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착형 아말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접착형 아말감의 2년 후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AMALGAM BONDING : TWO YEARS FOLLOW-UP)

  • 유필준;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30-534
    • /
    • 2001
  • 많은 치과 임상가들은 아말감을 치질에 접착시키기 위해서 여러 접착재료를 이용해왔다. 이 런 술식의 장점으로는 미세누출의 감소로 인한 술후과민증의 감소, 변연파절의 감소, 삭제 후 치질의 강화, 적은 유지형태에서의 수복물의 유지등이 제시되어 왔다. 실제로 임상적 상황에서 이러한 술식의 장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접착제가 임상적 환경에서 어떠한 잇점을 보이지 않는다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이런 술식을 정당화하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3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I급 와동과 II급 와동에 접착형과 비접착형 아말감으로 수복하였다. 접착제로는 Fuji I Glass Ionomer luting cement를 이용하였다. 평균 2년 후에 변연적합성을 평가하였으나 접착형 아말감과 비접착형 아말감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surface using light-cured resin)

  • 조지영;이동렬;임용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3-450
    • /
    • 2005
  •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광중합 Glass Ionomer Cement와 Amalgam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S OF LIGHT-CURING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AL AMALGAM)

  • 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7-364
    • /
    • 1996
  •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3 종의 광중합형 GIC의 아말감에 대한 접착능을 평가 할 목적으로 60 개의 아말감 부착시편을 이용하여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 의 사용여부에 따른 경화된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 GIC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경계부의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형 GIC의 전단강도는 Fuji II LC, Vitremer, Vitrebond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Scotchbond 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결합파절면은 Scotchbond를 사용한 경우의 대부분에서 Scotchbond와 아말감의 경계부에서 시편의 탈락이 나타났다. 아말감과 광중합 GIC의 결합을 시도할 경우에는 Scotchbond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