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관

검색결과 913건 처리시간 0.028초

흰쥐의 적출 정관 수축성에 대한 ${\gamma}$-Aminobutyric Acid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amma}$-Aminobutyric Acid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안기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82-395
    • /
    • 1992
  • GABA는 중추신경계의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로서 $GABA_A$수용체 또는 $GABA_B$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작용, 항 불안 작용, 및 근이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말초조직에도 GABA가 존재하며 신경조정인자 혹은 신경전달인자로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정관에 대한 자율신경 지배는 아드레날린성, 콜린성과 비콜린성 비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들이 분포하고 있으나, 종 혹은 부위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들의 수축성에 대한기여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전립선 부위 정관의 기본장력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대한 교감 신경성, 부교감 신경성 및 퓨린성 효현제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정관의 흥분성 약물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미치는 GABA 및 GABA 관련 약물의 영향을 관찰함으로서 정관의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작용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흰쥐(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조에 현수하고,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 muscimol 및 baclofen은 전기장자극(0.2 Hz, 1 msec, 80 V) 유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력은 GABA, baclofen 그리고 muscimol 순이었다. 2. GABA의 억제작용은 $GABA_B$ 수용체 길항제인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GABA_A$ 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3. Baclofen의 억제작용은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muscimol의 억제작용은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4. Norepinephrine과 ATP는 농도 의존적으로 정관의 수축력을 증가 시켰으나 acetylcholine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GABA, baclofen 및 muscimol은 정관의 기본 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GABA는 norepinephrine과 ATP 유발 수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적출 정관을 20초간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ATP 수용체 탈감작제인 mATP를 전처치한 경우에는 FPC가 감소되었고, 신경원에서 catecholamine을 고갈시키는 reserpine을 전처치한 경우에는 STC가 감소되었다. 7. GABA는 mATP를 전처치한 군에서는 정관의 전기장 유발 수축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reserpine을 전처치한 군에서는 전기장 유발 수축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정관의 전립선 부위에는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기전과 퓨린성 신경전달기전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으며, GABA는 주로 신경원의 $GABA_B$ 수용체를 통하여 ATP의 유리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진품 확인 시스템을 활용한 고려 인삼의 세계화 전략

  • 권혁인
    • 한국인삼전략화협의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삼전략화협의회 2003년도 제4차 한국인삼약초산업 전략화 세미나
    • /
    • pp.29-53
    • /
    • 2003
  • "[ $cdot$ ]브랜드 전략 - 정관장 쌀(?) $ ightarrow$ 이천쌀, 여주쌀 - 정관장, 한삼인, 금산인삼 $ ightarrow$ 고려인삼(안성인삼, 강원이삼, 풍기인삼, 등) $cdot$정보전략 - 마케팅과 연계한 정보전략 $cdot$상품전략 - 생산자별로 차별화 할 수 있는 지"

  • PDF

흰쥐 정관의 수축성에 미치는 Octreotide의 영향 (Effects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장선애;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44-156
    • /
    • 1993
  • Octreotide는 somatostatin 동족체로서 8개의 aminoacid로 구성된 합성 polypeptide이다. 이는 외분비선과 내분비선, 특히 위의 분비기능과 췌장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며 somatostatin에 비하여 체내 반감기가 길고 장기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출혈, 급성췌장염, 그리고 소화기관의 분비선에 나타나는 종양의 치료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somatostatin이 말초 교감신경에 존재하며, 신경전달인자 또는 신경조정인자로서 작용할것이라는 보고와 임상적용시 혈압과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흥미를 가지고 그 유도체인 octreotide가 말초 교감신경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흰쥐 (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험조에 현수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흰쥐 적출정관은 전기장 자극(duration : 1 mSec, voltage: 50 V, frequency: 5 Hz or 30 Hz, train: 10 Sec)에 대하여 first phasic component (FPC)와 second tonic component (STC)로 구성된 수축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축반응은 tetrodotoxin($10^{-6}M$) 전처치로 소실되었다. Octreotide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반응을 FPC, STC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24 시간 전에 reserpine(1 mg/kg, IP)을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을 고갈시킨 흰쥐에서 적출한 정관 절편과 beta-gamma-methylene ATP를 전처치하여 퓨린성 수용체를 탈감작시킴으로써 ATP의 작용을 배재한 정관절편의 전기장 유발 수축을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octreotide의 모든 수축 억제 작용들은 5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30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octreotide는 정관 절편의 기본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외부에서 첨가한 norepinephrine과 ATP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octreotide는 흰쥐적출 정관의 교감신경성 신경원으로부터 ATP와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그 수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적출(摘出) 기니아-픽 정관(精管)에 있어서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의 作用(작용)에 대(對)한 Prostaglindin $E_1$의 강화작용(强化作用) (Potentiating Effect of Prostagliandin $E_1$ on the Action of Sympathomimetics in the Isolated Vas Deferens of Guinea-Pig)

  • 홍기환;강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40
    • /
    • 1974
  • 기니아-픽 및 백서정관(白鼠精管)에 대(對)한 $PGE_1$의 작용(作用)과 이들 조직(組織)에 있어서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의 작용(作用)에 미치는 $PGE_1$의 효과(效果)를 보고 나아가서 계양막(鷄羊膜)에 대(對)한 $PGE_1$의 작용(作用)을 관찰(觀察)하였다. 1. 기니아-픽 적출정관표본(摘出精管標本)에서 $PGE_1$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phenylephrine이나 norepinephrine의 작용(作用)이 증강(增强)되었으며, 하복신경(下腹神經)-근표본(筋標本)에서 신경자극(神經刺戟)이나 trans-mural stimulation에 의(依)한 수축(收縮)에 미치는 phenylephrine, norepinephrine 및 tyratnine의 작용(作用)이 $PEG_1$ 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증강(增强)되었다. 특히 긴장상승(緊張上昇)이 현저(顯著)하였다. 2. 백서정관(白鼠精管)의 하복신경(下腹神經)-근표본(筋標本)에서는 기너아-픽 정관(精管)에서와는 달리 $PGE_1$을 처리(處理)함으로써 신경자극(神經刺戟) 및 transmural stimulation에 의(依)한 수축고(收縮高)가 서서(徐徐)히 감소(減少)되고, $PGE_1$을 전처치(前處置)한 후(後)에도 $10^{-6}g/ml$ phenylephrine 또는 norepinephrine에 의(依)한 긴장상승(緊張上昇)이나 수축고(收縮高)의 증가(增加)는 나타나지 아니 하였다. 3. 신경섬유(神經纖維)가 제거(除去)된 기니아-픽정관(精管)에 있어서는 $PGE_1$ 전처치(前處置)에 의(依)하여 phenylephrine 또는 norepinep. hrine의 작용(作用)이 증가(增加)되나 denervation 된 백서(白鼠)의 정관(精管)에 있어서는 $PGE_1$ 처리(處理)로서는 norepinephrine의 작용(作用)에 하등(何等)의 영향(影響)을 주지 아니 하였다. 4. 계양막평활근(鷄羊膜平滑筋)의 자발운동(自發運動)은 저농도(低濃度) $PGE_(10^{-8}g/ml)$에 의(依)하여 거의 변화(變化)를 받지 아니 하나, 농도(濃度)가 增加(增加)함으로서 자발운동(自發運動)은 불규칙(不規則)하나 대체(大體)로 억제적(抑制的)으로 나타났었고, $PGE_1$ 전처치후(前處置後) 고농도(高濃度) phenylephrine을 작용(作用)시켰으나 구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 하였고 physostigmine의 작용(作用)은 길항(拮抗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PGE_1$은 동물(動物)의 정관(精管)에 대(對)한 작용(作用)에는 종(種)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PGE_1$은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에 의(依)한 기니아-픽 정관수축작용(精管收縮作用)에 대(對)하여 supersensitivity를 야기(惹起)시켰으며, 이는 정관평활근(精管平滑筋)에 대(對)한 직접작용(直接作用)이 아닌 다른 작용기전(作用機轉)에 기인(基因)할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

임신전 불임 수퇘지 종부 및 무정자정액 주입에 의한 미경산돈의 산자수 증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crease of Litter Size by Infusion with Sterile Boar and Their Semen before Gestation in Gilts)

  • 연정웅;김동덕;정흥우;성환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67
    • /
    • 2003
  • 본 연구는 초임전 임신항원인자로 정소상체제거 및 정관절제 수퇘지를 종부하거나 무정자 정액을 사용하였을 때 미경산돈의 번식향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신항원인자의 주입에 따른 번식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7∼8개월령의 교잡종 미경산돈을 160두 공시하였다. 시험돈은 4개의 시험군으로 나누었으며, 처리는 A처리구는 정소상체제거 교배, B처리구는 무정자 정액, C 처리구는 정관절제 교배, D처리구는 무처리하여 각구당 40두를 배 치 하여 완전임의배치법으로 하였다. 미경산돈의 초임시 총산자수는 A, B, C 및 D 처리구가 각각 10.05, 10.44, 11.63 및 9.97두로 가장 많은 처리구는 정관절제교배구인 C처리구였다(P<0.05). 비경산돈의 생존산자수는 총산자수와 유사하였다. 특히 C처리구는 10.70두로 9.12 및 9.11 두인 A군과 무처리보다 많았다(P<0.05). 반면 정관절제군과 무정자 처리구간에는 총산자수 및 생존산자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미경돈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교배후 6일에서 C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러나 8일 이후에는 다른 처 리구보나 낮았다. 한편 혈중 cortisol농도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임신전 정관절제 수퇘지나 무정자정액을 항원으로 주입으로 미경산돈의 산자수 증가에 의한 번식효율을 증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경산돈의 산자수 증가를 위한 항원으로 정관절제 수퇘지나 무정자정액을 자궁에 주입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산 일부 지역의 영구불임 피술자들에 대한 사회의학적 조사 (Sociomedical Study on the Person Recieved Permanent Sterilization Method in Busan Area)

  • 송일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2권1호
    • /
    • pp.70-78
    • /
    • 1979
  • 1978년 1월부터 동년 12월까지 대한가족계획협회 부산 진료소에서 영구피임을 목적으로 정관수술과 난관수술을 받은 1,5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의학적인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구피임수출수용자들의 연령은 $30{\sim}34$세군이 44.7%로 가장 많았으며 정관수술수용자들은 영도구(48.3%)에서, 난관수술수용자는 동구(38.0%)에서 각각 제일 많았다. 2. 교육정도는 정관수술수용자들은 고등학교졸업군(49.2%)에서, 난관수술수용자들은 국민학교 졸업군(47.0%)에서 각각 가장 많았다. 3. 영구피임술을 받기 전에 사용한 피임방법으로는 경구피임약 사용이 제일 많았으며 피임방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군은 54.1%었다. 4. 영구피임수술을 받기 전까지의 결혼생활 기간은 $5{\sim}9$년군이 가장 많았다. 5. 정관수술수용자들의 현존 자녀수는 2.54명이고 난관수술수용자는 3명이었다. 6. 평균임신회수는 정관수술수용자들은 2회, 난관수술수용자들은 3회였으며 인공유산회수는 1회가 가장 많았다. 7. 피임수술을 권고 받게 된 동기별로는 정관수술수용자들은 예비군훈련시 가족계획교육이, 난관수술수용자들에게는 어머니회에 의하였다는 것이 가장 많았다. 8. 대상자들의 주거상태는 셋방이 69.4%로서 가장 많았다.

  • PDF

특별기고 - 대학입학사정관 양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

  • 양성관
    • 대학교육
    • /
    • 통권160호
    • /
    • pp.67-72
    • /
    • 2009
  • 2009년 정부가 발표한 대학입학사정관제 3단계 정착방안 중 1단계 입학사정관제 내실화 단계가 진행 중이다.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입학사정관 전문양성과정을 운영하여 입학사정관 인력풀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입학사정관 전문양성 훈련프로그램 지원기관으로서 5개 대학이 선정되었다.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입학사정관 양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