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 접근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8초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부전에서의 비피복형 스텐트: 접근로 종류와 스텐트 위치에 따른 개통률 평가 (Bare-Metal Stent in Dysfunctional Hemodialysis Access: An Assessment of Circuit Patency according to Access Type and Stent Location)

  • 이경민;원제환;권요한;이수형;방준배;김진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197-211
    • /
    • 2023
  • 목적 기능장애 혈액투석 접근로에서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접근로 유형과 스텐트의 위치에 따른 개통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과 2019년 12월 사이에 159명의 환자(평균 연령, 64.1 ± 13.2세)가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장애를 치료를 위해 나이티놀 스텐트를 설치하였다. 스텐트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18개 팔머리 정맥, 51개 노쪽피부정맥궁, 40개 위팔 정맥, 10개 문합부위 인접 정맥, 7개 동정맥 문합부 및 33개 인조혈관-정맥 문합부. 12개월 개통률은 카플란-마이어 방법과 콕스 회귀 모델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9개의 스텐트가 103개의 자가동정맥루와 56개의 인조혈관접근로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인조혈관접근로는 자가동정맥루에 비해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이 더 낮았다(일차 개통률; 25.0%대 44.7%; p = 0.005, 이차 개통률; 76.8%대 92.2%; p = 0.014). 스텐트 설치 후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12개월 일차 개통성이 불량하였다. 결론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자가동정맥루는 인조혈관접근로와 비교하여 더 좋은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을 보인다.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의 스텐트는 다른 위치의 스텐트에 비해 더 낮은 12개월 일차 개통률을 보인다.

선천성 하대정맥 중단 환자의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 수술 치료 증례 (Dorsal Cavoatrial Bypass for Congenital Interruption of IVC)

  • 최주원;홍준화;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25-528
    • /
    • 2010
  • 선천성 하대정맥의 중단은 간울혈과 간변성을 유발하며, 비장비대와 복수와 복통, 하지부종이 동반된다. 49세 여자환자가 자궁근종과 월경과다, 그리고 철결핍성빈혈로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 전 복부컴퓨터단층촬영검사 및 복부 및 흉부 대정맥조영술을 시행하여 하대정맥의 중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우측 후측방 개흉술을 시행하여 흉강 내로 접근하였고, 횡격막을 절개하여 후복막 접근을 이용하여 하대정맥을 박리하여 16 mm PTFE graft를 이용하여 우회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graft의 꺾임 현상이 관찰되어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았으며, 이후 환자는 특별한 문제 없이 회복되었다. 하대정맥의 선천성 중단이 관찰되는 환자에게서는 PTFE 인조혈관을 이용한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수술이 적절한 선택이며, 후측방 개흉술을 통한 복막뒤공간 접근법이 적절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동맥관 개존증에 걸린 치와와 개에서 대퇴정맥을 통한 Amplatzer 혈관플러그를 이용한 중재술적 치료 (Occlus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 Chihuahua Dogs Using Amplatzer Vascular Plug though Femoral Vein)

  • 한숙희;이동국;최란;서상일;오연수;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3-246
    • /
    • 2015
  • 9개월령 암컷 치와와(체중 1.5 kg)가 운동 불내성과 좌측 흉벽 심기저부의 큰 심잡음으로 의뢰되었다. 방사선 검사의 배복상에서 좌심실 종대 및 주폐동맥, 대동맥, 좌심방 확장의 전형적인 소견인 트리플범프(triple bump)가 확인 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 동맥관이 확인되었으며 대동맥과 주폐동맥 사이에 좌우 방향의 연속적인 와류(최고 속도 5.73 m/s)가 측정되었다. 이 환자는 대퇴 정맥(정맥을 통한 접근)으로 접근하여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해 동맥관을 성공적으로 폐쇄하였다. 본 증례는 PDA를 대퇴 정맥으로 접근하여 vascular plug를 이용해 막은 국내 최초보고이다.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삽입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고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방법의 타당성과 안전성 (Feasibility and Safety of a Technique Intended to Place the Catheter Tip in the Right Atrium without Abutment Against the Cardiac Wall during Implantation of the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 박혜진;서태석;송명규;양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61-170
    • /
    • 2024
  • 목적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 이식 시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위치시키는 기술의 타당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완전이식형 정맥 접근 포트를 삽입하고 추적관찰 CT를 시행한 환자 총 33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정맥 접근 포트는 절개선에서 직접 액와정맥으로 접근하는 단일절개법을 적용하여 이식하였다. 카테터 팁을 자르기 전 정맥 환류를 확인하여 우심방 내벽에 닿지 않도록 위치를 확인하였다. 카테터의 길이 및 연관된 합병증은 의료영상 그리고 의료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카테터 팁은 심벽과의 닿음과 기능장애 없이 성공적으로 위치 조정되었다. 카테터 팁의 위치는 cavoatrial junction 기준으로 fluoroscopy에서 15.3 mm, 첫 번째 CT에서 6 mm 원위부에 있었다(중앙값). 카테터 팁은 fluoroscopy 대비 첫 번째 CT에서 10.4 mm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였다(중앙값). 추적 CT에서 우심방과 상대정맥에서 각각 1건씩의 혈전증이 발견되었다. 결론 카테터 팁을 심벽에 닿지 않으면서 우심방 내 의도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혈전증 발생률이 낮고 기능장애가 없는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쇄골하 정맥 혈전증의 치료 -쇄골 내측절제술 및 내경정맥 치환술- (Treatment of Subclavian Vein Thrombosis - Medial Claviculectomy and Internal Jugular Vein Transposition -)

  • 정성운;손봉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51-454
    • /
    • 2007
  • 흉곽출구 증후군에서 쇄골하 정맥혈전증은 그리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혈전 용해술 및 풍선 성형술 또는 스텐트 등의 시술이 필요하게 되고 수술을 통한 첫 번째 늑골절제술과 정맥수술을 요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경액와 접근법이 아닌 쇄골내측절제술을 통한 구조물 감압과 내경정맥 치환술 후 스텐트 삽입을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두개관 판사이정맥의 직접 관삽입술을 통한 유증상 골내 동정맥루의 색전술: 증례 보고 (Direct Cannulation of a Calvarial Diploic Vein for Embolization of a Symptomatic Intraosseous Arteriovenous Fistula: A Case Report)

  • 조정인;류창우;고학철;신희섭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12-718
    • /
    • 2022
  • 판사이 동정맥루(diploic arteriovenous fistula) 혹은 골내 동정맥루(intraosseous arteriovenous fistulas)는 동정맥 단락의 한 형태로 드물게 발생한다. 판사이 동정맥루에서 누공은 뇌막동맥(meningeal artery)과 골내 판사이 정맥(intraosseous diploic vein) 혹은 이끌정맥(emissary vein) 사이에 형성되고, 누공의 핵은 골내에만 위치한다. 현재, 경막 동정맥루에 대한 대표적 치료 방법은 혈관내 색전술로 대부분이 대퇴동맥/대퇴정맥을 통하여 접근한다. 하지만 혈관내 색전술 시 접근 가능한 통로가 없는 경우에는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접근법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는 이번 증례에서 두개골내 판사이정맥을 직접 천자하여 혈관내 색전술로 치료된 판사이 동정맥루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쇄골하정맥을 통한 매립혈액투석카테터 삽입시 상지 거상법의 유용성: 2예 보고 (Placement of a Subclavian Tunneled Hemodialysis Catheter with the Patient's Arm Raised May Reduce the Risk of Complications: Two Cases Report)

  • 유지민;심동재;김도영;백승환;박창숙;이정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77-482
    • /
    • 2023
  • 매립혈액투석카테터 삽입을 위한 접근로 선택에서 쇄골하정맥은 이후에 동정맥루 접근로 형성을 위해 가능한 사용을 피하는 경로이다. 그러나 반복적 삽관으로 접근 가능한 정맥이 소진되거나 기대여명이 길지 않고 응급 투석이 필요한 경우 쇄골하정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쇄골하정맥을 통한 혈액투석카테터 삽입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쇄골하정맥은 종종 상대정맥과 직각을 형성하여 굵은 혈관초삽입시 혈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지 거상 상태에서 혈관초를 삽입하는 방법은 각도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고식적앙와위 자세로 시술 중 상대정맥 손상이 있었던 환자와 연달아 내원하여 상지 거상 후 안전하게 혈액투석카테터를 삽입한 환자의 각각의 증례를 통해 상지 거상법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팔 오금에서 시행한 관통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ovenous Fistula Using Perforating Vein on Antecubital Fossa)

  • 최광호;윤영철;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42-647
    • /
    • 2010
  • 배경: 팔 오금에서 시행되는 위팔동맥과 자쪽 피부정맥이나 노쪽 피부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 외에 관동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하여 개통률 및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팔오금에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받은 192명 205예의 수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개통률 및 개통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동정맥을 이용한 수술의 6개월, 1년, 2년 개통률은 75.91%, 60.79%, 37.80%으로 다른 혈관을 이용한 수술의 결과와 통계적으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러 인자 중 연령에 따라 개통률에 차이를 보였다(p <0.001). 결론: 팔 오금에서 동정맥루 조성술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관통정맥을 이용함으로써 노쪽 피부정맥과 자쪽 피부정맥을 사용할 수 있어 혈관의 접근 방법이 다양해지고 관통정맥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술식의 어려움이 없어 수술 접근에 대한 추가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화보: 지속성 좌측상대정맥의 이해와 감별 진단 (Pictorial Essay: Understanding of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and Its Differential Diagnosis)

  • 정어람;강은주;전주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846-860
    • /
    • 2022
  • 지속적 좌측상대정맥은 드문 선천성 흉부 혈관 기형이다. 지속적 좌측상대정맥은 일반적으로 혈역학적 영향이 없지만 몇 가지 유형의 지속적 좌측상대정맥과 동반되는 심장 기형은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지속적 좌측상대정맥의 존재는 심장 박동기 또는 중심 정맥 카테터를 배치할 때 왼쪽 쇄골 하 접근을 통한 심장으로의 카테터 삽입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우연히 발견된 지속적 좌측상대정맥을 인식하는 것은 혈관 손상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 좌측상대정맥과 유사한 위치에 있는 다양한 혈관들을 감별하는 것은 향후 흉부혈관시술을 위해서 필요하다. 이번 임상 화보는 지속적 좌측상대정맥의 다중 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을 설명하고 감별이 필요한 다른 혈관들에 대해 요약해 보고자 한다.

유체와류현상과 심장부정맥의 상관성 연구-수치적 접근 (SIMILARITY ANALYSIS OF HEART ARRHYTHMIA WITH FLUID VORTEX-NUMERICAL APPROACH)

  • 심은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1-223
    • /
    • 2010
  • Considering the similarity between fluid vortex and arrhythmogenic reentrant waves in heart, we applied the non-dimensionalization method in fluid dynamics to arrhythmia analysis and discovered a new non-dimensional simulation results, there was a threshold value of the number that resulted in the induction of a reentrant wa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