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합부 성능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31초

Post-Northridge WUF-B 접합부 골조의 내진 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Post-Northridge WUF-B Connections Frame)

  • 한상환;문기훈;정지은;이기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51-76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Welded Unreinforced Flange-Bolted web(WUF-B) 접합부로 설계된 골조의 내진 성능 평가를 수행 하였다. WUF-B 접합부의 설계는 FEMA 350에서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FEMA 350에 따르면 WUF-B 접합부 골조를 보통모멘트 골조(Ordinary Moment Resisting Steel Frames: OMFSFs)로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를 위해 WUF-B 접합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패널존 강도 비를 변수로 하여 Post-Northridge WUF-B 접합부 해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해석 접합부 모델을 이용하여 SAC Phase II에서 사용된 3층, 9층 골조를 모델링 하고 내진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방법 중 비선형 정적 푸쉬오버 해석을 통하여 Post-Northridge 접합부 골조의 연성능력과 최대 모멘트 강도비, 최대 층간변위비를 구하였고, Incremental Dynamic Analysis(IDA)를 통해 각 성능 레벨(IO, CP)지점에서의 최대 층간변위비를 구하였다. 해석 결과는 Pre-Northridge 접합부 골조와 ductile 접합부 골조의 성능과 비교 검토 하였으며 접합부 상세 보강이 이루어진 Post-Northridge 접합부 골조의 성능이 Pre-Northridige 접합부 골조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재(木材)-금속(金屬)플레이트 접합부(接合部)의 하중(荷重)-변위(變位) 특성(特性) 및 조합하중성능(組合荷重性能)에 대한 모형 분석 (II) - 조합하중모형(組合荷重模型)과 실험적(實驗的) 입증(立證) - (Load-Displacement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ve Load Capacity Model for Metal Plate Connections in Wood(II) - Interactive Load Capacity Model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

  • 박문재;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2-18
    • /
    • 1995
  • 고도(高度)의 엔지니어링 구조물(構造物)로 경제성이 높은 경량(輕量) 목조(木造)트러스에 사용될 수 있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재(材)에 적용한 20게이지 아연도금 강(鋼) 플레이트 접합부(接合部)의 조합하중(組合荷重) 및 모멘트 성능(性能)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밀도를 개선(改善)한 편심가력(偏心加力) 장치(裝置)를 창안하여 실험하고 반강절(半剛節) 접합부의 개념(槪念)과 가상(假想)일 법(法)을 적용한 모형을 유도하여 비선형(非線形) 해석(解析)하였다. 반강절(半剛節) 접합부(接合部)의 개념을 도입하여 저자가 유도한 비선형(非線形) 모형으로 조합하중 하에서의 접합부 거동을 해석한 결과, 금속 플레이트 접합부의 모멘트는 Wolfe 모형에 비하여 정확도가 높은 값으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비선형모형에서 접합부의 반강성(半剛性)에 의한 2차적인 모멘트의 영향을 적절히 고려한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장치는 조합하중에 대한 금속 플레이트 접합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시험법(標準試驗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비선형(非線形) 해석방법(解析方法)은 조합하중(組合荷重)및 모멘트 성능(性能)을 예측(豫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고성능 FRP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 성능 평가 및 개선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or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Using High Performance Embedded FRP)

  • 하기주;신종학;강현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85-392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보-기둥 접합부 및 내진 성능의 개선을 위해 보-기둥 접합부 영역을 기존의 강판 및 FRP보강재(탄소섬유 쉬트, 매입형 탄소섬유봉)를 사용하여 보강한 후 내진 성능을 평가 하였다. 총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내진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이 연구의 실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부 영역(LBCJ 시리즈)를 보강한 결과 초기 재하시 접합부 영역의 균열 억제 효과와 재하 전 과정을 통하여 보강재의 구속 효과로 인하여 균열 억제 효과가 커서 안정적인 파괴 형태 및 내력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FRP보강 기술 적용 실험체 LBCJ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LBCJC와 비교하여 최대 내력은 26~50% 증가하였다. 그리고 에너지 소산 능력은 변위 연성 4에서 13.0~14.4% 증가하였다.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합성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Seismic Performance of Composite Beam-to-Column Joints Using Wedges)

  • 박종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63-68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합장치인 자동체결장치(Self-Locking Connectors)를 사용한 강재보-PC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C기둥(또는 합성기둥)과 강재보로 이루어진 합성모멘트골조는 각각의 재료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한 합리적인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재료 사이의 접합에 따른 어려움으로 인해 접합부의 상세가 복잡해지고 제작비가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자동체결장치는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접합장치로서 시공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접합부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접합부에 비해 내진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강재보-PC기둥(또는 합성기둥) 접합부에 대한 내진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자동체결장치를 사용한 보-기둥 접합부는 우수한 내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르버 보 형식의 PSC 골조시스템의 구조성능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SC Frame System with GerberCs beam)

  • 김상식;최광호;이종규;송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1-346
    • /
    • 2002
  • 이 연구는 게르버 보 형식의 포스트텐션 PC 골조 구조 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해 골조 전체의 구조 성능 시험을 수행하며, 여기서 보-기둥 접합부 및 내민 보-단순 보 접합부의 구조 성능과 골조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시험은 400 mm$\times$800 mm 단면의 경간 3 m 보와 500 mm$\times$600 mm 단면을 갖는 높이 3 m 기둥의 실물 크기 시험체를 제작하여, 기둥에 80 톤의 축 하중을 준 상태에서 단순 보 중앙에 하중을 가력하여 기둥-보 접합부와 단순 보-내민 보 단면 축소 연결부의 구조성능을 파악한다. 시험 결과, 보 - 기둥 접합부는 예상 설계 하중 40톤 이상에서도 강 접합에 가깝게 거동하였고, 단순 보- 내민 보의 단면 축소 연결부는 경사철근의 사용으로 초기 균열 및 균열 확산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예상 설계 전단력 40톤에서 안전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초간편 H형강 기둥-보 약축접합부의 구조성능 및 CO2 저감량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and CO2 Reduction Evaluation of the Ultra simple Wide-shaped section Beam-to-Column Weak Axis Connection)

  • 김상섭;부윤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15-627
    • /
    • 2011
  • 강구조에서 약축에 대한 접합기술 및 연구는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실적 및 접합부 기술발전의 성과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브라켓타입의 약축접합부는 효율적인 시공성 및 $CO_2$배출량의 저감을 위하여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구조성능이 우수하고 $CO_2$배출량이 적은 새로운 형태의 약축접합부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형태의 약축접합부는 구조성능의 검증 및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CO_2$저감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브라켓타입의 약축접합부, 표준약축접합부 및 초간편 약축접합부를 대상으로 구조성능을 검토하였으며, 약축접합에 필요한 접합재료의 소요수량 및 $CO_2$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초간편 약축접합부가 구조성능이 우수하고, $CO_2$배출량도 적으며, 접합재료의 소요수량이 적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여 기존 브라켓타입의 약축접합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골목구조에서 구조재와 오에스비로 구성된 못 접합부의 인발 및 전단성능 (Withdrawal and Lateral Resistance of Nail Joints Composed of Dimension Lumber and OSB in Light-Frame Wood Construction)

  • 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11-220
    • /
    • 2013
  • 경골목조건축에서 못 접합부는 수평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하도록 설계되지만, 바람으로 인한 상향력처럼 인발하중에 직면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골목조건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재와 덮개로 구성된 못 접합부에 대하여 인발성능과 2면 전단시험을 통해 인발 및 측방하중에 대한 내력성능을 시험하고 설계기준에 부합되는 가를 평가하였다. 인발하중에 대한 내력성능은 부재의 비중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으며 I형장선의 경우 낮은 밀도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발성능을 나타내었다. 최대 인발하중은 기준허용 최대 인발하중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단성능도 비중이 큰 낙엽송과 오에스비로 구성된 접합부가 비중이 작은 SPF와 오에스비로 구성된 접합부보다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모두 기준설계치보다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접합부의 변형은 주로 못의 휨 변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F와 오에스비로 구성된 접합부에서의 못의 휨 변형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Box단면 접합부의 Panel Zone 거동특성 (Panel Zone Behavior of Steel Box Connections)

  • 황원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통권33호
    • /
    • pp.683-695
    • /
    • 1997
  • 본 연구는 강제 라멘교각 접합부 panel zone의 전단거동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접합부 시험체 20개에 대한 재하실험 결과와 3가지의 FEM해석 모델에 대한 결과를 제시 하였다. 이와같은 실험및 해석결과를 비교 검토한 결과, panel zone의 강도와 변형 성능은 단면적비와 전단좌굴등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panel zone의 강도와 변형성능에 대한 새로운 평가식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라멘교각 접합부에 대한 변형성능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 PDF

기존 용접형 철골 박스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to Built-up Box Columns)

  • 김태진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5-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1994년 미국 노스리지 지진 이전에 건설된 기존 철골 건물의 용접형 철골 박스기둥과 보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반복재하 실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노스리지 지진 이전 접합상세를 갖는 박스기둥과 보 접합부에서도 H-형강 기둥과 보 접합부 실험결과와 유사하게 취성파단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박스기둥과 보 접합부에서의 플랜지 응력전달 경로가 H-형강 기둥과 보 접합부에서의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고 또한 박스기둥의 형상에 따라 균열 전파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용접형 철골 박스기둥과 보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H-형강 기둥과 보 접합부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박스기둥에 적합한 접합부의 보강상세 개발이 요구된다.

부분PC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 마찰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hear Friction Behavior of Beam-Column Joints of Partial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김상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2호
    • /
    • pp.91-97
    • /
    • 2014
  • 일반적으로 부분 PC 구조에서는 기둥, 보, 그리고 하프 PC 슬래브 등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한 후에 덧침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일체화한다. 따라서 PC 부재가 연결되는 위치에서의 불연속면과 함께 PC 부재의 조립을 위한 걸침길이 확보와 같은 접합부 형상 등으로 인하여 접합부 보강을 위한 구조설계가 필요하다. 보-기둥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PC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접합면에서 전단력 전달 성능은 접합부의 구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로 다른 두 개의 부재가 만나는 면에서는 부재간의 미끄러짐(slip) 현상과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본 연구에서의 접합면 전단에 대해서는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결과에 대해 ACI 기준 및 PCI 설계식을 활용하여 검토하였다. 보-기둥 접합부에 대한 접합면 전단 설계를 ACI 기준 또는 PCI 설계법에 따라 검토한다면,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결과를 고찰하면 보-기둥 접합부에서 PC 보의 걸침길이를 30mm로 하여도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