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열전달 계수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Corrugated Plate Heat Exchanger Utilizing Liquid Crystal Method (액정법을 이용한 주름형상 판형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해석)

  • 박성봉;이재용;김남진;김종보;서태범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28-333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액정법을 이용하여 주름형상 판형 열 교환기에서의 내부유동과 열 전달 성능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였다. 과거에는 실험이 주로 판형 열 교환기의 입·출구에서의 열 전달 성능에만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는 액정법을 이용하여 판형열교환기 셀 표면 위에서의 국소 누셀트수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레이놀즈수가 증가할수록 열 전달 성능은 증가하였으나 마찰계수는 감소하였다. 주름각이 증가할수록 열 전달 성능과 마찰계수는 모두 증가하였다. 국소 누셀트수 분포로부터 열 전달이 잘 일어나는 부분은 주름을 타고 넘어 들어온 두 유동이 만나는 곳이며 또한, 셀의 가운데 부분은 셀의 수직단면적이 커서 셀 표면과 유동의 접촉이 약하므로 작은 누셀트수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Heat and Mass Transfer between Hot Waste Gas and Cold Water in a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직접접촉식 열교환기내에서 물과 배기가스의 직접접촉에 의한 열 및 물질전달)

  • 이금배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6
    • /
    • pp.1171-1178
    • /
    • 1992
  •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heat and mass transfer occurring between hot waste gas and cold water through direct contact in a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This model was then used to obtain an equation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ent based on heat exchanger volume. The diffusion heat transfer rate is 2-3 times larger than the convection heat transfer rate as results of condensation of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waste gas. The boiler efficiency increases over 10%.

직접 접촉방식 열 및 물질교환 장치의 전달현상(II)

  • 김석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5 no.5
    • /
    • pp.413-418
    • /
    • 1985
  • 직접 접촉식 교환장치(이하 직접 교환기라 함)에서 액체의 유통형태의 선택은 매우 다양하며 전달계수 역시 개별적인 상황이나 충전물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일률적으로 제시되지 못 하고 있다. 많은 경우 실험을 통하여 열전달 또는 물질전달계수를 측정하게 되나 개수로, 자유 낙하액체막, 액체분류와 같이 이상화가 가능한 경우, 이러한 전달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론적 또는 반실험적인 해석을 수행하기도 한다. 수많은 관련 연구결과들은 층류유동에 관한 것과 난류유동의 경우로 구분되고(예상되듯이 대부분의 직접교환기의 유통영역은 난류쪽이다), 난류 유통의 해석은 다시 표면갱신이론(surface renewal model), 와류확산계수모델(eddy diffusivity model-macroscopic), 미분형와류모델(differential eddy diffusivity model)로 대별된다. 여기서는 수많은 교환기형태의 자료정리보다 상기와 같이 대별된 액체측 유동영역별로 전달현상해석의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in the Packing Layer With a Solar Desiccant Heating/Cooling System (태양열 데시컨트 냉난방시스템 중 충진층에 있어서의 열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

  • Yohana, Eflita;Choi, Kwang-Hwan;Kim, Bu-Ahn;Kim, Dong-Gyu;Paek, Ki-Dong;Kim,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6 no.3
    • /
    • pp.17-24
    • /
    • 2006
  • 최근에 에너지절약 차원에서 종래의 공조방식을 대신할 새로운 냉난방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는 데시컨트 시스템 중 제습역할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제습기의 충진층 부분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에 관한 일련의 해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제습과정에서 액체흡수제는 충진층에서 열 뿐만 아니라 물질전달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 결과 건물에 냉방 및 난방효과를 가져다 준다. 따라서 이 충진층의 최적 설계가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충진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 양상을 규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금번 실험에서는 공기와 액체흡수제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충진재로써 3cm(직경) ${\times}$ 3cm(높이)인 시판중인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실질적으로 40cm(너비)${\sim}$40cm(깊이)${\times}$40cm(높이)의 충진층을 직접 제작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공기측 열 및 물질전달 계수는 공기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또한 물질전달계수는 열전달계수와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 analysis on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alloy casting with a contact resistance (접촉 열저항을 고려한 합금주조의 응고과정 해석)

  • Kim, W.S.;Lee, K.S.;Im, I.T.;Kim, K.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1 no.1
    • /
    • pp.57-67
    • /
    • 1997
  •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Al 4.5%Cu alloy is numerically studied in the presence of contact resistance between mold and cast. Natural convection is considered in the liquid and mushy regions. The porosity approach is applied to the mushy zone modeling and linear variation of the solid fraction on the temperature is assumed. Results show that the mushy region is wider in the case with a contact resistance compared to the perfect contact con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cast with a temporal variation in the contact heat transfer coefficient changes very rapidly in the early stage of the casting process compared to that with constant contact heat transfer coefficient.

Prediction on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s in a packed layer of a regenerator with a solar desiccant cooling system (태양열제습냉방시스템 중 재생기의 충진층 내 열물질 전달계수에 관한 예측)

  • Eflita, Yohana;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4
    • /
    • pp.36-42
    • /
    • 2010
  • 본 논문은 태양열이용 냉난방시스템 중에서 실제로 액체흡수제를 재생하는 재생탑 내의 충진층에 있어서의 열 및 물질전달의 실험치와 이론적 해석에 의한 결과치와의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특히 물질전달의 극대화를 위하여 충진층 내에서 공기와 흡수제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데,이를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직경이 3cm인 플라스틱제 충진재를 사용하였으며, 흡수제로는 저농도의 염화리튬 수용액이 사용 되었다. 충진층 내에서의 최적 높이를 예측하기 위하여 해석의 모델인 실험장치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론 해석에 있어서 체적 열전달을 고려한 정상상태를 모델화하여 해석하였다. 이 결과, 충진층 내에서 실험치와 이론적인 계산치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충진층의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에는 높이에 따른 재생량의 차이가 없어서 없음을 알 수 있었다.

An Analysis on Direct-Contact Condensation in Horizontal Cocurrent Stratified How of Steam and Cold Water (동방향 성층이상유동에서의 직접접촉 응축현상에 대한 해석)

  • Lee, Sukho;Kim, Hho-J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4 no.2
    • /
    • pp.130-140
    • /
    • 1992
  • The physical benchmark problem on the direct-contact condensation under the horizontal occurrent stratified flow was analyzed using the RELAP5/MOD2 and /MOD3 one-dimensional model. Analysis was peformed for the Northwestern experiments, which involved condensing steam/water flow in a rectangular channel. The study showed that the RELAP5 interfacial heat transfer model, under the horizontal stratified flow regime, predicted the condensation rate well though the interfacial heat transfer area was underpredicted. However, some discrepancies in water layer thickness and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were found especially when there is a wavy interface, and those were satisfied only within the range.

  • PDF

Modeling on the Condensation of a Stable Steam Jet Discharging into a Quenching Tank (응축탱크로 방출되는 안정된 증기제트 응축모델)

  • 김환열;하광순;배윤영;박종균;최상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4
    • /
    • pp.349-356
    • /
    • 2001
  • Phenomenon of direct contact condensation (DCC) heat transfer between steam and water is characterized by the transport of heat and mass through a moving steam/water interface. Since the DCC heat transfer provides some advantageous features in the viewpoint of enhanced heat transfer, it is widely applied to the diversified industries. This study proposes a simple condensation model on the stable steam jets discharging into a quenching tank with subcooled water from a single horizontal pipe for the prediction of the steam jet shapes. The model was derived from the mass, momentum and energy equations as well as thermal balance equation with condensing characteristics at the steam/water interface for the axi-symmetric coordinates. The extremely large heat transfer rate at the steam/water interface was reflected in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estimated from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ones. The predicted steam jet shape(i. e. radius and length) by the model was increasing as the steam mass flux and the pool temperature were increasing, which was similar to the trend observed in the experiment.

  • PDF

A Study on the Transfer of the Oscillator's Motion Information with 2 Degrees of Freedom;Thermal Boundary Resistance (2자유도 진동계의 운동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경계면열저항)

  • Choi, Soon-Ho;Choi, Hyun-Kye;Jin, Chang-Fu;Kim, Kyung-Kun;Yoon, Seok-Hun;Oh,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6a
    • /
    • pp.1102-1107
    • /
    • 2005
  • The analysis of the thermal boundary resistance is very important in the both cases of microscale and macroscale systems because it plays a role of thermal barrier against a heat flow. Especially, since fairly large heat energy is generated in microscale or nanoscale systems with electronic chips, the thermal boundary resistance is a key factor to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those devices. In this study, the transfer of the oscillator's motion information with 2 degrees of freedom is investigated for clarifying the mechanism of a thermal boundary resistance. We found that the transfer of the oscillator's motion information is defined as 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magnitude of it determines the temperature jump over a solid interface. That is, the temperature jump over an interface increases as the magnitude of 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decreases and vice versa.

  • PDF

Subjective Wear Comfort and Related Fabric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Fractal Dimension of Contact Points (Fractal 차원과 면 혼방직물 셔츠의 착용 쾌적감)

  • 김정화;이현영;홍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57-161
    • /
    • 1999
  • 본 연구에서 직물의 열, 수분 전달특성과 KES-FB의 역학적 특성치, 직물표면의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여 주관적 의복 착용 쾌적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험의복에 사용된 직물은 면 100% 평직물, 면/PET 혼방직물, 피치가공된 면/PET 혼방직물, PET 100% 평직물, 알칼리 감량가공된 PET 100% 크레이프 직물이었으며, 실험의복의 형태는 긴 소매 셔츠로 하였다. 착용실험은 온도 29$\pm$0.5$^{\circ}C$, 상대습도 75$\pm$2%RH, 기류 0.15m/s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36명의 여성 피험자(20-23세)들이 참여하였다. 의복 착용감의 하위 구성차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5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제 1 요인은 체온상승, 수분특성과 관련이 있는 온열.발한감이었으며, 제 2 요인은 무게ㆍ두께감, 제 3 요인은 회복특성감, 제 4 요인은 표면접촉감, 제 5 요인은 온냉감으로 구성되었다. 직물의 표면특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도입한 fractal dimension 의 분석값들과 종래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온 KES_FB 의 표면 특성치들이 주관적 착용쾌적감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교해 본 결과, 표면접촉감은 fractal dimension, 접촉점들의 총면적, 접촉점들의 평균 axis ratio, MMD, SMD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합적 착용쾌적감에 대해서는 SMD 를 제외한 척도들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fractal dimension 과 접촉점들의 총면적은 0.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착용쾌적감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fractal dimension 만으로 쾌적감의 74%가 설명되었으며 공기 투과도를 첨가하면 두 변수로 $R^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