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교대광산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pplication of Geophysical Survey for Detecting the Skarn Ore Deposit (스카른광체를 탐지하기 위한 물리탐사 적용)

  • Park, Chung-Hwa;Jung, Yeon-Ho;Lee, Yong-Dong;Park, Jong-Oh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71-78
    • /
    • 2010
  • The Gagok mine is a contact metasomatic deposit, located at Gagok-myeon, Samcheok city and Cheoram-dong, Taebaek city, Gangwon province. The deposit lies within the limestone of Myobong and Pungchon formations, and exists the contact of intrusive granite porphyr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extension of mineralization in the gallery and around the entrance of the ore deposit, we used the ground magnetic survey, the direct current (dc) resistivity survey using dipole-dipole arra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The ground magnetic survey did not detect the anomalous zone due to ore deposit, while the dc resistivity survey and resistivity tomography survey were successful in delineating the anomalous zone related to the extension of fault toward $N50^{\circ}W$.

산성광산배수 평가 및 처리기술 분석

  • 최정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2a
    • /
    • pp.29-48
    • /
    • 2001
  • 일반적인 폐수처리 시 여러 광물들이 사용되는 데 예를 들면, 수산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은 중화제, 점토는 응집제, 알룸(alum) 및 염화철은 인 제거제로 사용되고 있다. 산성광산배수인 경우에는 알칼리성의 중화제로 석회 (CaO), 석회석 (CaCO$_3$), 가성소다 (NaOH), 탄산나트륨 (NaCO$_3$)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설비비 및 유지비가 많이 들어 몇 십년 동안 계속해서 침출되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산성광산배수 (Acid Mine Drainage, AMD)는 pH가 6.0 미만이고 총산도 (totalacidity)가 총알카리도 (total alkalinity)를 초과하는 물로서 노천광이 가행되었던 지역, 가행중이거나 휴광 또는 폐광된 광산에서 유출된다. 또한 도로사면 절개부나 지하철 터널에서도 황철석(pyrite)이나 백철석 (marcasite)을 함유하는 층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산성수가 침출되어 나오기도 한다.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하천수의 오염이 매우 극심하여 때로는 미생물마저도 그 속에 살 수 없게 된다. 산성광산배수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의 오염범위는 산성수의 양, 농도, 하천에 유입되는 산성수의 분포, 상류에서 흘러드는 오염되지 않은 물의 양, 지류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산성광산배수 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을 포함하여 호주, 일본, 한국, 러시아, 남아연방 등이다. 산성광산배수는 환원환경에서 생성된 석탄층 및 접촉교대 또는 열수에 의해 생성된 금속광이 공기 및 물에 노출되어 생성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국지적인 지역에서 인간이 이 광상들을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대규모로 개발할 때 인간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광산산성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여러 기술이 도입 적용되었으며 일부 기술들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각 기술마다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경비의 과다,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지속성 여부, 공간의 확보 여부, 지역적 특수성에 맞춰 가장 적합한 방법을 채택하여야 하며 꾸준히 채택한 기술의 개량 및 새로운 기술의 첨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산성광산배수 오염지대에 대해 획일적으로 같은 처리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각 지역 또는 광산산성폐수가 유출되어 나오는 광산폐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거기에 맞는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되 처리방법 채택 시 신중을 기할 것이 요망된다.

  • PDF

Gravity Exploration Inferring the Source Granite of the NMC Moland Mine, Jecheon, Chungbuk (충북 제천 NMC 몰랜드 광산의 관계 화성암에 대한 중력탐사)

  • Shin, Young Hong;Yoo, Bong Chul;Lim, Mutaek;Park, Yeong-Sue;Ko, In S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2
    • /
    • pp.107-119
    • /
    • 2014
  • NMC Moland mine, which is classified as a contact replacement or skarn deposit, has been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Daebo igneous activity which intruded into the Joseon Supergroup, because it is quite closely located to Jecheon granite. However,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was recently suggested that the mine could be related with the hydrothermal fluid originated from Cretaceous granitic rocks, bringing about skarnization and Mo mineralization. Here we present an interpretation on the source granite of the mine based on the gravity exploration: the gravity anomaly, unlike the surface geology, shows that the Muamsa granite could be the related granite of the mine, because its hidden subsurface structure is expected to be more widely extended to surrounding area of the mine and deeper than the Jecheon granite.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Janggun Pb-Zn Mine (장군광산(將軍鑛山)의 탐사(探査)와 개발현황(開發現況))

  • Kho, Suck J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0 no.4
    • /
    • pp.289-303
    • /
    • 1987
  • 당(當) 광산(鑛山)은 1936년(年) 금(金), 은(銀) 광종(鑛種)으로 출원(出願)하였다가 1940년(年) 망간을 추가(追加)하여 망간 광산(鑛山)으로 1975년(年)까지 Mn(30~35%) 110,000여(餘)톤을 생산(生産), 국내생산량(國內生産量)의 70%를 점(占)하였고 1976년(年) Mn광상(鑛床) 하부(下部)에 연(鉛), 아연(亞鉛) 유화광(硫化鑛)을 발견(發見), 현재(現在)까지 Pb十Zn=10% 이상(以上) 원광석(原鑛石) 500,000여(餘)톤을 처리(處理), 연정광(鉛精鑛)(Pb : 62%) 37,000여(餘)톤, 아연정광(亞鉛精鑛)(Zn : 46.5%) 37,000여(餘)톤, 유비광정광(硫砒鑛精鑛)(As : 30%) 5,000여(餘)톤을 생산(生産)하였다. 현재(現在) 일처리(日處理) 220톤 선광장(選鑛場)을 일처리(日處理) 400톤 규모(規模)로 증설계획중(增設計劃中)이다. 당(當) 광산(鑛山)에서 현재(現在)까지 시행(施行)한 갱외시추(坑外試錐)는 75개공(個孔) 18,500여(餘)m, 갱내시추(坑內試錐) 750개공(個孔) 40,000여(餘)m 갱도(坑道) 총연장(總延長) 13,000m에 달(達)하며 지표(地表)(623ML)로 부터 수직(垂直) 300m 하부(下部)까지 갱도(坑道)가 개착(開鑿)되어 있다. 당(當) 광산(鑛山)의 지질(地質)은 여러 조사서(調査書)에 의(依)하여 견해(見解) 차이(差異)를 보여주고 있으나 대체(大體)로 다음과 같은 쪽으로 인정되고 있다. 즉(卽) 본지역(本地域) 루층군(累層群)의 층순(層順)을 하위(下位)로 부터 상위(上位)로 향(向)하여 원남층(遠南層)${\rightarrow}$율리통(栗里統)${\rightarrow}$장산규암층(壯山珪岩層)${\rightarrow}$두음리층(斗音里層)${\rightarrow}$장군석회암층(將軍石灰岩層)${\rightarrow}$동수곡층(東水谷層)${\rightarrow}$재산층(才山層)의 순위(順位)로 보며 장산규암층(壯山珪岩層)과 두음리층(斗音里層)을 조선계(朝鮮系)의 양덕통(陽德統)으로, 장군석회암층(將軍石灰岩層)을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으로, 동수곡층(東水谷層)과 함탄층(含炭層)인 재산층(才山層)을 평안계(平安系) 지층(地層)으로 대비(對比)한다. 이들은 본지역(本地域) 북(北)쪽에서는 선(先)캠브리아기(紀)의 원남층(遠南層)과 율리통(栗里統)을 불정합(不整合)으로 덮고 남측(南側)에서는 재산층(才山層)과 원남층(遠南層)이 단층접촉(斷層接觸)하고 있다. 이들 지층(地層)의 주향(走向)은 $N60^{\circ}{\sim}80^{\circ}W$, $N60^{\circ}{\sim}80^{\circ}E$이며 경사(傾斜)는 대체(大體)로 $50^{\circ}{\sim}80^{\circ}N$이며 전체적(全體的)으로 역전(逆轉)된 층서(層序)를 보여주는 바 지질구조(地質構造)에 있어서 단사구조(單斜構造)인지 등사(等斜)습곡의 향사(向斜), 또는 등사(等斜)습곡이 배사구조(背斜構造)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화성암체(火成岩體)는 본지역(本地域) 서측(西側)에 쥬라기(紀) 춘양화강암(春陽花崗岩)이 불규칙(不規則)한 실입(實入) 접촉면(接觸面)을 보여주며 시대미상(時代未詳)(백악기(白堊紀)?)의 거정화강암(巨晶花崗岩), 반화강암(半花崗岩)이 소암주상(小岩株狀)으로 몇 곳 실입(實入)하고 산성(酸性)~중성(中性)의 맥암(脈岩)과 염기성(鹽基性) 안산암질암(安山岩質岩)이 실입(實入)해 있다. 광상(鑛床)은 장군석회암층(將軍石灰岩層)에 배태(胚胎)되어 있는 열수교대(熱水交代) 연(鉛), 아연(亞鉛), 은등(銀等)의 혼합(混合) 유화광상(硫化鑛床)으로 다량(多量)의 Mn분(分)을 수반(隨伴)하며 지표부(地表部)에 Mn광상(鑛床)을 형성(形成)하고 있다. 광상(鑛床)의 형태(形態)는 괴상(塊狀), 각력(角礫)pipe상(狀), 맥상(脈狀)으로 나타난다. 광상(鑛床)의 성인(成因)과 생성시기(生成時期)에 대(對)하여 많은 논란(論難)이 있다. 즉(卽) 열수교대(熱水交代)냐, 접촉교대(接觸交代)냐, 동시퇴적기원(同時堆積起源)이냐, 또는 생성시기(生成時期)가 쥬라기(紀)인지 백악기(白堊紀)인지에 대해 이론(異論)이 있다. 본지역(本地域) 광상(鑛床)은 남본(南本), 100우(右), 북(北), 유비철(硫砒鐵), 동(東), 서(西), 재남(才南), 재동(才東), 110호(號) 등(等)이 지표(地表) Mn로두광화대(露頭鑛化帶)와 관련(關聯) 명명(命名)된 바 전(前)4자(者)는 하부(下部)에서 유화광상(硫化鑛床)이 확인(確認)되었으나 나머지 후자(後者)에서는 아직 하부(下部)에 유화광상(硫化鑛床)이 확인(確認)되지 않고 있으며 남본광상(南本鑛床)으로 부터 남동(南東) 300여(餘)m 지점에 장군석회암층(將軍石灰岩層)과 동수곡층(東水谷層) 경계부(境界部)에 Fe 55~60% 자철광상(磁鐵鑛床)이 확인(確認)된 바 신례미(新禮美) 자철광상(磁鐵鑛床)과 유사성(類似性)이 있는 것 같아 흥미(興味)롭다. 당(當) 광산(鑛山)의 현재(現在)까지의 탐광(探鑛)은 남본광상(南本鑛床) 지표로두(地表露頭)(Mn) 하부(下部)에서 확인(確認)된 연(鉛), 아연(亞鉛), 은(銀) 유화광체(硫化鑛體) 하부(下部)와 전탐(電探)에 의(依)해 확인(確認)된 북광체(北鑛體), 갱도접근중(坑道接近中)에 확인(確認)된 100우광체(右鑛體), 유비철광체(硫砒鐵鑛體) 등(等)의 하부(下部) 탐광(探鑛)을 주(主)로 하고 지표(地表) Mn로두(露頭) 하부(下部)에 대(對)한 시추탐광(試錐探鑛0을 병행(竝行)하고 있으며 시추(試錐)에 의(依)해서 지표(地表)로 부터 790m 하부(下部)(해발(海拔) 200ML)까지 광화대(鑛化帶)가 확인(確認)되었다. 향후(向後) 탐광방침(探鑛方針)을 확고(確固)히 수립(樹立)하기 위(爲)하여는 광상(鑛床)의 성인구명(成因究明)은 물론(勿論) 광상(鑛床)의 배태조건(胚胎條件)에 있어 지질구조규제(地質構造規制)와 화강암(花崗岩)의 실입상(實入狀)과의 관계(關係), 광액(鑛液)의 통로(通路)에 대(對)한 지질구조(地質構造), 모암(母岩)의 화학(化學)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대(對)한 연구(硏究) 검토(檢討)가 었어야 하겠다.

  • PDF

Mineralogical Studies on Sulfide Ore Species of the Tong Myeong Tungsten Deposits (동명중석광산산(東明重石鑛山産) 유화광물(硫化鑛物)의 광물학적(鑛物學的) 연구(硏究))

  • Lee, Pyeong-Koo;So, Chil-Sup;Kim, Se-Hyun;Yun, Seong-Taek;Kim, Moon-Y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19 no.spc
    • /
    • pp.207-226
    • /
    • 1986
  • The skarn type tungsten deposits in Jechon area are developed in the contact aureole of Jurassic granodiorite and lower Paleozoic limestone beds. The Tong Myeong mine contains scheelitebearing skarns found at and near the contacts between crystalline limestone and hornfels. Although the skarns are heterogeneous, there are clear patterns in the preferred associations and nonassociations of minerals on all scales. The skarn show a zonal arrangement from limestone to hydrothermal vein as follow: wollastonite skarn, clinopyroxene skarn, clinopyroxene-garnet skarn, garnet skarn, and vesuvianite skarn. Scheelite, abundant in all skarn units except wollastonite skarn and also in quartz veins near orebodies, is everywhere strongly correlated with pyrrhotite. It is implied that it was a stable phase throughout the evolution of the zoned skarns, at least in pyrrhotite.forming environments. Deposition of scheelite was probably widely caused by increasing $a_{Ca^{2+}}$ in the fluid, resulting from associated and interrelated reactions: $FeCl_2\;aq+H_2S\;aq{\rightarrow}FeS+2H^{+}+2Cl^-$; and $CaCO_3+2H^+{\rightarrow}Ca^{+2}+H_2CO_3$. The spectral reflection powers of nine sulfide species were studied, for three mineralization stage. The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tral reflectivity profiles are significant in their control of other optical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ckers microhardness and the optical symmetry for the minerals studied are discussed. Broad radicle groupings of the sulfides can be made with regard to the reflectivity-microhardness values.

  • PDF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Skarn Zinc-Lead Deposits in the Yeonhwa-Ulchin Mining District, Southeastern Taebaegsan Region, Korea Part II : The Yeonhwa II Mine (연화(蓮花)-울진광산지대(蔚珍鑛山地帶) 스카른연(鉛)·아연광상(亞鉛鑛床)의 구조적(構造的) 및 성분적(成分的) 특징(特徵) 기이(其二) : 제2연화광산(第二蓮花鑛山))

  • Yun, Suckew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12 no.3
    • /
    • pp.147-176
    • /
    • 1979
  • The Yeonhwa II zinc-lead mine is characterized by a dozen of moderately dipping tabular orebodies of skarn and zinc-lead sulfid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NE-trending bedding thrusts and bedding planes of the Pungchon Limestone and underlying Myobong Formation, mostly along the contacts of a ENE-trending sill and a NW-trending dike of quartz mononite porphyry. The orebodies occur in three groups: (1) the footwall Wolgok orebodies with respect to the sill, (2) the hangingwall Wolgok orebodies, and (3) the Seongok orebodies extended from dike contacts into carbonate beds. Mineral compositions of these orebodies are dominated by calc-silicates (skarn) associated with ore minerals of sphalerite, galena, and chalcopyrite, as well as sulfide gangue of pyrrhotite. A pair of exo- and endo-skerns in the Wolgok footwall contact aureole between the Pungchon Limestone and quartz monzonite porphyry on the -120 level represents a well-developed symmetrical pattern of mineral zoning: a garnet/quartz zone in the center of exoskarn, two zones of pyroxene with ore minerals on both sides of the garnet/quartz zone, further outwards-an epidote/chlorite-bearing hornfelsic zone in the Myobong slate beyond a zone of unaffected limestone, and an epidote-dominated zone of endo skarn on the opposite side toward fresh quartz monzonite porphyry. These features indicate a combination of two effects on the skarn formation: (1) differences in composition of the host rocks(sedimentary and ignous), and (2) progressive outward migration of inner zones on outer zones on the course of metasomatic replacement of the pre-existing minerals. Microprobe analyses of garnet, pyroxene, pyroxenoids, epidote, and chlorite for nine major elements on a total of 23 mineral grains revealed that: the pyroxenes are hedenbergitic, in most zones, with a gradual decrease of Fe- and Mn-contents toward the central zone, whereas the garnets are andraditic in outer zones, but are grossularitic in the central zone. This indicates a reverse relationship of Fe-contents between pyroxene and garnet across the exoskarn zones. Pyroxenoids are lacking in wollastonite but are dominated by pyroxmangite, rhodonite and bustamite, indicating a Mn-rich nature in bulk chemistry. Pseudomorphic fluorite after garnet occurs abundantly reflecting a fluorine-enhanced evidence of the skarn-forming fluids. Epidote contains 0.19-0.25mole fraction of pistacite, and chlorite is Mn-rich but is Mg-poor. Sulfide mineralization took place with the most Fe-rich pyroxene rather than with garnet as indicated by the fact that the highest value of hedenbergite mole fraction occurs in the ore-bearing pyroxene zone. The Yeonhwa II ores are characterized by high zinc and low lead in metal grade, with minor quantity of copper content in almost constant grade. The hangingwall Wolgok and Seongok orebodies, that formed in a more open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ir local configurations of geologic setting, are more variable in metal grades and ratios, than are the footwall Wolgok orebodies formed in a more closed condition in a narrow interval of sedimentary beds.

  • PDF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lgok-Seongok Orebodies in the Gagok Skarn Deposit : Their Genetic Implications (가곡 스카른 광상 월곡-선곡 광체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성인적 의미)

  • Choi, Bu-Kap;Choi, Seou-Gyu;Seo, Ji-Eun;Yoo, In-Kol;Kang, Heung-Suk;Koo, Min-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5
    • /
    • pp.477-490
    • /
    • 2010
  • The Gagok stratabound skarn deposit is the result of the intrus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pluton into the Paleozoic calcareous rocks. The subvolcanic intrusion ranges in composition from quartz monzonite to granite porphyry with I-type, calc-alkaline and weakly peraluminous characteristics. Both endoskarn and exoskarn are developed at the Gagok Zn-(Pb) deposit, with more exoskarn than endoskarn.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Seongok and Wolgok orebodies can be treated in terms of self-organization. Sphalerites in the Gagok ore can also incorporate minor amounts of Mn, Cd, Cu and In.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orebodies vary because fractionation of a given element into sphalerite is influenced by form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sphalerite in the ore. A group of high In/Zn and Cd/Zn ratios in ores, and low Mn/Fe ratios in sphalerites are correlated with proximal processes of a magmatic source. The pattern of minor/trace element variations in ores and sphalcrites can be used for petrogenetic interprctation, e.g., orebody zonation related to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fluid d sources.

Banded and Massive Iron Mineralization in Chungju Mine(I): Geology and Ore Petrography of Iron Ore Deposits (충주지역 호상 및 괴상 철광상의 성인에 관한 연구(I) : 지질 및 광석의 산출특성)

  • Kim, Gun-Soo;Park, Maeng-Eon;Enjoji, Mamoru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7 no.6
    • /
    • pp.523-535
    • /
    • 1994
  • The strata-bound type iron ore bodies in the Chungju mine are interbedded with metamorphic rocks which are intruded by Mesozoic granitic rocks. The iron ore deposit occurs as layer or lens shape which are concordant with the metamorphic rocks. The iron ore is classified into banded and massive types based on the mode of texture and occurrence. Grain size and iron-oxides tend to become coarser toward massive ore than banded ore. Banded ores commonly contain internal layers defined by alternating magnetite- rich, hematite-rich, magnetite-hematite, and quartz-rich mesobands. The banded iron ore consists of hematite, magnetite, quartz, feldspar, and minor amounts of biotite, muscovite, chlorite, carbonates, epidote, allanite, and zircon. Massive or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high magnetite content occur in contact of granitic rocks. The massive iron ores consist mostly of magnetite and quartz, with minor amounts of hematite, pyrite, microcline, biotite, muscovite, chlorite, carbonates, epidote, allanite and zircon. Magnetite from banded and massive ores is almost pure $Fe_3O_4$ in composition, including 0.14 to 0.27 wt.% MnO and 0.10 to 0.15 wt.% MnO, respectively. Hematite of the ore contains 0.87 to 1.27 wt.% $TiO_2$ in banded ore and 3.44 to 6.96 wt.% $TiO_2$ in massive ore, respectively. Biotite shows a little compositional variation depending on ore types. Biotite of the banded ore has lower FeO, $TiO_2$ and $Al_2O_3$, and higher MgO and $SiO_2$ than the massive ore. The modes of occurrence and petrography of ore implies that massive ores might have been formed either under more reducing environments or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than banded ore. Banded ores might represent early episode of iron enrichment due to regional metamorphism. Massive ores might be related to the contact metamorphism resulting from late granitic intru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