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류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3초

컴퓨터단층영상에서 TIA를 이용한 간경화의 컴퓨터보조진단 (Computer-Aided Diagnosis for Liver Cirrhosis using Texture features Information Analysis in Computed Tomography)

  • 김창수;고성진;강세식;김정훈;김동현;최석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8-366
    • /
    • 2012
  • 간경화(liver cirrhosis)는 섬유조직의 증식과 재생성 결절 형성의 형태학적인 변화로 2차적으로 간내혈관의 변형 및 간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는 질병이며, 정맥류, 복수와 부종, 간성뇌증, 간암 등의 합병증 동반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간경변증 진단 및 치료에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간 컴퓨터단층영상이 간경변의 진단 및 병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경화의 자동 인식을 위하여 PCA와 TIA 알고리즘을 이용한 특징추출을 통하여 간경변의 자동 검출능력을 알아보고, 각 알고리즘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학습영상과 테스트영상으로 구분한다. 고유영상을 생성시키기 위한 학습영상으로 정상영상이 사용되고, 테스트영상으로는 간경화영상이 사용된다. 간 CT 영상에서 간의 질병 부위를 균등하게 ROI 설정하고, $50{\times}50$ 픽셀 크기로 영상을 저장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로 PCA는 간경화 검출율이 35%로 질병 인식으로 부적합하며, TIA 알고리즘의 AGL, TM, MU, EN는 100% 질병 인식력을 나타내어 간경화 자동 진단 인식으로 가능했다. 또한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여 간경변의 컴퓨터보조진단으로 활용한다면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업무 부담을 줄이고, 일차적 간경변의 스크리닝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TIA 알고리즘을 활용한 자동진단은 질병 진단의 전단계로서 예비판독의 정보를 제공하며 간경변의 조기 진단 및 예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일개 대학병원에서의 소아 위장관 내시경 시술의 최근 경험 (Changes in Pediatric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view of a Recent Hospital Experience)

  • 박경희;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1호
    • /
    • pp.20-27
    • /
    • 2007
  • 목 적: 소아에서 위장관 내시경 시술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고 내시경 기술과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를 분석한 보고가 매우 드물어 한 병원에서 최근 시행된 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소아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4년 6개월 동안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았던 1,0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1,040예의 내시경 검사가 시행되었고 상부 위장관 검사가 840예, 하부 위장관 검사가 200예였다. 결 과: 환자의 남녀비는 1.25:1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이 $8.5{\pm}2.1$세였고 신생아와 영아가 6.0%를 차지하였으며 5세 이하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상부 위장관(UGI) 및 하부 위장관(LGI)의 진단적 내시경 검사는 각각 634명과 163명에서 시행되었다. UGI 검사의 주된 적응증은 복통(38.8%), 구토(19.4%), 이물(17.7%), 토혈(10.3%) 등이었고, LGI 검사의 주된 적응증은 혈변(56.0%), 복통(27.5%), 설사(3.0%) 등이었다. UGI 치료적 내시경술의 종류로는 이물 제거(148예), 식도 협착에 대한 풍선 확장술(27예),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15예), 내시경적 식도 정맥류 결찰술(3예)이 있었다. LGI 치료적 내시경술은 3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용종절제술이 34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술이 3예였다. 내시경술의 합병증으로 식도, 위, 대장의 천공이 각각 1예씩 있었고, 호흡 곤란이 4예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소아의 위장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전 연령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었다. 나이 어린 환자에서의 검사 빈도와 하부 위장관 검사, 다양한 종류의 치료적 내시경 시술이 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적색식용색소인 아마란스의 약동학 특성 및 위장관 투과도 연구 (Pharmacokinetics and the Intestinal Permeability of Amaranth in Rats)

  • 한유진;구수현;남소정;강윤주;권미화;송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12-816
    • /
    • 2017
  • 적색 아조류 타르색소인 아마란스는 인공식용색소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구로 복용하였을 때 위장관 흡수율이나 흡수특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란스의 정맥투여 또는 경구 투여 후 약동학 특성을 평가하고 diffusion chamber system을 이용하여 위장관 흡수율 및 투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맥투여된 아마란스는 38.8분의 소실반감기로 빠르게 혈중에서 소실된다. 그러나 경구투여된 아마란스는 생체이용률도 55.6%로 높은 위장관 흡수율을 나타내며 408분까지 혈중농도가 증가하고 24시간까지 혈중에 남아있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마란스의 위장관 흡수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장의 흡수부위를 공장, 회장사부, 회장하부로 나누어 위장관 투과도를 평가하고 투과성이 잘 알려진 지표물질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아마란스의 위장관투과성은 투과도가 매우 높은 caffeine의 1/3정도의 투과도를 보이고, 중등도의 투과도를 보이는 atenolol과 유사한 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회장상부에서의 투과도가 가장 높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아마란스는 경구투여된 뒤 지속적으로 흡수되며 흡수율도 50% 이상을 보이므로, 식품, 립케어 화장용품, 경구용 의약품에 아마란스 등의 색소가 포함될 경우에는 첨가량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일측 이하선염으로 발현한 가와사키병 1례 (Unilateral Parotitis and Kawasaki Disease in a Child)

  • 류수영;반길호;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3호
    • /
    • pp.214-218
    • /
    • 2014
  • 가와사키병은 일반적으로 특징적인 증상 또는 검사 기준에 근거하여 진단한다. 그러나 가와사키병의 전형적인 증상 없이, 드문 동반 증상으로 먼저 발현하는 경우에 가와사키병의 진단은 어렵다. 저자들은 일측 이하선염으로 발현한 가와사키병 1례를 경험하였다. 23개월 여아가 갑자기 발열과 일측 이하선의 부종과 압통이 있어 화농 이하선염으로 추정 진단받고 항생제로 치료받았으나 발열과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발열 8일째에 발진과 비화농성 결막충혈, 관상동맥 이상 등 가와사키병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과 salicylate를 투약받은 뒤 모든 증상이 호전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일측 이하선염은 가와사키병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증상이지만, 항생제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반드시 가와사키병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겠다.

하지정맥류의 임상양상 - 227 수술예의 분석 - (Clinical Analysis of Varicose Veins in the Lower Extremities - an analysis of 227 operative cases -)

  • 최수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1호
    • /
    • pp.1036-1041
    • /
    • 1999
  • Background: To know the clinical aspects of varicose vein and the effectiveness of operative treatment, th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during the five and a half years were reviewed. Material and Method: From September 1993 to February 1999, 227 patients with varicose vein were operated upon. These patients were reviewed with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laboratory tests, operation and follow up visits at an out patient department. Result: The ages of the patients were from 20 to 69 years, mean 40.2 years. varicose veins. Occupations of the patients include housewives, store or factory owners, cooks, waiter or waitresses in a restaurant, salary men(women), teachers, hair stylists, professional athletes, in sequence, most of them require standing all day long. The 126 women had experienced child birth, among them 116 patients delivered more than 2 babies. All patients had protruding leg veins as the symptom. Most of them(61%) had pain. Other additional symptoms were heaviness, heatness, tingling, cramp, fatigue, etc. 68.3% of the patients had the symptoms for more than 10 years. Anatomical location of varicose vein was in long saphenous vein in 157 patients, in small saphenous vein in 27, and in other regions(combined or perforating vein) in 43 patients.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There were 2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due to recurrence during this study period. In one patient, it recurred in the distal perforating vein in small saphenous vein. The other patient had recurrence at the saphenofemoral junction in groin. The patients are doing well after the reoperation, but a long term observation is needed. Conclusion: Clinical aspects of varicose vein were reviewed. For the patients with varicose vein who had saphenofemoral regurgitation, operative treatment seemed to bea safe and effective modality of treatment.

  • PDF

간경변증에 있어서의 주요 간주사 소견과 식도정맥류와의 상관성에 관하여 (Correlation of Major Scan Findings and Esophageal Varices in Liver Cirrhosis)

  • 안재성;박용휘;임정익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2
    • /
    • 1970
  • In an endeavor to help understand some typical scan findings and portal hemodynamics in liver cirrhosis, several commonly occurring scan changes and esophageal varices as demonstrated by esophagram were correlated one another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 points. Clinical materials consisted of 34 patients with proven diagnosis of liver cirrhosis and esophageal varices. Liver scan was performed with colloidal 198-Au and the changes in the size and internal architecture of the liver, splenic uptake and splenomegaly were graded and scored by repeated double-blind readings. The variceal changes on esophagrams were also grad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hanks and Kerley following modification. Of 34 patients, 91% showed definite reduction in liver volume (shrinkage) constituting the most frequent scan change. The splenic uptake and splenomegaly were noted in 73.5 and 79.4%,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revealed n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d scan findings including shrinkage of the liver, splenic uptake or splenomegaly and severity of variceal changes of the esophagus. Exceptionally, however, apparently paradoxical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the severity of mottlings and varices. Thus, in the majority (73.5%) of patients mottlings were either absent or mild. This interesting observation is in favor of the view held by Christie et al. who consider the mottlings to be not faithful expression of actual scarring of the cirrhotic liver. This also would indicate that variceal changes are to be the results of intrahepatic arteriovenous shunting of blood with hypervolemic load to the portal system rather than simple hypertension secondary to fibrosis and shrinkage.

  • PDF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 내 혈전의 성공적 용해요법과 장기 치료 및 경과 1례 (Thrombolytic Therapy and Long Term Follow-up Study in a Child with Kawasaki Disease Complicated by Giant Coronary Aneurysm with Thrombosis)

  • 문수정;이수야;나경희;박선영;김은영;김경심;김용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302-307
    • /
    • 2003
  • 환아는 3개월된 영아로 발병 10일째에 본원에 내원하여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했으며 발병 2주에 시행한 심초음파상 거대 관상동맥류를 보였다. 이에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투여와 aspirin과 dipyridamole로 치료 중 발병 24일째 혈전증이 동반되어 urokinase와 heparin의 IV 투여를 통한 혈전용해 치료로 혈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후 5년간 aspirin, dipyridamole, coumadin을 투여하면서 심전도와 심초음파검사를 반복하며 외래 추적 관찰 중 점차 좌측관상동맥내 혈전이 증가하고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소견과 함께 협착이 의심되었다. 발병 5년 후 시행한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상 관상동맥 좌측 전하지가 완전 폐색되고 우측관상동맥으로부터 발달한 측부순환에서 혈류를 공급받고 있었고, 핵의학 검사상 좌심실의 전벽과 중격, 일부 외벽에 완전 가역적 관류 결손을 보였던 가와사끼병 환아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좌측 총폐정맥 환류이상의 수술 교정 - 1례 보고 - (Operative Correction of Total Left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 A Report of one case -)

  • 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962-967
    • /
    • 1990
  • The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of the entire left lung wa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anomaly. The reported surgical experience with correction of this disorder was limited. The 3-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an operation upon the unilateral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from the left lung, in which the left superior pulmonary vein drained into innominate vein and the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into the coronary sinus,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symptoms were nonspecific except frequ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Cyanosis was not seen. On auscultatory findings, a grade 2/6 systolic ejection murmur was audible over left second intercostal space of left sternal border and second heart sound had an increased pulmonary component which was widely splitted. The electrocardiogram demonstrated a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and right axis deviation and chest X-ray showed slightly increased pulmonary vascularity and bulged pulmonary conus. The echocardiogram demonstrated increased right atrial, ventricular, and pulmonary arterial dimension, and also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and enlarged coronary sinus. The cardiac catheterization confirmed the left-to-right with a Qp/Qs of 2.0: 1 and oxygen step-up was seen in pulmonary artery, right ventricle, right atrium, and left innominate vein, and the catheter was not been introduced into the left pulmonary vein. A median sternotomy incision was done. Left superior pulmonary vein was drained to the innominate vein through anomalous vertical vein and the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drained to right atrium through the coronary sinus. The diversion of the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to posterior wall of left atrium was done after division in the proximity of coronary sinus. The anomalous vertical vein was diverted to base of left atrial auricle and then a atrial septal defect was sutured directly.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she was discharged on the eleventh postoperative day. In the postoperative follow-up-2 months, she has been well without specific problems.

  • PDF

귀비탕(歸脾湯)으로 호전된 뇌경색을 동반한 하지정맥류 환자 치험 1례 (A Case of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with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Guibi-tang)

  • 이해연;조현석;김정철;이재은;이재준;배동주;공경환;백태현;박정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3-639
    • /
    • 2004
  • A varicose vein of the lower limbs is dilated, tortuous and elongated vein. Western medical treatment involves conservative management, sclerotherapy, and surgery. Currently, internal medicinal treatment is inadequate. Recently a patient was diagnosed with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based on clinical symptoms. In this case, Guibi-tang was administered and clinical symptoms improved. This report suggests that oriental medicinal treatment is efficacious in treating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We think that further oriental medical studies on various surgical diseases are needed.

  • PDF

바다빙어과 빙어 (Hypomesus nipponensis)의 심실 구조 (The Structure of the Ventricle in the Heart of the Pond Smelt, Hypomesus nipponensis (Osmeridae))

  • 박노관;류동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8-232
    • /
    • 2015
  • 빙어의 심실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빙어의 심장은 정맥동, 심방, 심실 및 동맥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심실의 외벽은 심내막, 심근층, 심외막하층 및 심외막으로 구분되었고, 심방과 심실 사이의 방실판막 및 심실과 동맥구 사이의 구실판막이 관찰되었다. 심실은 주머니 모양이었으며, 심근층은 해면성 심근으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관상혈관은 분포하지 않았다. 심실에서 소주들은 중심 내강과 작은 내강들을 형성하였으며, 소주는 원기둥 모양이었다. 심외막하층, 방실판막 및 구실판막에서 아교질의 분포가 관찰되었으나 소주에서는 심실의 기저부에서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소주들 사이에서는 심내막교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육봉형 빙어가 서식환경 및 생활양식에 적응한 결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