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착공정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troduce of New Polymerization Method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새로운 점착제 합성법 소개)

  • Aota, Hashiramoto;Ko, Sei Youn;Lim, Yong Kwann;Lee, Sang Ku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3 no.2
    • /
    • pp.45-52
    • /
    • 2002
  • 기존의 점착제 합성방법에서 탈피하여 용액형 점착제(Solution)의 장점과 입자형 점착제(Emulsion)의 장점을 동시에 보유한 NAD (Non-Aqueous Dispersion Polymer)를 합성하였다. NAD는 메탄올 분위기에서 6개월 이상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NAD는 용액에서 입자형 고분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도공 공정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아크릴 점착제의 장점과 고무계점착제의 장점을 결합한 고분자량의 점착제, GP (Graft Polymer)를 합성하였다. GP는 자체가 매우 높은 분자량을 보유하여 가교제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GP는 일반적으로 고 분자량의 고분자에서 나타나는 Weissenberg effect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점착제로 응용시 각각의 물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 PDF

SPRC 강판의 표면전처리 공정에 따른 에폭시 접착부 특성 평가

  • Kim, Hae-Yeon;Kim, Min-Su;Kim, Jong-Hun;Kim, Mok-Sun;Kim, Jun-Gi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56.2-56.2
    • /
    • 2011
  • 최근 철강, 알루미늄, 이종재료의 접합 등 용접이 어려운 부분에 구조용 접착제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변성 에폭시레진을 활용한 고접합 강도, 고인성의 구조용 접착제가 연구되어 지고 있다. 피착제의 표면처리는 접합부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구조용 접착제는 표면 전처리 없이도 우수한 접착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성레진에 대해서 각종 표면처리가 접합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착제로는 자동차용 냉연강판인 SPRC440을 사용하였고, 전처리로는 무처리 상태, SiC연마지를 이용한 연마, 아르곤 및 산소가스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표면처리, 산세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 에폭시 접착제는 변성 에폭시 레진과 경화제 및 촉매제를 이용하여 직접 포뮬레이션하였다. 단일 겹치기 전단강도 시험과 T-Peel 시험은 각각 ASTM D 1002 규격에 따라 준비하였으며 인장 시험 후 파면은 SEM으로 관찰하였다.

  • PDF

Properties of Semi-Solid Epoxy Adhesives (반고체헝 에폭시 접착제의 특성)

  • 조석형;안태광;홍영호;김영준;전용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7-24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크로로히트린을 반응시킨 에폭시 기본주제를 중심으로 경화제, 희석제, 충진제, 촉매 등을 배합하여 토목, 건축용 반고체형 에폭시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특히 에폭시 주제와 희석제의 종류 및 배합비율에 따른 기본 물성, 접착성능 등을 측정하였다. 상온 경화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화시 간을 측정한 결과 희석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희석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경화시간이 증가하고 경화온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촉매의 양이 적을 경우가 경화시간이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화 시간은 30분 내지 40분 정도로 상온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접착력 시험 결과는 촉매의 양이 적당한 때 가장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고 희석제 중에서 HDGE의 경우가 가장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었고 희식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은 증가하였다. 실리카와 철분을 섞어 반고체형 에폭시 접착제를 제조한 경우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고체형 접착제는 제조공정 코스트 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제품화하여 토목, 건축 분야의 콘크리트 균열 접착, 볼트와 콘크리트의 접합, 목재의 접합 등에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배합물질과 비율에 따라 전기전자. 토목건축, 자동차산업 등의 산업용 접착제로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Die Attach Process Variation on LED Device Thermal Resistance Property (Die attach 공정조건에 따른 LED 소자의 열 저항 특성 변화)

  • Song, Hye-Jeong;Cho, Hyun-Min;Lee, Seung-Ik;Lee, Cheol-Kyun;Shin, M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390-391
    • /
    • 2007
  • LED Packaging 과정 중 Die bond 재료로 Silver epoxy를 사용하여 Packaging 한 후 T3Ster 장비로 열 저항 값(Rth)을 측정하였다. Silver epoxy 의 접착 두께를 조절하여 열 저항 값을 측정하였고, 열전도도 값이 다른 Silver epoxy를 사용하여 열 저항 값을 측정하였다. Silver epoxy 접착 두께가 충분하여 Chip 전면에 고루 분포되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평균 4.8K/W 낮은 13.23K/W의 열 저항 값을 나타내었고, 열전도도가 높은 Silver epoxy 일수록 열전도도가 낮은 재료보다 평균 4.1K/W 낮은 12K/W의 열 저항 값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Post-annealing and Temperature/Humidity Conditions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of ALD RuAlO Diffusion Barrier Layer for Cu Interconnects (후속열처리 및 고온고습 조건에 따른 Cu 배선 확산 방지층 적용을 위한 ALD RuAlO 박막의 계면접착에너지에 관한 연구)

  • Lee, Hyeonchul;Jeong, Minsu;Bae, Byung-Hyun;Cheon, Taehun;Kim, Soo-Hyun;Park, Young-Bae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3 no.2
    • /
    • pp.49-55
    • /
    • 2016
  • The effects of post-annealing and temperature/humidity conditions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of atomic layer deposited RuAlO diffusion barrier layer for Cu interconnect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initial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d by four-point bending test was $7.60J/m^2$.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decreased to $5.65J/m^2$ after 500 hrs at $85^{\circ}C$/85% T/H condition, while it increased to $24.05J/m^2$ after annealing at $200^{\circ}C$ for 500 hrs. The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 (XPS) analysis showed that delaminated interface was RuAlO/$SiO_2$ for as-bonded and T/H conditions, while it was Cu/RuAlO for post-annealing condition. XPS O1s peak separ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generation of strong Al-O-Si bonds between $AlO_x$ and $SiO_2$ interface at optimum post-annealing conditions is responsible for enhanced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between RuAlO/$SiO_2$ interface, which would lead to good electrical and mechanical reliabilities of atomic layer deposited RuAlO diffusion barrier for advanced Cu interconnects.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of Adhesive Joints of Filament-Wound Composite Pressure Vessel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 압력용기의 접착 체결부에 대한 점진적 파손 해석)

  • Kim, Junhwan;Shin, Kwangbok;Hwang, Taeky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11
    • /
    • pp.1265-1272
    • /
    • 2014
  • This study performed the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of adhesive joints of a composite pressure vessel with a separated dome by using a cohesive zone model. In order to determine the input parameters of a cohesive element for numerical analysis, the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values in modes I and II and in the mixed mode for the adhesive joints of the composite pressure vessel were obtained by a material test. All specimens were manufactured by the filament winding method. A mechanical test was performed on adhesively bonded double-lap joints to determine the shear strength of the adhesive joints and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cohesive zone model for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hear strength of the adhesive joints was 32MPa; the experiment and analysis results had an error of about 4.4%, indicating their relatively good agreement. The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of a composite pressure vessel with an adhesively bonded dome performed using the cohesive zone model showed that only 5.8% of the total adhesive length was debonded and this debonded length did not affect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vessel.

Study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Electroless Copper Interconnect in Integrated Circuits (집적회로용 무전해도금 Cu배선재료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정식;이은주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6 no.1
    • /
    • pp.31-37
    • /
    • 1999
  • In this study, the thermal property and adhesion of the electroless-deposited Cu thin film were investigated.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u /TaN /Si was fabricated by electroless-depositing the Cu thin layer on the TaN diffusion barrier which was deposited by MOCVD on the Si substrate. The thermal stability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resistivity as post-annealing temperature for the multilayered Cu /TaN /Si specimen which was annealed at atmospheres of $H_2$and Ar gases, respectively. The adhesion strength of Cu films was evaluated by the scratch test. The adhesion of the electroless-deposited Cu film was compared with other deposition methods of thermal evaporation and sputtering. The scratch test showed that the adhesion of electroless plated Cu film on TaN was better than that of sputtered Cu film and evaporated Cu film.

  • PDF

Asphalt Sealant Containing the Waste Edible Oil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 Kim, Seong-J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9 no.1
    • /
    • pp.61-70
    • /
    • 2004
  • This work is about the development or asphalt sealant using the waste edible oil. Asphalt sealant has been used for crack filler and bridge deck joint sealer Several plasticizers such as aromatic or paraffin process oils, DOP, Bunker C fuel oil, and waste edible oil were compounded with the basic components such as asphalt(AP-5), a thermoplastic elastomer(SBS triblock copolymer), a tackifying agent(petroleum resin), and stabilizers. Penetration, softening point, ductility, and elongation by tensile adhesion of those asphalt sealant compounds were measured. Their properties were changed largely depending on both the type and content of plasticizers. Waste edible oil and DOP were the best plasticizers for the low temperature tensile adhesion characteristics. Penetration and elongation by tensile adhesion of asphalt sealant compound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waste edible oil content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alc content. The manufacture of asphalt sealant with low penetration and excellent low temperature tensile adhesion was possible by the recipe optimization.

화학복필름접착을 위한 최적화된 플라즈마 조건 확립

  • Park, Pyeong-Gyu;Choe, Yeong-Deok;Kim, Ui-Yong;Go, Jae-Seon;Yun, B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2-59.2
    • /
    • 2009
  • 화학보호복은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 및 미세분진등에 대해 공기를 차단하며 완전 밀폐형으로 공기호흡기 및 에어라인 같은 호흡보호장치와 함께 착용하여 신체부위를 보호한다. 그 예로 생물/화학보호복은 유독하고 해로운 생물/화학물질로 부터 인체를 보호해준다. 이들 보호복은 다양한 환경이 노출되어 장시간 작업을 위해서 오랜시간 보호성능을 유지해야한다. 특히, 이런 원단의 구성은 플라스틱과 고무류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있다. 플라스틱류(폴리에틸렌, PTFE 등)는 표면장력이 너무 낮아 접착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이 대두된다. 일반적인 표면처리방법은 크게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4가지로 분류한다. 화학적산화, 불꽃처리, 플라즈마처리, UV 방사법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간단한 산화처리는 플라즈마처리다. 이처리는 상온/상압하에서 대기 중 또는 가스내에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이 플라즈마가 대상물의 표면분자와 격렬히 반응하게 하여 표면의 분자구조를 변화시킴에 따라 소수성의 표면에 Carboxyl, hydroxyl과 carbonyl과 같은 친수성으로 변하여 결합능력을 증가 시켜 표면장력을 높여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하고 나면 육안으로 표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지만 접착, 잉크, 코팅을 잘 받아들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플라즈마 표면처리의 효과는 주로 부도체의 필름이나 합성수지 계열의 인쇄성과 접착성을 향상시키고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화학보호복과 같은 플라스틱류인 다양한 고분자 합성수지(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vinyl, PVC, PET 등)에 적용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처리조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실험계획법(DOE, RSM)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플라즈마 공정을 향상시키고자한다.

  • PDF

Study on Enhancement for Interfacial Energy Release Rate of Adhesive Layer in Fiber Metal Laminates using Taguchi Method (다구찌 기법을 적용한 섬유금속적층판 접착층의 에너지 해방률 강화에 대한 연구)

  • Kil, Min-Gyu;Park, Eu-Tteum;Song, Woo-Jin;Kang, Beom-Soo
    • Composites Research
    • /
    • v.29 no.5
    • /
    • pp.249-255
    • /
    • 2016
  • The fiber metal laminates have been widely used at aerospace industry due to outstanding fatigue characteristic, corrosion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so forth.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proper manufacturing variables for enhancing the interfacial energy release rate of fiber metal laminates using Taguchi method. The major variable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surface treatment, pre-specified temperature holding time and additional press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facial adhesive strength, the double cantilever beam and end-notched flexure tests were conducted. Afterward, Mode I and II energy release rates at various conditions were introduced signal-to-noise ratio with respect to each condition. Finally, the most efficient manufacturing variables are recognized using larger-the-better characteristic.