌보다 측면 충돌에 대해 승개 보호 장치의 개발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occupant (운전자 및 승객) restraint system을 computer 모의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안전시스템인 lap/shoulder belt system과 Air cushion에 의한 실험은 다각도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측면 충돌에서 Air Bag에 의한 충돌 감소 영향은 정면 충돌에 비해 적어지게 되어 상체 측면 보호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lap/shoulder belt system과 Air Bag에 의해 구속되는 dummy를 가지고 다양한 측면 충돌 각도 (0 .deg. , 15 .deg. , 30 .deg. , 45 .deg. , 70 .deg. )에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충돌각에 대해 기존 Restraint System에 상체 측면 보호 장치(seat wing)를 포함하여 실험을 수행 하였다. 이에 대한 각각의 영향, 그리고 승객 손상도 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보안된 측면 충돌 보호 restraint system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에 의하면 정면보다 측면에서 충돌하였을 경우 보조 구속 시스템인 seat wing으로 인 해 측면보호는 물론 occupant는 정면으로 나가게 개선되어 구속 시스템으로써의 이점이 확대되고 shoulder blet 또는 dummy의 감속을 통제하는 Air Bag의 잠재적인 이점이 더욱 확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design 단계에서 편안함, 안락감 등의 문제들과, 다른 실용적인 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자율주행자동차 정면충돌평가방안 마련을 위한 국내 정면충돌사고 심층분석 연구 (An In-depth Analysis of Head-on Collision Accidents for Frontal Crash Tests of Automated Driving Vehicles)

  • 박요한;박원필;김승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8-94
    • /
    • 2023
  • The seating postures of passengers in the automated driving vehicle are possible in atypical forms such as rear-facing and lying down.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vices such as airbags and seat belts to protect occupants from injury in accidents of the automated driving vehicle, and collision safety evaluation tests must be newly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representative types of head-on collision accidents to develop collision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that take into account changes in driving behavior and occupants' postures. 150 frontal collision cases remained by filtering (accident videos, images, AIS 2+, passenger car, etc…) and random sampling from approximately 320,000 accidents claimed by a major insurance company over the past 5 years. The most frequent accident type is a head-on collision between a vehicle going straight and a vehicle turning left from the opposite side, accounting for 54.7% of all accidents, and most of these accidents occur in permissive left turns. The next most common frontal collision is the center-lane violation by drowsy driving and careless driving, accounting for 21.3% of the total. For the two types above, data such as vehicle speed, contact point/area, and PDOF at the moment of impact are obtained through accident reconstruction using PC-Crash. As a result, two types of autonomous vehicle crash safety test scenarios are proposed: (1) a frontal oblique collision test based on the accident types between a straight vehicle and a left-turning vehicle, and (2) a small overlap collision test based on the head-on accidents of center-lane violation.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의 정량적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NCAP(New Car Assessment Program) on Traffic Safety)

  • 조한선;심재익;성낙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5
    • /
    • 2008
  •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는 제작사가 보다 안전한 자동차를 제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충돌시험 등을 통하여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이것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자동차 안전정책 중의 하나로써,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건설교통부 주관으로 신차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안전도평가 대상차종이 크게 증가하여 안전도평가 대상 차종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한 실정인데, 그 이유로는 평가인력, 시설 및 비용 등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의 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를 통해 자동차제작사가 자동차의 안전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의 심각도를 얼마나 줄여줄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의 효과를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안전도평가 항목 중 이용가능한 자료가 있는 정면충돌만을 대상으로 정면충돌로인한 사상자 수를 추정하고 안전도가 향상된 차종의 판매대수를 이용하여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005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정면충돌사고 시 사상자 감소분을 추정해 본 결과, 자동차 안전도평가제도를 시행함으로써 자동차 안전도가 향상되어 2005년 1년 동안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약 1.51명, 부상자는 약 446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평가를 위한 한국인 인체모텔의 동적 해석 (Dynamic Analysis of Korean Dummy Models for Sensibility Ergonomic Evaluation)

  • 김성진;손권;최경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239
    • /
    • 2002
  • 한국인 인체모델은 동적 환경에서 정면 및 측면 충돌에 대한 지체의 가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우선 GEBOD에 입력하기 위한 32개의 한국인 인체치수를 선별하고, 15개의 지체를 가진 한국인 인체모델을 구성한다. 손 동작의 감성평가에 이용하기 위해 손을 독립된 지체로 분리한 17개 지체의 인체모델을 완성한다. MADYMO를 통한 정면충돌 테스트에서는 Hybrid III에 비해 한국인의 머리와 흉부 가속도가 비교적 높게 나왔고, 측면충돌 테스트에서 흉추 1번의 가속도는 ISO에서 요구하는 범위의 상한값을 조금 벗어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FWDB 정면충돌시험에 대한 연구 (Study on FWDB Frontal Vehicle Crash Test)

  • 김요셉;범현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1-37
    • /
    • 2010
  • In proportion to increasing interest in vehicle safety, many country have regulated vehicle safety and performed NCAP(New Car Assessment Program). However vehicles which had good results in these compliance and NCAP frontal crash test have caused problems such as the fork effect and over-riding in real car-to-car accidents. To complement these issues, new frontal crash test modes using new barrier like FWDB and PDB have been developed by EEVC WG15. In this paper, FWDB frontal crash test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full frontal crash test using the rigid wall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 of FWDB. The results of FWDB test were compared with one of USNCAP and KNCAP. Using USNCAP data, vehicle performance like deformation and wall force were studied. A comparative study of dummy injuries was made by using KNCAP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vehicle performance of FWDB test like displacement and effective acceleration was similar in spite of absorbing energy of FWDB due to the greater vehicle deformation of rigid wall test. In FWDB test, driver dummy head bottomed out but most of injuries were superior to the injury of rigid wall test.

정면충돌 가속도곡선을 이용한 HIC15 예측모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HIC15 Estimating Model Using Frontal Crash Pulses)

  • 하태웅;임재문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2-67
    • /
    • 2022
  •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imple estimating model for the HIC15 of the driver dummy using the frontal impact test results. Test results of 9 vehicles of Hyundai Sonata from the MY2002~MY2020 USNCAP are utilized for constructing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average accelerations extracted from the vehicle crash pulses are handled as the main factors. The average accelerations of 10 ms interval within 0~100 ms are calculated from the crash pulse data of 9 vehicles. The present estimating model of the HIC15 using the average accelerations of 10 ms interval in the 0~80 ms range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tested value within 2.4% maximum error.

차량 충돌 시험 및 인체 상해 기준 지원 시스템 연구 (A Study on Computer-Aided Consulting System for Vehicles Impact Test and Human Body Injury Criteria)

  • 김영기;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8-5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차량 충돌 시험시 결과에 관하여 측정하는 방법 중 인체 상해 기준에 따른 평가를 지원해주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시험의 가장 큰 분류인 정면 충돌과 측면충돌 2가지에 대찬 내용을 기준으로 인체 모형 각 부분의 결과 값에 따른 기준과 계산 방법 및 법규 규정을 제시하여 준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체 모형의 구성과 차량 충돌 시험시 중요시하는 인체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실제 인간의 대신한 인체 모형의 이해는 실제 인간이 승차하고 있는 차량의 안전도의 이해를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충돌 시험 평가와 인체 상해 기준에 대해 차량충돌 안전부문 관련자들에게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지원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상호안전성을 고려한 차대차 정면 충돌 안전성 선행 연구 (A Study on Car-to-car Frontal Impact Considering the Vehicle Compatibility)

  • 이창민;신장호;김현우;박건호;박영준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18
    • /
    • 2017
  • In recent years, NCAP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have induced automaker to improve the vehicle crashworthiness. But, the current NCAP regulations don't cover all types of traffic accidents. And rapid-increasing market share of compact cars and SUVs has brought for both consumer and automaker to pay more attention on crash compatibility. So,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develop the new crash test mode and update the present crash test mode. Especially, Euro NCAP has been developing a new impact protocol of the car-to-car frontal offset impact including the crash compatibility assessment. There are plans to introduce this new protocol in 2020, and it will be replaced the current Euro NCAP frontal offset impact. The test dummy in the front seats of this new test mode will be changed from 50% Hybrid-III male to 50% THOR male. This paper will address the vehicle responses, the occupant responses and the vehicle compatibility performance from a full vehicle crash test using the new car-to-car frontal offset test protocol of Euro NCAP.

USNCAP 정면충돌시험 결과를 이용한 HIC15 예측모델 개발 (A Development on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HIC15 using USNCAP Frontal Impact Test Results)

  • 임재문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38
    • /
    • 2020
  •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HIC15 in frontal vehicle crash tests. The 28 frontal impact test results of the MY2019 and MY2020 USNCAP are utilized. The metrics for evaluating the crash pulse severity such as moving average acceleration, Restraint Quotient (RQ) and ride-down efficiency are reviewed to find out whether the metrics can predict the HIC15. It is observed that the R2 values based on the linear regression of all pairs between the existing metrics and the occupant injuries such as the HIC15, 3 ms chest g's and chest deflection are very low. In this study, using the vehicle crash pulses, the linear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the HIC15 is developed. The vehicle crash pulse is splitted seven 10 ms intervals in 70 ms after impact for extracting the average accelerations in each intervals. The prediction model can predict effectively not only the HIC15 but also the maximum head g's, chest deflection and 3 ms chest g's of 13 vehicles out of 28 vehicles.

신 정면 충돌 시험의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 (Simulation Analysis and Comparison of New Frontal Impact Tests)

  • 정경진;윤영한;박지양;김동섭;오명진;곽영찬;손창기;신재곤;이은덕;권해붕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5
    • /
    • 2017
  • KNCAP is a program to evaluate the automobile safety, providing consumer vehicle safety assessment results. The safety evaluation tests are Frontal Impact, Offset Frontal Crash, Side Crash, Side Pole Crash, Rear Impact. This is the study of the offset frontal impact safety evaluation. Currently, IIHS is performing a small overlap test. NHTSA plans to implement the oblique moving deformable barrier test. Euro-NCAP plans to implement a mobile frontal impact test. Simulation is used to compare occupant behavior and injur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 introduction of the test at KNCAP is necessary. The dummy model used in the simulation was the 50th percentile male Hybrid III dum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