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촉대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4초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대(對)한 Ozone가스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제2보(第2報) Ozone가스에 대(對)한 수도품종별(水稻品種別)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ffects of Ozone Gas in Paddy Rice;II. Effect of Ozone Gas on Varieties of Rice)

  • 김복영;김선관;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33
    • /
    • 1982
  • 우리나라 수도(水稻)의 장려(奬勵) 및 준장려(準奬勵) 38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6{\sim}8$엽기(葉期)에 0.3ppm의 ozone가스를 3시간(時間)동안 접촉(接觸)시켜 가스접촉후(接觸後)에 나타나는 피해증상(被害症狀), 피해엽률(被害葉率), 엽연소 함량등(葉緣素 含量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zone가스에 의(依)한 수도엽(水稻葉)의 피해증상(被害症狀)은 은백색(銀白色)및 적갈색(赤褐色)의 반점(斑點)이 엽맥(葉脈)사이에 발생(發生)되였으며,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에는 적갈색(赤褐色)의 반점(斑點)이 많았고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에는 은백색(銀白色)의 반점(斑點)이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빙도(氷稻) $6{\sim}8$엽기(葉期)에 $O_3$가스의 저항성(抵抗性)인 품종(品種)은 팔광(八光)벼, 서광(曙光)벼, 밀양(密陽) 30호등(號等)이였고 감수성(感受性)인 품종(品種)은 관악(冠岳)벼, 진주(眞珠)벼, 한강(漢江)찰벼 등(等)이었다. 3) Ozone가스 접촉(接觸)에 의(依)하여 엽록소감소(葉綠素減少)가 적은 품종(品種)을 밀양(密陽) 21호(號), 팔광(八光)벼, 조생통일(早生統一), 호남조생(湖南早生), 황금(黃金)벼 등(等)이고 엽록소감소(葉綠素減少)가 큰 품종(品種)은 농백(農白), 도봉(道峰)벼, 팔금(八錦), 한강(漢江)찰벼, 진주(眞珠)벼, 관악(冠岳)벼등(等)이었다. 4) Ozone가스에 의(依)한 엽연소 감소율(葉緣素 減少率)과 피해엽율(被害葉率)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RBC의 실제적용(實際適用)을 위한 실험연구(實驗硏究) (An Experimental Study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RBC)

  • 김희정;안영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2
    • /
    • 1985
  • 최근(最近) 오(汚)${\cdot}$폐수처리(廢水處理)에 있어서 고정생물막(固定生物膜)을 이용(利用)한 방법(方法)이, 처리장(處理場) 운전(運轉)에 요구(要求)되는 동력(動力) 및 인력(人力)의 절감(節減)이라는 장점(長點)으로 해서, 활발(活發)히 추진(推進)되어 오고 있으며 또한 국내(國內)에서도, 이를 적용(適用)한 처리장(處理場)이 점차 증가(增加)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고정생물막법(固定生物膜法)의 하나인 RBC(roating biological contactor; 회전생물막(回轉生物膜) 접촉체(接觸體))에 의(依)한 오수처리방법(汚水處理方法)을 실규모(實規模)의 pilot plant를 현장(現場)에 설치(設置), 5개월(個月) 간(間)의 운전(運轉)에 의(依)해 얻어진 결과(結果)를 분석(分析), 1984. 5. 16 환경청(環境廳)에서 고시(告示)(제(第)$84{\sim}8$호(號))한 오수정화시설중(汚水淨化施設中), 회전원판(回轉圓板) 접촉방법(接觸方法)에서 정(定)하는 설나기준(設羅基準)을 실제(實際) 처리장(處理場)에 어떻게 적용(適用)할 것인지에 대(對)한 검토(檢討)를 해보기 위(爲)해서였다. 회전판(回轉板)의 회전속도(回轉速度)와 체류시간(滯留時間)은 오수(汚水)의 BOD제거효율(除去效率)에 큰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며 회전판(回轉板)의 원주달도(圓周達度)가 $18{\sim}20m$/분(分)인 경우가 경제성(經濟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一般) 가정하수(家庭下水)에 대(對)한 RBC조내(槽內)의 체류시간(滯留時間)은 120분(分)(2시(時) 간(間))정도(程度)에서도 BOD제거율(除去率)이 90% 이상(以上)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농도(高濃度) 오빙(汚氷)(BOD $250{\sim}400mg/l$)인데 대(對)해서도 제거율(除去率) $85{\sim}90%$정도(程度)로 양호하였다.

  • PDF

스피츠버겐 페리도타이트에 대한 Lu-Hf 및 Re-Os 동위원소 시스템의 활용: 맨틀-지각간의 성인적 연계성에 대한 고찰

  • 최성희;;;이종익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23
    • /
    • 2010
  • 스발바드 서측에 위치하는 스피츠버겐 하부의 암석권맨틀의 분화시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방사성동위원소 시스템인 Lu-Hf과 Re-Os 시스템을 스피넬 페리도타이트(spinel peridotite)에 활용하였다. 전암에 대한 Re-Os 계통(Re-Os 에러크론, 알루미노크론, Re-결핍연대 등)은 연구지역의 페리도타이트가 대류하는 맨틀로부터 고기원생대/후기시생대에 분리되었음을 지시한다. 흥미롭게도 이런 연대는 페리도타이트내 단사휘석 결정들에 대하여 얻어진 Lu-Hf 에러크론 연대와 일치한다. 또한 시료 내에 지구화학적으로 기록된 현무암질 액의 결핍정도 역시 계통적으로 위의 연대를 지지한다. 위 연대는 스피츠버겐 서측부에 보고된 가장 오래된 지각의 연대와 일치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암석권맨틀이 연약권으로부터 분리된 것은 접촉하고 있는 지각과 동시기적으로 이루어진 사건임을 알 수 있다. 연구지역은 팔레오세 이래로 복잡한 지구조적 응력장 변화(압축에서 신장환경으로의 변화)를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과 커플링된 암석권맨틀이 현존한다는 것은 연구지역내 응력장변화가 대규모의 암석권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을 유발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북극권의 화산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북극권 상부맨틀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듀팔(DUPAL) 같은 부화된 물질의 성인으로 일부의 연구자들이 주장하여 온 디라미네이션된 암석권맨틀의 존재는 설득력이 없다고 판단된다.

  • PDF

조직배양(組織培養)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한 제초제(除草劑) 작용성(作用性) 및 제초제(除草劑)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 연구(硏究) (Tissue Culture Method as a Possible Tool to Study Herbicidal Behaviour and Herbicide Tolerance Screening)

  • 김순철;이수관;정근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4-190
    • /
    • 1986
  • 조직배양(組織培養)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작용성(作用性) 및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의 개선(改善)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해 1985년(年)~1986년(年)까지 2개년(個年)에 걸쳐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 온실(溫室) 및 조직배양실험실(組織培養實驗室)에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하였던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작용성(作用成)을 연구(硏究)하는 데 사용(使用)되는 배지조건(培地條件)으로서는 기존의 MS, $N_6$, $N_6-Y_1$ 등(等)의 배지(培地)는 벼 자체(自體)의 생육(生育)을 50%이상(以上) 억제(抑制)하므로 현미배양배지(玄米培養培地)로서는 적합(適合)하지 않았으며,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가 첨가(添加)되지 않은 순수한천배지(純粹寒天培地)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현미배양방법(玄米培養方法)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농도반응(濃度反應)을 뚜렷이 밝힐 수 있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수도용제초제(水稻用除草劑)은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보다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 억제정도(抑制程度)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광(光)의 유무(有無), 제초제(除草劑) 흡수부위(吸收部位)에 따라 작용성(作用性)의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butachlor, 2,4-D, propanil은 광(光)이 있는 상태(狀態)에서, 그리고 DPX-F5384와 CGA 14264는 광(光)이 없는 상태(狀態)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 영향(影響)이 컸다. 그리고 흡수부위(吸水部位) 반응(反應)에 있어서는 butachlor, chlornitrofen, oxadiazon, BAS-514는 근부(根部)와 유아부(幼芽部)를 동시(同時)에 제초제(除草劑)에 접촉(接觸)됨으로서 벼에 대(對)한 약해정도(藥害程度)가 증가(增加)되었고, 그 외(外) 제초제(除草劑)는 두 접촉방법간(接觸方法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피(E. crusgalli)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傾向)이었으나, 전반적(全般的)으로 벼보다는 생육억제(生育抑制) 정보(程度)가 월등(越等)히 높았으나 butachlor, 2,4-D, chlornitrofen, oxadiazon, pyrazolate 및 BAS-514는 근부(根部)만 접촉(接觸)시켜도 피의 엽록소(葉綠素) 생합성(生合性)을 억제(抑制)시킬 뿐 아니라 생육(生育)이 거의 진전(進展)되지 않았으며, 그 외(外) 제초제(除草劑)들은 근부(根部)와 유아부(幼芽部)를 함께 접촉(接觸)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은 검정방법간(檢定方法間)에 다소차이(多少差異)를 보였는데 유묘검정(幼苗檢定)의 경우는 기존(旣存) 제초제(除草劑)인 butachlor, pretilachlor, thiobencarb, perfluidone, oxadiazon, 등(等)에 있어서는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 > 인도형(印度型) 품종(品種)의 순(順)으로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이 높았으나 DPX-F5384, NC-311, pyrazolate, pyrazoxyfen에 대(對)해서는 오히려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이 가장 낮은 저항성(抵抗性)을 보였으며, 현미검정(玄米檢定)의 경우 butachlor, propanil, chlornitrofen, oxadiazon, 등(等)에 있어서는 유묘검정(幼苗檢定)과는 달리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이 통일형품종(統一型品種)이나 인도형품종(印度型品種)보다 저항성(抵抗性)이 낮게 나타났다. 4) 동일품종(同一品種) 유형내(類型內)에서도 제초제저항성(除草劑抵抗性)의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를 보였는데 유묘검정(幼苗檢定)이나 현미검정(玄米檢定)에서 다같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저항성(抵抗性)을 보인 품종(品種)은 통일형(統一型)의 경우는 밀양(密陽)42호(號), 청청(靑靑)벼, 삼강(三綱)벼가 일본형(日本型)의 경우는 섬진벼가 낙동(落東)벼보다 인도형(印度型)의 경우는 IR50이 IR36보다 높은 저항성(抵抗性)을 보였다. 5) 현미배양방법(玄米培養方法)과 callus 배양방법(培養方法) 다같이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관계(關係)없이 제초제(除草劑) 농도(濃度)에 따른 벼 생육반응(生育反應)이 비슷하였는데,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이 더욱 민감(敏感)하였다. 6)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은 벼 뿐만 아니라 피 (E. crusgalli)에 있어서도 대단히 예민(銳敏)한 반응(反應)을 보였는데, $10^{-9}{\sim}10^{-8}M$의 저농도(低濃度)에서 제초제(除草劑) 종류간(種類間)의 차이(差異)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10^{-7}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제초제성질(除草劑性質)에 관계(關係)없이 모든 제초제(除草劑)가 피의 callus 생육(生育)을 크게 억제(抑制)시켰다.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 중(中)에서 BAS-514가 가장 낮은 농도(濃度)에서도 피의 callus 생육(生育)을 뚜렷이 억제(抑制)시켜 피에 대(對)한 살초력(殺草力)이 탁월(卓越)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callus 생육반응(生育反應)은 광(光)의 유무(有無)에는 큰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 PDF

도마 Lopez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YHS 선수의 성공과 실패 사례 비교 (Kinematical Analysis of Lopez Motion in Horse Vault: Comparison between Successful and Failed Trials)

  • 박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7-174
    • /
    • 2020
  • 본 연구는 세계적인 선수를 대상으로 남자 기계체조 도마 종목에서 로페즈 기술을 수행했을 때 성공 동작과 실패 동작에 따라 운동학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YHS 선수(나이: 27세, 신장: 160cm, 체중: 53kg중)이였고, 14대의 적외선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마 동작을 촬영하였다. 원하는 동작 자료획득과 분석을 위해 19mm 반사 마커 26개를 해부학적 주요지점에 부착시켰고, 15개 분절 신체모델을 사용하여 운동학적 변인 계산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구름판 접촉구간에서 성공 동작의 소요시간이 실패 동작보다 길었으며, 성공 동작은 슬관절의 가동범위를 실패 동작보다 크게 하였다. 둘째, 제1비약에서 성공 동작과 실패 동작의 소요시간은 동일하였다. 성공 동작은 실패 동작보다 짧은 수평이동을 했으며, 높은 수직위치와 도마 착지각을 보였다. 셋째, 도마 접촉구간에서 성공 동작의 소요시간이 실패 동작보다 짧았다. 성공 동작은 도마접촉 순간에 실패 동작보다 좌측 견관절각을 크게 하였다. 넷째, 제2비약에서는 성공 동작의 소요시간이 실패 동작보다 길었으며, 긴 수평이동을 나타냈다. 성공 동작은 도마이륙 순간 우측 견관절각을 크게 하였고, 비틀기 각속도는 빨랐다. 종합하면 YHS 선수가 안정적인 로페즈 기술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도마접촉 순간에 높은 자세로 진입하여 도마이륙 순간에서는 우측 견관절각을 크게하여 빠른 비틀기 각속도를 만들어야 한다. 최대높이와 착지 순간에서는 좌·우견관절각을 작게하여 관성모멘트를 줄이고 신체중심을 낮춰야 할 필요가 있다.

채소원예작물(菜蔬園藝作物)에 대(對)한 가스피해(被害)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1. 무우, 배추, 토마토, 오이에 대한 Ammonia 가스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Preventive Measures of Vegetable Crops to Gases -1. Effect of ammonia gas on radish, chinese cabbage, tomato, and cucumber)

  • 김복영;조재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45
    • /
    • 1987
  • 무우, 배추, 토마토, 오이의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에 가스접촉(接觸) 실내(室內)에서 Ammonia가스를 (0.05, 0.10, $0.2mg/{\ell}$ 농도(濃度)) 주간(晝間)과 야간(夜間)에 각각(各各) 2시간(時間)씩 접촉(接觸)하여 잎의 피해엽율(被害葉率), 엽록소함량변화(葉綠素含量變化), 질소함량변화등(窒素含量變化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Ammonia가스의 엽피해(葉被害)는 토마토가 가장 심(甚)하고 오이가 가장 경미(輕微)하며 주간(晝間)이 야간(夜間)보다 심(甚)하고 질소(窒素) 및 가리증시(加里增施)로 경감(輕減)하였다. 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많을수록 가스피해(被害)가 심(甚)하고 그늘과 야간(夜間)에서 피해(被害)가 경미(輕微)하였다. 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가스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이 감소(減少)되었고, 야간접촉(夜間接觸)에서 감소(減少)가 적었다. 라. 엽중(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가스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되었고 주간(晝間)과 야간접촉(夜間接觸)이 유사(類似)하였다. 마. 엽중질소함량(葉中窒素含量)의 증가량(增加量)과 엽피해율(葉被害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사. 엽피해율(葉被害率)이 큰 토마토가 가스 흡수량(吸收量)이 많았고 엽피해율(葉被害率)이 적은 오이는 가스 흡수량(吸收量)이 적었다.

  • PDF

전면접착형 록볼트의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Effects of Fully-Grouted Rock Bolts)

  • 정해성;문현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9권3호
    • /
    • pp.194-20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록볼트의 역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공동에 설치된 단일 록볼트에 발생하는 축응력 분포, 록볼트-그라우트 접촉면에서의 전단응력 분포와 중립점의 위치를 분석하였으며, 현장의 다양한 지질조건에 대한 록볼트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지반조건과터널크기에서 록볼트의 설치간격과설치길이를 변화시키며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전산해석결과, 최대 인장응력 및 전단응력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중립점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공동의 굴착폭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패턴볼팅으로 보강된 원형공동에서 록볼트에 의한 암반의 봉압효과는 응력 증가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성대 감소효과와지반 변위 감소효과는 각각 소성대 감소비와 변위 감소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록볼트의 보강효과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강효과의 경향분석 결과는 실제 터널의 안정적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성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s Affected by Periodical Submerging)

  • 이석훈;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35
    • /
    • 2004
  • 울산시 사연댐 상류에 위치하여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징을 연구하였다. 현장조사, 전자현미분석기, Χ-선 회절분석기 및 Χ-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암석의 풍화조직 및 광물의 조성변화 조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암석의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양상을 연구하였다. 수장암석의 풍화작용은 퇴적층리와 수직방향으로 발달한 파쇄대 및 균열과 박리현상과 같은 기계적 풍화작용이 현저하다. 이러한 물리적인 풍화현상은 물과 암석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화학적 풍화작용을 가속화시킨 결과 풍화대와 약풍화대에서 석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광물이 용해작용 또는 변질작용을 받았으며, 특히,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현저하여 약풍화대에서 조차 방해석이 완전히 용해되어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점토광물과 같은 이차광물의 형성은 미약한 특징을 보인다. 이 지역의 암석은 일정기간 동안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동결과 해빙이 반복됨으로써 물리적 풍화작용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물의 침투가 용이한 투수성 구조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탄산염광물의 용해작용이 급속하게 일어났다. 자유로운 물의 순환으로 인하여 용해된 원소들이 점토광물과 같은 풍화광물로 침전되지 않고 용탈됨으로써 암석조직이 이완되어 풍화작용이 가속되었다. 퇴적암중 풍화에 극히 약한 탄산염광물의 높은 함량이 강한 화학적 풍화작용의 주 요인으로 보인다.

응력 및 변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엽식 고분자 판막의 유한 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Monoleaflet Polymer to Minimize Stress and Displacement)

  • 한근조;안성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2
    • /
    • 1996
  • 병변이 있는 판막을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공판막으로는 기계식 판막, 고분자 판막 등이 있는데 고분자 판막이 기계식보다 항혈전성이 우수하므로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다. 고분자 판막에는 단엽식, 삼엽식, 젤리피쉬식 등으로 제작되어 연구되고 있는데 이중 단엽식 판막은 제작이 가장 간편하고 심실내 씻김현상이 실제와 유사하며 혈류의 소용돌이 현상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혈압 강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분자 판막의 두께를 얇게 할때 판막이 프레임 위 정상접촉 위치로 부터 탈구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판막의 수직변위를 최소로 하는 지지대 최적위치를 구하고, 그때 판막 끝의 수평 변위 및 판막에서의 응력분포상태를 구한 결과 최적위치는 지지대에 의해 나눠지는 3영역의 폭이 각각 6.2mm, 4.7mm, 5.1mm 일때 이고, 그때 최대 처짐이 0.19mm, 수평 최대변위가 0.047mm 이고 최대 주응력이나 등가응력의 최대치는 판막이 지지대가 접착되는 부위와 비접착 부위의 불연속점에서 발생하여 이 값들은 판막 각 영역의 폭이 커지면 증가함을 알았다.

  • PDF

다층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제습기의 전면 풍속 변화에 따른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Dehumidifier with Multi-layer Type Heat Exchangers Varying Frontal Air Velocity)

  • 구학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23-2327
    • /
    • 2010
  • 저온환경에서의 자동화 설비, 반도체, 제조공정 및 수분 접촉이 되는 화학생산 라인 공정 등의 수분 제거를 위하여 다층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제습장치를 구성하였다. 이 장치의 주요구성은 핀 피치가 다른 증발기 4대, 2대의 압축기, 2대의 응축기 그리고 팽창밸브로 각각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 1 열교환기(증발기)의 전면 풍속을 변화시켜 제습기의 성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제1 열교환기의 정면 풍속을 1.0m/s에서 4.0m/s까지 0.5 m/s의 간격으로 증가시켜 각 측정지점에서 온도와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엔탈피를 구하여 각 열교환기의 냉각능력을 구했다. 그 결과 제1 열교환기의 정면 풍속이 2.0 m/s에서 각 열교환기의 냉각능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