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DMINSTRATION METHOD OF FLUMAZENIL ON THE PLASMA CONCENTRATION AND THE REVERSAL OF SEDATION INDUCED BY MIDAZOLAM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장내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

  • Park, Seong-Kyu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Oh, You-Hyang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박성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오유향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reversion of sedation induced by midazolam with flumazenil and to determine the plasma concentration of flumazenil according to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Intranasal and intravenous flumazenil were administered to sedated health volunteers aged from 23 to 25 years, in doses typical of those used clinically to induce sedation with midazolam and for reversal with flumazenil. Objective assessment for degree of sedation and vital signs, plasma concentration were made for 2 hours period. 1.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pO_2$ were not changed by adminstration of flumazenil in sedated subject with midazolam, but pulse rate was increased temporarily. 2. Flumazenil showed the reversal of the sedative effect induced by midazolam regardless of administration methods. But intravenous administration showed more effect on the degree and the duration of reversion than intranasal administration with the exception of on set time. 3. Peak plasma concentration of flumazenil administered by intranasal route reached after 2 min and that of flumazenil administered by intravenous route was 4 min. Thus uptake of flumazenil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adminstration route. 4. Administration of flumazenil resulted in the temporary increase of midazolam plasma concentration.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중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3-25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비강으로 midazolam을 투여하여 진정시킨 후 flumazenil을 비강내과 정맥내를 통하여 투여한 다음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농도의 변화와 함께 생징후 및 진정 정도를 측정하여 flumazenil의 길항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flumazenil의 투여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 등의 생징후는 변화가 없었으나 맥박은 일시적인 상승이 있었다(P<0.05). 2. Flumazenil은 비강내 투여 및 정맥내 투여 등 투여 방법에 관계없이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를 일시적으로 환원시키며 투여 방법에 따른 발현 시간의 차이는 없으나 환원 정도와 지속 시간은 정맥내 투여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3. Flumazenil의 비강내 투여는 최고 혈중 농도에 2분, 정맥내 투여는 4분 후에 각각 도달하므로써 흡수 속도는 비강내 투여와 정맥내 투여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4. Flumazenil의 투여 후 수 분 동안 midazolam의 혈중 농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flumazenil은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생징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진정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비강내 투여는 정맥내 투여와 발현 시간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midazolam에 의한 부작용 발현시 응급 처치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