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맥내 투여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1초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장내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 (EFFECT OF ADMINSTRATION METHOD OF FLUMAZENIL ON THE PLASMA CONCENTRATION AND THE REVERSAL OF SEDATION INDUCED BY MIDAZOLAM)

  • 박성규;이상호;이창섭;이난영;오유향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9-508
    • /
    • 2005
  •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중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3-25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비강으로 midazolam을 투여하여 진정시킨 후 flumazenil을 비강내과 정맥내를 통하여 투여한 다음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농도의 변화와 함께 생징후 및 진정 정도를 측정하여 flumazenil의 길항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flumazenil의 투여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 등의 생징후는 변화가 없었으나 맥박은 일시적인 상승이 있었다(P<0.05). 2. Flumazenil은 비강내 투여 및 정맥내 투여 등 투여 방법에 관계없이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를 일시적으로 환원시키며 투여 방법에 따른 발현 시간의 차이는 없으나 환원 정도와 지속 시간은 정맥내 투여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3. Flumazenil의 비강내 투여는 최고 혈중 농도에 2분, 정맥내 투여는 4분 후에 각각 도달하므로써 흡수 속도는 비강내 투여와 정맥내 투여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4. Flumazenil의 투여 후 수 분 동안 midazolam의 혈중 농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flumazenil은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생징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진정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비강내 투여는 정맥내 투여와 발현 시간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midazolam에 의한 부작용 발현시 응급 처치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항이뇨작용기전 검색(Naproxen을 중심으로)

  • 이한구;유강준;임동윤;고석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85-285
    • /
    • 1994
  • Naproxen을 개의 정맥내 투여하였을때 뇨량의 감소와 더불어 삼투질제거율(Cosm), 뇨중 $Na^{+}$$K^{+}$의 배설율( $E_{Na}$ , $E_{k}$ )의 감소와 신세뇨관에서의 $Na^{+}$$K^{+}$의 재흡수율( $R_{Na}$ , $R_{k}$ )과 K/Na비의 증대를 나타내었으며 신혈류량(RPF)이 감소하였다. 한쪽 신동맥내에 naproxen을 투여하였을때 투여신(실험신)에서의 이뇨작용과 대조신에서의 항이뇨작용을 나타내었다. 경동맥에 naproxen을 투여하였을때도 뚜렷한 항이뇨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두경우에서의 항이뇨 작용시의 신기능변화는 정맥내 naproxen의 경우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경동맥내의 naproxen의 항이뇨작용은 신신경 제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정맥내로의 arachidonic acid나 indomethacin의 전처리에 의하여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동맥내의 naproxen은 정맥내의 spironolactone의 이뇨작용을, 정맥내의 spironolactone은 경동맥내의 naproxen의 항이뇨작용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naproxen은 중추성 항이뇨작용과 $Na^{+}$저류를 나타내며 이는 prostaglasdin의 합성억제와 aldosterone양 작용에 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로운 nucleoside계 항암제, ara-CDP-DL-PCA. Na(BR-28702-2)의 체내동태 연구

  • 이신웅;용철순;백우현;신원섭;채희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1-201
    • /
    • 1994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의 실험동물(rat)에서의 체내동태를 HPLC 정량법으로 시행 하였다. Ara-CDP-DL-PCA.2Na의 정맥내 투여(20mg/300g)의 경우 혈장중 반감기는 분포상에 있어서는 평균 20min, 소실상 에서는 4.42hr이었다. 분포 용적은 0.1635Lㆍkg$^{-1}$이었고, 전신 clearance 는 25.63ml.$hr^{-1}$.kg$^{-1}$이었다. 한편 AUC는 2601$\mu\textrm{g}$.hr.ml$^{-1}$이었다. 복강내 주사(1g/kg)의 경우 소실상의 반감기는 3.28hr, AUC는 439.3$\mu\textrm{g}$.hr.ml$^{-1}$이었다.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은 4.4hr이었으며 그때의 농도는 33.19$\mu\textrm{g}$.ml$^{-1}$이었다. 한편 흡수속도 정수는 0.2493$hr^{-1}$이었다. 정맥내 투여에 대한 복강내 투여의 생체 이용율은 1.1252%로 복강내 투여시 흡수율이 좋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투여 시료인 micellar solution이 일종의 약물저장 형태로 작용하여 활성물질을 서서히 방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예비적 대사연구결과 TLC에서 뇨나 담즙으로 배설되는 유의한 농도수준의 ara-CDP-DL-PCA.2Na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생체내에서 enzyme등에 의한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사료되는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을 이용한 충분한 대사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투여와 국소 사용의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Efficacy of Tranexamic Acid dur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ative Study between Intravenous Use and Topical Use)

  • 이현주;안기용;박지연;정영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2-149
    • /
    • 2021
  •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트라넥삼산의 효능을 확인하고,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사용 방법과 관절 내 투여 군을 비교하여 어떤 방법이 혈액 손실 감소 효과가 더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광주보훈병원에서 2017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단측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총 210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트라넥삼산 사용 방법에 따라 각각 70명의 환자들에 대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Group I: 정맥 내 투여 군, Group II: 관절 내 투여 군, Group III: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 그룹 간 수술 후 총 실혈량, 헤모글로빈 감소치, 수혈 단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실혈량은 관절 내 투여 군(1,136±339 ml)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1,366±866 ml)보다 정맥 내 사용 군(987±449 ml)에서 더 낮았다(p=0.004). 수술 후 헤모글로빈의 손실 또한 정맥 내 사용 군(1.8 g/dl)에서 관절 내 투여 군(2.9 g/dl)이나 투여하지 않은 군(3.5 g/dl)보다 현저히 낮았다(p<0.01). 수혈 빈도는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그룹(5.7%)에서 더 높았으며 정맥 내 사용 시 1.4%를 보이고, 관절 내 투여한 군에서 수혈을 받은 환자는 없었다.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트라넥삼산을 사용한 환자 군에서 사용한지 않은 군에 비해 총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관절 내 투여보다는 정맥 내로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정맥 내 투여로 인한 합병증은 관절 내 투여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idazolam을 이용한 의식진정시 flumazenil의 투여경로에 따른 생징후 및 행동양상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TAL SIGN AND BEHAVIOR APPEARANCE DEPENDING ON THE ROUTE OF FLUMAZENIL ADMINISTRATION IN CONSCIOUS SEDATION BY MIDAZOLAM)

  • 김현식;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9-16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midazolam을 이용한 의식진정 시 길항제인 flumazenil의 투여경로에 따른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2{\sim}24$세의 건강한 15명의 자원자를 이용하였으며, 그들은 midazolam 0.2mg/Kg을 비강내 분무하여 진정하였으며, midazolam 투여 40분 후 길항제인 flumazenil 0.2mg을 정맥 내 투여 및 비강 내 투여하였다. 각 투여경로의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이 실시되었다. 대상의 생징후를 관찰하기 위해 pulse oxymeter(Nellcor symphony N-3000, Nellcor Puritan CO., USA)을 이용하여 $SaO_2$ 및 맥박수를 관찰하였고, 전자혈압계(Heartcare 200, National CO., Japan)을 이용하여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대상의 주관적 평가를 위해 visual analogue scale(VAS)를 이용하여, 진정, 수면, 피로 그리고 태도에 대해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은 특이할 부작용없이 회복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강내 분무된 flumazenil은 정맥내 투여된 flumazenil에 비해 빠른 회복을 보였으나, 곧이어 정맥내 투여에 비해 깊은 수면상태에 빠졌다. 2. 비강내 투여된 flumazenil 및 정적내 투여된 경우 모두 주의할 부작용 및 생징후의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회복의 목적으로 비강내 분무된 flumazenil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midazolam을 이용한 의식진정시 flumazenil의 비강 내 분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식진정하 치과치료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하지만, flumazenil의 적절한 용량 및 효과를 알기위해, midazolam과 flumazenil의 혈장농도를 평가하는 약물동력학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 사료된다.

  • PDF

소아환자의 Midazolam의 정맥투여 용량에 따른 진정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DIFFERENT INTRAVENOUS MIDAZOLAM DOSAGES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 김은영;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6-426
    • /
    • 2005
  • 소아환자는 치과치료시 다양한 방법의 진정요법이 요구된다. 정맥내 투여방법은 약효의 발현이 빠르고, 진정의 심도 및 시간을 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idazolam은 현재 의과 및 치과영역에서 성인의 진정요법에 가장 널리 쓰이며, 심혈관계와 호흡계에 대한 영향이 적은 진정 약제이다. 그러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진정요법의 소아치과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와 보고는 적은 편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에서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투여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투여용량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진정요법으로 2회 이상의 구치부 치료가 필요한 건강하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4.7{\pm}10.7$개월, 평균 몸무게는 $18.1{\pm}3.0kg$이었다. 술전 투약으로 0.3mg/kg, 최대 5mg의 midazolam을 근육내 투여 후 30~50%의 $N_2O-O_2$를 병용투여한다. 이중 맹검법에 의해 모든 환자는 두 번의 내원 중 임의로 한번은 0.1mg/kg(I군)을, 다른 한번은 0.2mg/kg(II군)의 초기 용량의 midazolam을 정맥내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가투여시에는 초기용량의 1/2을 투여하였다. 치료시 환자의 생징후를 측정하였고, 행동양상은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술자는 Houpt가 제시한 기준을 응용하여 임상적 치료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였다. 몸무게에 대한 총 투여용량은 I군에서 0.16mg/kg, 2군에서 0.24 mg/kg 이었다. 생징후의 경우 두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행동양상평가에서 II군에서 바람직한 행동양상(Quiet)의 비율이 높았고, 임상적 성공률은 II군에서 높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작용 발현시간은 II군에서, 회복시간은 I군에서 빨랐고, 약물 투여 횟수는 I군에서 많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새로운 nucleoside계 항암제, ara-CDP-DL-PCA.Na(BR-28702-2)의 약효연구 및 급성독성 시험.

  • 백우현;신원섭;채희상;노정구;강부연;차신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69-169
    • /
    • 1994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 ara-CDP-DL-PBA.2Na, 및 ara-CDP-DL-PMA.2Na 3종의 BR-8702-2의 micellar soultion을 투여시료로 하여 제암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DBA/2J 마우스(평균 체중 25g, 수컷)에 L$_{1210}$임파성 백혈병 세포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는 실험계 에서 400mg/kg/day, 단회투여 및 80 혹은 100mg/kg/day, 1~5일간 투여로 ILS%값이 229~543으로 우수한 제암력을 보였다. 또한 BDF$_1$ mice(15~20g)의 axillary region에 3㎣의 Lewis Lung Tumor를 피하로 이식한후 약물투여를 통한 제암효과를 관찰하였다. 100, 200, 300mg/kg/day의 단회 투여계 에서는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 한편, 20, 40, 6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 에서는 ara-CDP-DL-PCA.2Na만이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에 역순하여 저농도인 2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그때의 ILS%는 32.3%였고 투여기간중의 체중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COM 370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투여시료로한 micellar solution의 입자도를 분석한 결과 ara-CDP-DL-PCA.2Na는 4.2nm size의 것이 99.48%를 차지하고 있었다. ara-CDP-DL-PCA.2Na의 ICR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투여에서의 LD$_{50}$값은 암,수컷 모두 5000mg/kg이상 이었고, 정맥내 투여 에서는 432mg/kg이었다. 실험과정중 생존동물의 일반적 이상소견등은 없었으나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서 체중증가 억제현상이 있었다.

  • PDF

비장동맥에 선택적으로 투여한 Interleukin-2와 $^{99m}Tc-Phytate$ 혼합물의 생체내 분포 (The in Vivo Distribution of $^{99m}Tc-Phytate$ IL-2 Complex on Selective Splenic Arterial Injection)

  • 전석길;이희정;손수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4-126
    • /
    • 1992
  • Interleukin-2 (IL-2)는 많은 immunoenhancing lymphokine의 한 종류로서 lymphokine activiated killer (LAK) cell의 생성을 자극시켜 흑종의 종양세포를 죽인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간종양에서 비장동맥 또는 간동맥으로 투여한 IL-2가 비장의 임파계를 자극하여 LAK cell을 생성하여 어느정도효과가 있음이 밝혀지면서, 여러가지의 투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의 투여 방법에서 실제로 투여한 IL-2의 인체내 분포에 관한 연구는 없다. 저자들은 비정맥과 간문맥에 이상이 없는 증례의 비동맥에 IL-2와 $^{99m}Tc-phytate$ 혼합물을 투여하고, IL-2의 생체에서의 비장과 간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99m}Tc$의 radioactivity를 계측하여 보았다. 6예의 간세포암과 3예의 위암으로부터의 전이성간암에서 동맥조영술적방법을 이용하여 초선택적 비장동맥에 투여한 IL-2와 $^{99m}Tc-phytate$ 혼합물이 비장 27%, 간73%의 분포를 보여 비장을 거쳐온 $^{99m}Tc$의 방사능이 간에 많이 침착함을 확인하였고 간과 비장이외의 부위 즉 골수, 복수 또는 폐장이나 늑막에는 전혀 방사능 분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정맥이나 간문백에 이상이 없는 증례에서 IL-2의 비장동맥 투여는 목적하는 바 IL-2의 생체내 분포를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traventricular Antimicrobial Therapy for Intractable Ventriculitis: Two Case Reports

  • Lee, Ji Weon;Yoon, Yoonsun;Kim, Sang-Dae;Kim, Yun-Kyu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46-53
    • /
    • 2022
  • 뇌실염은 일반적으로 정맥 내 항생제를 통하여 치료하나, 불응성 뇌실염의 치료는 정맥 내 항생제 치료와 뇌실 내 항생제 치료의 병행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항생제의 뇌실 내 투여는 정맥 내 단독 투여보다 뇌척수액에서 더 높은 항생제 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증례 보고는 기존의 전신 항생제 치료에 불응하는 폐렴 간균과 메티실린 내성 표피 포도상 구균에 각각 뇌실 내 겐타마이신과 반코마이신 투여를 통하여 뇌실염을 치료한 2례로서 이후에도 주요 합병증 등이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개에서 Remifentanil과 Propofol에 의한 완전 정맥 내 마취 시 Doxapram 투여가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oxapram on Cardiopulmonary Function in Dogs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ith Remifentanil and Propofol)

  • 윤성호;권영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1-498
    • /
    • 2015
  • 개에서 remifentanil과 propofol을 사용한 완전 정맥내 마취에서 doxapram의 점적투여가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았다. 수컷 비글견 1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무작위로 5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군에서 전 마취제로 medetomidine을 $20{\mu}g/kg$ 정맥주사 하였고 remifentanil과 propofol의 점적 투여로 1시간 30분 동안 마취하였다. 마취 시작 시, 각 그룹 별로 지정된 용량의 doxapram을 병용 투여하였다. D1 군은 doxapram 0.25 mg/kg을 투여한 후 $8.33{\mu}g/kg/min$의 속도로 점적 투여했다. D2 군은 doxapram 2 mg/kg을 투여한 후 $66.66{\mu}g/kg/min$의 속도로 점적 투여했다.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외과적 마취기를 평가하고, 혈액 가스 분석, 호흡수, 심박수, 동맥혈압을 측정하였으며 마취회복기 동안의 행동변화를 관찰 기록하였다. 외과적 마취기는 마취기 전반에 걸쳐 모든 군에서 잘 유지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D2 군에서 호흡수의 유의적인 상승이 있었으며 (p < 0.05), 동맥혈 산소 분압과 산소 포화도에서는 doxapram 처치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상승을 보였다(p < 0.05).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은 고농도 처치 군인 D2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보였다(p < 0.05). 수축기 동맥혈압, 이완기 동맥혈압, 평균 동맥혈압은 D2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심박수와 pH는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개에서 remifentanil과 propofol을 사용한 완전 정맥내 마취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저산소증이나 저혈압과 같은 심폐 기능 저하를 doxapram의 점적 투여가 진통 작용에 경감 없이 완화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