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량평가방법

Search Result 2,59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Feasibility Study on the Risk Quantification Methodology of Railway Level Crossings (철도건널목 위험도 정량평가 방법론 적용성 연구)

  • Kang, Hyun-Gook;Kim, Man-Cheol;Park, Joo-Nam;Wang,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05a
    • /
    • pp.605-613
    • /
    • 2007
  •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quantitative risk analysis such as complexity of model, we propose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risk quantification of railway system which consists of 6 steps: The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the determination of major scenarios for each risk factor by using event tree,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fault trees for evaluating branch probabilities, the evaluation of event probabilities, the quantification of risk, and th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ccident situ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addres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 methodology, this framework is applied to the prototype risk model of nation-wide railway level crossings. And the quantification result based on the data of 2005 in Korea will also be presented.

  • PDF

연구계획서 평가시 정량지표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분석

  • 연경남;이성종;이종현;송충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96-607
    • /
    • 2004
  • 연구개발활동에 관한 평가를 수행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방법이 동료평가(peer review)방법이지만, 최근에는 동료평가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량지표(bibliometric indicator)의 도입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는 이를 위해 새로운 정량지표로서 첫째, 동료평가와 정량지표의 점수 배분비율로 각각 $70\%$$30\%$로 하고 둘째, 과거 5년 간 가장 우수한 논문 10편만을 대상으로 정량지표를 작성하며 셋째, 각 논문이 게재된 저널이 속한 분야 저널들의 impact factor 순위를 백분율로 적용하여 이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며 넷째, 논문에서의 저자 역할에 따라 점수를 차등화하고 공동저자의 논문 실적이 주저자의 논문실적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량지표는 과거의 정량지표가 가지고 있었던 한계를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료평가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 Methodology for Driver's Comfort Evaluation (운전자의 안락감 평가 방법)

  • 김선웅;박세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1-176
    • /
    • 2002
  • 자동차 시트 시스템의 개발은 주요한 연구 과제가 되어 왔으며, 이러한 분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 로 두 개의 형태로 나누어지는데, 그 첫 번째는 자동차 시트의 위치나 인체 측정학적인 요구 조건에 대한 연구이고, 두 번째는 시트의 안락감 성능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후자인 시트의 안락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안락감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정성적인 평가방법과 정량적인 평가 방법이 있다. 과거에는 주로 정성적인 평가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정량적인 평가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각 방법들에 대한 장ㆍ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IT Investment Performance (IT 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Lee, Jae-Beom;Hong, Yu-Jin;Chang, Yun-Hi;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83-692
    • /
    • 2006
  • IT투자 성과의 정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학계와 연구단체에서 IT투자 성과의 화폐가치 전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양한 측정방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기법을 활용하여 IT투자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IT투자성과의 정량적 평가 기법을 도입한 기업의 실무자들은 화폐가치로 전환되어 도출된 결과들이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IT가 제공하는 실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평가되었는지에 대하여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IT투자 성과의 정량적 평가 결과를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 IT투자 성과의 정성적인 평가로 입증된 사용자 만족도로써 설명이 가능한지를 사례 기업의 정량적 평가결과와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화 효과금액은 사용자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합리적인 정보화효과금액의 도출을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시스템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화폐전환데이터의 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IT ROI는 시스템간의 성과를 비교하는 것에는 부적절하며 개별시스템의 성과 및 효율성 측정 기준으로 사용한다. 넷째, 정량적 평가가 여전히 시스템의 전략적인 부분 등에 대한 평가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만족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 PDF

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현병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3 no.1
    • /
    • pp.85-99
    • /
    • 2000
  •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따라 제기된 지적재산권을 포함한 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적재산권 특히 특허기술의 가치평가방법은 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기술별 기술이전가치 측정에 있으며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방법론을 적용시키고 있다 이는 기존의 기술가치평가방법론으로 사용되어온 정서적 가치평가방법에서 정량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기술평가기법연구의 발전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neuroimaging methods for assessing localized brain volume changes in Korean human brain MRI images (한국인 뇌MRI영상을 이용하여 국부 해부학적 영역별 분석 프로토콜 및 정량 평가방법 개발)

  • Kim, Tae-Hoon;Jeong, Chang-Won;Kim, Youe Ree;Chae, IlSeok;Kim, Ki-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64-1065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인 뇌MRI영상을 이용하여 대뇌 영역별 분석 프로토콜과 정량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정상인을 대상으로 뇌용적량을 정량 분석하고자 한다. 뇌MRI영상 분석 프로토콜을 최적화하기 위해 먼저 뇌용적 변화에 있어 평가방법을 선정하고, VBM 후처리과정은 MRI영상 신호불균질성 교정, 조직세분화 방법, 대뇌 표준영상 제작, 신호 편평화(smoothing) 과정을 단계별로 최적화하였다. 이 정량분석 프로토콜은 정상인과 뇌질환 환자의 뇌용적 비교뿐만 아니라 환자 약물 치료 전·후에 나타나는 용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Quantitativ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Software Development Artifacts based on CBD (CBD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의 정량적 품질 평가 모델)

  • 김승훈;이길섭;이승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11-513
    • /
    • 2004
  • 정보화 시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품질 프로세스와 품질 관리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ISO/IEC 9126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을 연구하고 ISO/IEC 14598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 평가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국방 분야에서는 CBD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CBD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산출물 검토 방법은 체계적인 절차와 기준이 없으며 더 나아가 정량적인 품질 평가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BD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에 대한 정량적 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방 CBD 방법론의 단계별 활동과 활동별 산출물을 살펴보고 품질 평가 대상을 선정하며 대상별 내ㆍ외부 척도를 통해 점검표를 만든다. 그리고 점검표를 통한 점검결과를 분석함으로써 CBD 기반 개발 산출물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 PDF

Develop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Screening the Research Grant Applications (연구지원 대상자 선정을 위한 정량평가 모형개발)

  • Yoo, Jin-Man;Han, In-Soo;Oh, Keun-Y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541-549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quantitative screening methods for the Grant Funding system and seeks for the efficient evaluation of a number of proposals. We search foreign cases of Grand Funding, but we found no appropriate model for using in Korea. Thus, we had to develope our own model for better screening. First, we analyse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and find some problems and challenges. Second, we suggest a quantitative screening system for Grant Funding with a numeric model, and operates a tedious simulation by using the previous data and our suggested model. Third, we test the suggested model and find the optimal model by using simulation method The number of data analysed for simulation is larger than 200 thousands. Last, we suggest some brief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in the paper.

A Quantitative Method for Quality Improvement of Information System Audit Evaluation (정보시스템 감리평가 품질 향상을 위한 정량화 방법)

  • Lee, Ki-Young;Kim, Young-Ho;Han, Ki-J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4
    • /
    • pp.173-184
    • /
    • 2012
  • As a result of the compulsory of information system audit and a rise in audit demand, the quality improvement of information system audit is being emphasized. However, since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heavily depends on the auditor's experience, skill, and subjective judgments, it incurs distrust i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audit results from audit interest person. Furthermore, so far research activities aimed at securing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audits have not been adequately carried ou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method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evalu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overall information system audit through securing complianc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udit. The quantitative method is largely composed of two sectors, such as evaluation areas and items, scores calculation for evaluation items, and can generally apply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standard to information system audit evaluation.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Component-Based Software)의 사용편의성 평가방법론

  • Kim, J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47-450
    • /
    • 2011
  • 현대 사회의 소프트웨어 사용편의성 평가는 기존의 사용편의성 평가 방법론들보다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들이 나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한 체계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사용편의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사용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측면인 수행도와 정성적인 측면인 사용자 만족도를 모두 고려하게 된다. 사용자 만족도에는 감성, 학습성, 가시성으로 구성되고 수행도는 효율성과 효과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